• 제목/요약/키워드: 전화추후관리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전화추후관리가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자가간호수행 및 가족원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lephone Follow-up on the Self-Care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 장옥점;우선혜;박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9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04 to examine the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the performance of self-car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on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Method: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eventy-two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18 cancer patients, 18 family caregivers) or the control group (18 cancer patients, 18 family caregiver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 Wilcoxon Signed Ranks Test. Results: Performance of self-c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telephone follow-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8.016, p=0.000). Role stress of family memb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133, p=0.042).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telephone follow-up is effectiv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elephone follow-up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care performanc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to reduce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 PDF

전화추후관리가 우울성향을 가진 당뇨병 환자의 혈당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Blood Glucose Improvement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 송민선;김희승;이동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29-39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glycemic control, lipid profiles. and treatment method in diabetic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over one year follow-up period. Twenty-two diabetic patients attended the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05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o measure depressive symptoms. The patients showed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criterion being a BDI score at least 16.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telephone follow-up for one year.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cNemar test. The patients decreased their mean glycosylated hemoglobin(HbAlc) levels by 1.9%(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change in the fasting blood sugar(FBS) level, with a mean change of -61mg/$d{\ell}$(p=0.008).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elephone follow-up may be effective in the HbAlc and FBS control.

  • PDF

전화추후관리가 위,장관계 수술환자의 자기간호수행 및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Telephone follow-up on the Self-care and the Satisfaction on Nursing Care in G-I Surgical Patients)

  • 나인재;이병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55-368
    • /
    • 1999
  •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telephone follow-up on the self-care and the satisfaction on nursing care in G-I surgical pati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patients, 19 in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control group, who discharged after gastrointestinal surger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Taegu between August 11. 1998 and October 16, 1998. The telephone follow-up program for the experi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ich contained consultation,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self-care after discharge. Number of the instruments used for measurement of the outcome variables were 5, self-care after discharge, satisfaction(1)${\sim}$(2) on Nursing care. intention to visit the hospital again. intention to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first hypothesi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self-care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rejected (F=.48. p=.4937). 2. The Second hypothesi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accepted partly as follows. 1) The hypothesis 2-1,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1)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accepted(F=4.04. p=.0496). 2) The hypothesis 2-2.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2)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accepted(F=8.48. p=.0064). 3) The hypothesis 2-3,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intention to visit hospital again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rejected(F=1.95. p=.1723). 4) The hypothesis 2-4.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higher level of intention to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than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as rejected(F=1.43. p=.2411)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lephone follow-up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discharged patients.

  • PDF

전화추후관리 프로그램이 복막투석환자의 치료지속이행, 투석적절도와 감염발생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elephone Follow-up Program on Patient Compliance, Urea Kinetic Modeling and Incidence of Infection in Patients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 전시자;신석균;노영숙;이숙정;박애희;박양숙;박영미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7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telephone follow-up program on patient compliance, urea kinetic modeling and incidence of infection in patients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Method: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lephone follow-up program for 12 weeks in a group of 39 CAPD patients. The telephone follow-up group of 17 patients received telephone follow-up 10 min once a week for 1 month and 10 min twice a month for 2 months during 12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of 22 who patients received usual care. Results: The telephone follow-up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patient compliance and urea kinetic modeling, although patients with CAPD receiving a telephone follow-up showed reduced incidence of exit site infection during the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elephone follow-up program for CAPD patients may decrease the incidence of exit site infection. Future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be done utilizing diet and exercise reinforcement program combined with telephone follow-up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APD.

  • PDF

학생뇨검사 유소견자의 추후검사율 및 관련 요인 (A Study of Follow-up Test' and Related Factors in Students Who have Positive Result in Urine Tests)

  • 김동식;박재용;감신;차병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7-167
    • /
    • 1997
  • 경상북도 내 중 고둥학생들의 요검사 결과 유소견자들의 추후검사율 및 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767명의 유소견자에 대해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후검사 실시율은 36.2%로 낮은 편이었는데, 중학생은 39.2%로 남자 41.5%. 여자 38.1%였고, 고등학생은 34.1%로 남자 29.7%. 여자 37.5%였다. 추후검사율은 부모의 관심도가 많은 학생이 40.6%로 그저 그런 학생의 28.5%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리고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요검사 결과의 의미를 알고 있었는 학생이 51.9%로 그렇지 않는 학생의 29.0%에 비해 높았다. 양호교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39.2%)가 그렇지 않은 않은 경우(29.2%)보다 추후검사율이 높았고, 요검사 결과에 대해 보건지도를 학교에서 받은 학생(48.5%)이 받지 않은 학생(28.8%)에 비해 높았으며, 병원방문을 학교에서 권유받은 학생(49.7%)이 받지 않은 학생 (14.9%)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검사결과가 부모에게 통보되지 않은 경우의 추후검사율은 5.4%, 학생 자신이 부모에게 통보한 경우가 45.8%, 학교에서 직접 부모에게 통보한 경우가 54.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추후검사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정의 경제수준, 부모 관심도, 검사결과 의미 인지 여부, 병원방문 권유여부, 부모님 통보 방법이었다(p<0.05). 즉,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관심도가 많은 경우가, 검사결과의 의미를 알고 있는 경우, 학교에서 병원방문 권유를 받은 경우, 학교에서 부모님에게 직접 통보할수록 추후 검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검사의 검사기관은 병의원이 73.7%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가 18.3%였으며, 방문시점은 검사결과를 안지 1~7일 사이가 57.2%로 가장 많았다. 추후검사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학생은 10.8%였다. 추후검사를 하지 않은 이유는 귀찮아서 26.6%, 어떻게 할지 몰라서 24.2%, 믿을수 없어서 16.0%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올 때, 학생 요검사 실시 후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추후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가 같이 노력하여야 되겠는데, 학교에서는 검사 결과에 대한 보건지도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검사 결과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반드시 학교에서 부모에게 전화나 우편으로 직접통보하여야 한다. 또한 요검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끔 검사에 철저를 기하고 사후관리를 적극적으로 하여 학생들의 신뢰를 얻는 노력도 병행하여야 하겠다.

  • PDF

저소득층 건강검진 유소견자의 의료이용 양상 및 관련요인 (Health Care Utilization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s of Low-income Population with Abnormal Results through Health Examination)

  • 권복순;감신;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87-105
    • /
    • 2003
  • 2002년도 군위군 내 30세 이상 저소득주민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유소견자로 판정된 263명에 대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추후의료기관 이용여부와 관련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추후의료기관 이용률은 51.0%이었으며, 미이용률은 49.0%이었다. 단순분석결과, 추후의료기관 이용률은 소인성 요인에 있어서는 남자의 경우, 건강관심도가 높은 경우, 질병이 오는 이유가 팔자나 운명적이지 않다는 경우, 검진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경우, 검진결과를 통보 받을 당시 느낌이 걱정된다는 경우가 의료기관 이용률이 높았다(P<0.05). 가능성 요인에서는 의료보장형태가 의료급여인 경우, 과거 2년간 건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단골의료기관이 있는 경우, 검진결과를 인지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에 추후의료기관 이용률이 높았다(P<0.05). 필요성 요인에서는 검진결과를 본인이 인지한 경우, 판정결과가 건강에 심각하다는 경우, 검진결과를 통보받는 방법이 우편과 전화통보를 받은 경우, 검진결과에 대한 가족반응이 있는 경우, 보건지도가 있는 경우가 추후의료기관 이용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의료기관 이용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단순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는 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판정결과를 받을 당시 느낌이 걱정이 된 경우, 의료보장형태가 의료급여의 경우 (P<0.05), 과거 2년간 검진경험이 있는 경우(P<0.05), 검진결과에 대한 가족의 반응이 있는 경우(P<0.01)가 의료기관을 더 이용하였다. 추후 의료기관을 이용한 방문시점은 통보 후 8-15일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16-30일 순이었다. 재검결과 당초와 같은 질환이 69.4%, 정상이 23.1%, 당초와 다른 질환이 7.5%이였으며, 정밀검사 후 치료유형에서는 규칙적 치료가 39.6%로 가장 높았으며, 치료하지 않은 경우가 34.4%, 치료중단이 11.8%이었다. 추후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는 가벼운 질환인 것 같아서가 32.4%로 가장 높았으며,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결과가 정상이라서, 이전부터 알고 있는 질병으로 치료 중이어서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저소득층의 건강검진 실시 후 의료이용 제고와 사후관리를 위해서는 국가와 검진기관, 보건기관, 가족 등이 연대가 되어야 하겠다. 국가에서는 차상위계층의 의료이용문제점을 해결하여 의료이용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여야 하며, 검진기관과 보건기관에서는 건강검진 전에 검진의 필요성, 의의, 올바른 수검지도를 실시하고, 건강검진 통보 시에는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방문 등을 통하여 추후관리를 하는 것이 의료기관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 의료이용의 필요성, 해당 질환에 대한 정보에 대해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을 포함한 보건지도가 있어야 하겠다.

  • PDF

당뇨환자의 자기관리행위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The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on Self care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Diabetic Patients)

  • 양진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8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follow- up on self care behaviors and self efficacy in diabetic patients after discharg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39 patients and twenty subjec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after discharge once a week during 4 weeks with diabetic education before discharge and nineteen subject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eceived diabetic education before discharge without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telephone consulting had higher self care behaviors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4.92, p=.00).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telephone consulting had higher self efficac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4.71, p=.00).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ubjects. In conclusion, the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improved self care behaviors and self efficacy,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care of diabetic patients

자가격리장치에서의 본인 인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Authentication Method in Home Quarantine Equipment)

  • 김준배;강문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73-178
    • /
    • 2018
  • 2015년 5월 첫 중동호흡기증후군 사례가 발생하여 환자 186명, 사망자 38명이 발생하고 16,693명을 격리하였다. 정부에서는 MERS 감염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확진 또는 의심환자와 접촉한 사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관리 담당자는 자가격리자에 대해 최대 잠복기인 14일 동안 1일 2회 감시를 실시하여 격리 준수 여부 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격리대상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관리 인력의 한계로 거주지 이탈자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관리자들은 하루에 두세번 전화로만 상태를 체크하다 보니 자가 격리 생활 수칙은 유명무실해졌으며 격리자들이 무단으로 외출할 경우 이를 통제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인정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가격리장치 및 본인 인증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추후 자가격리장치 및 본인인증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전혀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여가시간활용과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여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Leisure Tim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Focused on Buyeo)

  • 전병진;이재신;권미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와 여가시간사용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한 여가시간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여군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들의 특성에는 성별, 배우자 유무, 건강수준, 학력, 월 생활비, 자녀수, 직업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삶의 질,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t-검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여가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TV시청하기, 친구만나기, 전화통화하기 등의 정적인 활동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었으며, 바우처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구강관리 서비스, 건강검진 서비스, 스포츠마사지 서비스 등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에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지역 노인의 의미 있는 여가시간활용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관련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여가활동에 대한 경험 및 지식습득의 기회를 제공하여 의미 있는 여가시간을 증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치과장애인 환자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귀가 후 전화추후 관리 분석 (Analysis of Telephone Follow-up Data of Out-patient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Disability Patients)

  • 김미선;서광석;이정만;김혜정;한진희;한희정;이은희;신순영;신터전;김현정;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7
    • /
    • 2012
  • Background: Some disabled patients show insufficient cooper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and general anesthesia in an outpatient setting can be successfully administered. To minimize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is an essential issue, and strict discharge protocols are required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s. Post-anesthetic follow-ups using telephone calls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outpatient care system. The authors evaluated the post-operative condition of patients after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Total 143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received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Clinic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July, 2011 to April, 2012. Telephone calls were given to the patients or their caregiver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and anesthesia-related complications. Results: Among 131 patients with responses of telephone calls, 87 patients (66.4%) reported no discomfort, while 44 patients (33.6%) presented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A total of 20 patients reported mild fever, 10 patients had vomiting, and 7 patients had sore throat. Other complications included nausea, fatigue, nasal bleeding, skin sore, and body ras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history of epilepsy, 63.6% showed post-anesthetic discomfort or complication (P = 0.027, ${\chi}^2$ test). Conclusions: One third of dental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anesthesia due to insufficientcooperation complained discomfort after discharged from outpatient anesthetic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