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항성 품종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37초

토마토 배꼽썩이 발생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sm of blossom-end rot occurrence in tomato plants)

  • 조일환;이시영;권영삼;신만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0-83
    • /
    • 1994
  • 토마토는 세계적으로 경제성이 높은 작물로서 품종개량과 재배기술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다른 채소보다도 많이 되어져 있는 작물이다. 품종개량에 대해서는 주로 내병성 품종과 성력재배형 품종육성이 주요한 육종목표였으며 칼슘결여에서 기인하는 생리장해의 일종인 배꼽썩이에 저항성을 갖고 있는 품종은 아직 육성되지 않고 약간의 토마토계통이 칼슘의 이용율의 비교선발에 머무르고 있다. (중략)

  • PDF

한국·중국 벼 도열병균 생리형 분석 및 품종 저항성 특성 비교 (Comparative Assay Fungus Population and Resistant Genes about Magnaporthe grisea between Korea and China)

  • 김동윤;심홍식;;;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17-226
    • /
    • 2004
  • 한 중 벼 도열병균의 특성 검정과 저항성원의 공동 평가를 통하여 병원균의 특성을 구명하고 주요 저항성원에 대한 정보와 한국 도열병균의 분화 현상이 중국으로부터 유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각국의 대표균주 각각 100균주씩을 한국, 중국 판별품종 및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접종한 결과, 한국 병원균은 중국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서 29개의 반응형을 보였으며, 한국균주 46%가 중국 NIL(LTH/일본품종 저항성 유전자)을 모두 침해하여, 우리나라 벼 육종 시 저항성원으로 적합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판별품종에 대한 중국균주의 반응결과, KJ-201, KJ-301, KJ-403, KJ-105, KJ-101 레이스가 각각 11%, 10%, 9% , 8%, 7%의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RFLP-MGR586 profile은 한국 균주가 중국균주보다 band 수와 양상이 다양하여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IRRI에서 육성한 11개의 단인자 저항성 품종에 대하여 한-중균주의 유전자 침해비율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Pi-z, Pi-3, Pi-5(t)는 한국 균주가 각각 56.6%, 58.1%, 45.4%침해하는 반면, 중국 균주는 각각 85.2%, 75.9%, 75.9%를 침해하여 중국 균주의 침해 비율이 높았고 Pi-b 유전자의 경우, 한국 균주의 82.6%가 침해하는 반면 중국 균주는 59.3%가 침해하여 한국 균주의 침해 비율이 높았다.

포도 탄저병균의 엽면접종을 통한 국내 육성 포도나무의 품종 간 저항성 검정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Varietal Difference and Genetic Diversity of Grapevine Cultivarsthrough the Leaf Inoculation of Colletotrichum spp.)

  • 장현아;이교상;모우메이;곽태석;윤하연;카잉;김미르;김대규;이정진;임기택;허윤영;오상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49-60
    • /
    • 2018
  • 본 연구는 품종 간 변이의 폭이 좁은 포도속(Vitis spp.)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탄저병 저항성 품종을 판별하기 위해 국내 주요 재배 품종 및 유전자원 159품종을 공시하고,Colletotrichum acutatum과 C. gloeosporioides를 엽면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Genotyping-by-sequencing(GBS) 방법을 이용하여 포도나무 품종 간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 acutatum을 접종한 잎에서는 58품종은 감수성을, 17품종은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C. gloeosporioides를 접종한 경우에는 34품종이 감수성을, 25품종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두 균주에 대해 공통적으로 저항성을 보인 품종은 'Agawan', 'Huangguan', 'Xiangfei' 등 8품종이였으며, 이들 대부분은 유럽종과 미국종의 교잡종으로 분류되었다. 유럽종에 기원한 'Emerald Seedless', 'Tano Red', 'Rem 46-77(Aestivalis GVIT 0970)' 등의 품종들은 대부분 감수성으로 판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보된 병 검정 및 유전 분석 결과는 포도나무 병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포도나무 탄저병 저항성 품종들을 개발하고 육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육종 소재 및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배추 무사마귀병 저항성 집단육성 (Development of populations resistant to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in of Chinese cabbage)

  • 한영한;우종규;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51-51
    • /
    • 2002
  • 배추무사마귀병 저항성 집단을 육성하기 위하여 총 305점의 배추유전자원을 수집(농촌진흥청 유전자원과, 180점; 미국 Germplasm Resources International Network, USDA, 37점; CPRODLO Bra-dB, Wagenningen 59점; 국내외 종묘회사, 29점) 하였다. 14점의 재배종은 배추무사마귀병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면 대부분이 일대 잡종으로 CR계 품종이었다. CR계 일대잡종 18품종으로 배추무사마귀병에 저항성 집단을 만들기 위하여 자식과 방임수분으로 각각을 교배하였다. 2년간 포장시험을 하여 배추무사마귀병에 저항성인 성숙모본 128개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개체들은 배추무사마귀병에 대한 저항성집단을 육성하는데 식물재료로 이용되었다.(중략)

  • PDF

뿌리혹선충 저항성 토마토를 감염하는 Meloidogyne incognita의 발생 및 이 선충을 이용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Occurrence of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ng Resistant Cultivars and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Tomato to the Mi-virulent Nematode)

  • 황성민;박명수;김진철;장경수;최용호;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6
    • /
    • 2014
  • 2012년 충남 부여에서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M. arenaria 및 M. javanica)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 Mi를 가지고 있는 토마토 '유니콘' 품종에서 뿌리혹선충병이 크게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분리한 뿌리혹선충은 종 특이적 프라이머 2개에 의한 분석한 결과, M. incognita로 동정되었다. 이 선충에 의한 감수성 1개와 저항성 3개 토마토 품종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을 조사하였는데, 실험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실험한 품종 모두는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그리고 시판 중인 토마토 33개 품종(뿌리혹선충 저항성 25개와 감수성 8개)의 이 선충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실험한 모든 품종들은 각 품종의 뿌리혹선충 저항성과 관계없이 유사한 정도의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Mi 저항성 토마토 품종에 뿌리혹선충병을 일으키는 M. incognita 발생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한편, 새로운 저항성 육종 소재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이 선충의 접종 농도, 토마토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 등의 다양한 발병 조건에 따른 토마토 4개 품종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접종원의 접종 농도가 증가할수록 토마토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토마토의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에 따른 토마토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들 결과들을 바탕으로 Mi-virulent M. incognita에 대한 토마토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가잠의 인공사료육에 있어서 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 및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Comparison of the Resistance to Polyhedrosis Viruses in Various Varieti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fed on Artificial Diet)

  • 강석우;임종성;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27
    • /
    • 1985
  • 가잠의 인고사료육에 있어서 핵다각체 바이러스 및 세포질 다각체 바이러스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을 비교하고 이병잠의 각 조직에 있어서의 변화와 전기영동에 의한 체액 단백질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공시 잠품종 중 NPV에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품종은 잠107$\times$잠108 이었으며 CPV에 대한 저항성 단품종은 잠119$\times$잠120이었다. NPV를 경구접종 하였을 때 저농도(104, 105/ml)에서는 잠107$\times$잠108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품종에 관계없이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CPV를 경구접종 하였을 경우 저농도(104, 105/ml)에서는 잠119$\times$잠120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107~108/ml의 농도에서는 품종에 관계없이 높은 치사를 보였다. NPV에 감수성이 높은 조직은 지방조직진피세포, 기관피막세포 등이며 감염말기에는 진피세포와 지방조직이 완전히 파괴되어 체강중에 유리되었다. CPV의 경우는 중양의 원통세포질에만 감염되어 다각체를 형성하였으며, 일부 세포는 위염중으로 이탈하였다. NPV 이병잠의 체액 단백질 변화는 품종에 관계없이 병세의 진전에 따라 bands가 소실되거나 희미해졌다. CPV의 경우 품종에 관계없이 감염말기에도 bands의 수적인 변화는 없었으며 농도가 옅어진 1~2개의 band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오존 감수성 및 저항성 고추 품종의 생리생태 변화 (The Ecophysiological Changes of Capsicum annuum on Ozone-Sensitive and Resistant Varieties Exposed to Short-Term Ozone Stress)

  • 윤성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8-132
    • /
    • 2004
  • 공시된 세 품종의 고추에 대한 단기간의 오존 처리로 잎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은 갈색의 괴사 반응이었으며, 괴사가 심했던 오존 감수성인 다보탑과 같은 농도에서 괴사가 전혀 없었던 부촌 품종을 오존 저항성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고추의 두 품종에서 오존 처리에 의해 광합성 및 기공 전도도 등의 생리생태적 저해가 뚜렷이 나타났다. 그러나 잎에서 가시피해의 정도와 생리생태적 저해 정도와의 상호 연관성으로 고추에서의 오존 저항성 기작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생리생태적 반응으로 잎에서 발생하는 오존 저항성의 기작을 설명할 수 없었다. 다만, 고추에서 오존 처리에 의한 광합성 감소는 뚜렷한 기공전도도 감소와 명반응에서 광합성 기구들의 손상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암반응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설명할 수 있는 A-Ci curve 상에서는 오존 처리에 따른 효과를 찾을 수 없었다.

벼와 콩의 오존 피해증상과 품종간 차이 (Symptom of Leaf Injury and Varietal Difference to Ozone in Rice and Soybean Plant)

  • 이종태;손재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4-159
    • /
    • 2000
  • 대기환경오염원인 오존을 벼와 콩에 처리하여 오존피해증상, 품종간 저항성 차이 및 유전양상을 밝히고자 가시피해, 피해엽율, 엽록소함량, 임실율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오존피해증상은 피해정도에 따라 잎에 작고 붉은 반점이 형성되거나 잎전체가 적갈색 또는 황백색으로 변색되며 잎끝부터 말리면서 고사하였다. 콩은 피해엽이 황백색 또는 흑갈색으로 변색되었으며 벼와 콩 모두 잎의 표면보다는 이면이, 신엽보다는 하위엽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벼의 오존저항성 정도는 밀양 23호와 농안벼가 저항성을, 추청벼가 감수성으로 조사되었다. 오존처리시간이 2시간에서 8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벼의 피해엽율은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콩의 품종별 오존저항성정도는 큰올콩과 단엽콩이 저항성을, 두유콩, 무한콩, 은하콩 및 푸른콩 등이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콩의 생육시기별 피해엽율은 품종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이었으나 대체로 파종후 45일 처리에서 피해엽율이 가장 높았다.

  • PDF

고랭지 배추재배를 위한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선발 (Screening of 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 against Clubroot (Plasmodiophora brassicae) for Cultivation in Highland)

  • 윤철수;정은경;이상준;장연;이재은;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59-65
    • /
    • 2010
  • 본 연구는 53의 배추품종 및 계통에 대한 고랭지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십자화과 작물 재배지역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는 배추 뿌리혹병에 저항성인 배추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4개 품종의 배추와 19개 계통의 배추를 배추뿌리혹병원균으로 오염된 고랭지 포장에 정식하였다. 정식 30일 후에 내서성 및 지상부 뿌리혹병 발생에 의한 시들음 조사를 하였고, 정식 60일 후에 뿌리흑병 지하부 발생조사, 품종 및 계통 별 수량성을 알아보고자 생체중을 측정하였다. 정식 30일 후 내서성 및 뿌리혹병에 대한 지상부 시들음 조사에서 '불암플러스', '강력여름배추' 품종과 'SP-02', 'SP-05', 'CR DB 29', 'CR DB 50' 계통이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60일 후 뿌리혹병 발병률에 대한 지하부 조사에서는 '대통 품종', 'Super CR Kimi 85 품종', 'super CR Hiraki' 품종이 뿌리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식 60일 후 품종별 생체중 조사에서는 'Super CR Hiroki' 품종이 생체중 2,500 g이상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월등히 좋았다. 배추정식 초기인, 정식 후 30일 지상부의 시들음 조사에서 저항성품종으로 조사된 성적과 정식 후 60일 뿌리혹병에 대한 지하부 저항성 조사 성적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배추품종으로 'Super CR Hiraki', ' Super CR Kimi 85', 'CR 장군'이 배추 계통으로 'CR DB 29', 'CR DB 50'이 내서성 및 뿌리혹병 발생에도 저항성을 보였으며 아울러 원예학적 특성 중 생체중에 대해서도 윌등히 우수하여 강원도 고랭지 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용(毛茸)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과 병원균(病原菌)의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e Leaf Hair Density on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of Alternaria Leaf Spot Caused by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5-249
    • /
    • 1987
  •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