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실천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Teacher's Cognizance Chang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ho Implement it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 Kim, Jin-Ho;Lee, So-Min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1
    • /
    • pp.105-121
    • /
    • 2008
  • Even thoug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s fundamental spirit has been operated for 10 years or so, still the instruction style nation widely implemented in current classrooms is closer traditional style than it. It is a big challenge for a teacher who is used to a traditional one to try to fully mak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 paper describes the teacher's cognizance change on it with the point of views of children's ability to construct knowledge, instructional materials, questioning techniques, and children's achievements.

  • PDF

충북지역 초등수학 영재교육의 분석과 전망

  • Kim, Su-Hw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27-239
    • /
    • 1999
  • 영재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물이 국내에는 그다지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금 한국과학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국의 9개 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 역시 실천적인 차원의 활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대학부설 연구소들이 30년 이상 이와 같은 연구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천해오고 있는 사례들을 우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거울 삼아 모처럼 마련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토대로 그 바람직한 실천과 연구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본다. 첫째, 질적 연구의 집적에 힘써야 한다. 영재교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전제로 할 때는 더구나 그렇듯이 일반화를 전제로 한 양적 연구보다는,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물들의 집적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활동은 활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절한 조화가 요망된다.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모습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학습자 자신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의 탐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활동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요지는 활동은 정말로 전형적인 활동에 국한하고 나머지는 교사의 설명에 의해 학습자들이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의 소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히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일면 그 타당성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제적 ${\cdot}$ 통합적 연구가 절실하다. 연구의 측면에서 수학반 아동과 과학반 아동들의 활동상의 차이점이나 유사점 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PDF

Design-Experiment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 연구에서 설계-실험)

  • Chung , Chy-Bo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7 no.2
    • /
    • pp.67-79
    • /
    • 2004
  • Researchers in education intend and aspire to improve education practice. Researches should provide practical knowledge, instruments, teaching/learning skills which are needed in real educational environments. Research should closely related to practice. Design-experiment researches intend to promote and help education innovation. A variety of design experiment researches are presented with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goals, principles, case studies, prospects.

  • PD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d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 Han, Hye-Sook;Choi, Kye-Hye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4 no.4
    • /
    • pp.491-518
    • /
    • 2011
  • According to a number of recent studies, Korea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was at much lower level than cognitive achievement, which indicated the needs for nationwide researches. Although a variety of effort was put into finding ways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few researches focused on teachers was being underway.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27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yeonggi-do- by survey method to investigate on how teachers feel affective domain in their teaching practice, how much they it into account at class, and what their wills or plans are to put it into 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existed a distinctiv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ffective domain.

  • PDF

초등수학에서 학습교구의 활용 방안

  • An, Byeong-G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55-72
    • /
    • 2002
  • 초등학교에서 제 7차교육과정은 2002학년도부터 모든 학년에서 운용이 시작된다. 우리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학습자 중심교육과정’이라 하고, 이에 대한 실천방안으로 초등수학교육에서는 ‘활동중심’ 교육과정의 전개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활동 중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활동의 대상이 되는 교구의 활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구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조작교구이므로 이러한 조작교구의 종류와 특징, 성질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이러한 자료 활용에 대한 준비와 연구 미흡으로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조작교구를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 7차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탐색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교수 ${\cdot}$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A theoretical model for the utilization of intellectual resources between science and mathematics: An empirical study (수학 및 과학 간 지적 자원의 사용: 이론적 모형에 대한 실증 연구)

  • Choi, Kyong Mi;Seo, Kyungwoon;Hand, Brian;Hwang, Jihy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9 no.4
    • /
    • pp.405-420
    • /
    • 2020
  • There have been mixed reports about the idea of utilization of resources developed from one discipline across disciplinary areas. Grounded with the argument that critical thinking is not domain-specific (Mulnix, 2012; Vaughn, 2005), we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of intellectual resources (IR) that students develop and use when learning and doing mathematics and science. The theoretical model shows that there are two parallel epistemic practices students engage in science and mathematics - searching for reasons and giving reasons (Bailin, 2002; 2007; Mulnix, 2012). Apply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he data of 9,300 fourth grade students' responses to standardized science and mathematics assessments, we verified the theoretical model empirically. Empirically, the theoretical model is verified in that fourth graders do use the two epistemic practices, and the development of parallel practices in science impacts the development of the two practices in mathematics: A fourth grader's ability to search for reasons in science affects his or her ability to search for reasons in mathematics, and the ability to give reasons in science affects the same ability use in mathematic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ducators need to open ideas of sharing development of epistemic practices across disciplines because students who developed intellectual resources can utilize these in other settings.

A Case Study on Reflection and Practi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and Criticizing a Lesson on Division with Decimals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 Kim, Sangmee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1 no.3
    • /
    • pp.309-327
    • /
    • 2018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ion and practice in the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and criticizing his lesson on division with decim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at kinds of problem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thinking about and how his focus was chang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executing a lesson and criticizing his lesson with his peers. The teacher was set in three periods: a teacher planning a lesson, a teacher executing a lesson, and a teacher criticizing his or her own lesson. Each period was analyzed in eight aspects: Establishing the goals for mathematics, implementing tasks, connect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facilitating mathematical discourse, posing questions, building procedural fluency from conceptual understanding, supporting productive struggles, and using evidences of students' thinking.

A Study on the Practical Methods of Open Teaching and Loaming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 교육에서 열린 교수 학습의 실천적 방법 연구)

  • Lim Mn K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 no.1
    • /
    • pp.17-32
    • /
    • 1997
  • Open education is carried out and studied in both phases of theory and practic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these days. 1 introduced three op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we can use practicall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ey are the teaching and learning by open-end-approach, From problems to problems and Problem posing. First, I illustrate each meaning of thre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xt, I presented the concrete plans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xhibited some examples of students' own works.

  • PDF

초등학교에서의 전자계산기 활용

  • An, Byeong-Gon;Ryu, Geun-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215-229
    • /
    • 2002
  • 초등학교에서 7차 교육과정은 2002학년도부터 모든 학년에서 운용이 시작된다. 우리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학습자 중심교육과정’ 이라 하고, 이에 대한 실천방안으로 초등수학교육에서는 ‘활동중심’ 교육과정의 전개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활동 중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활동의 대상이 되는 교구의 활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구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조작교구이므로 이러한 조작교구의 종류와 특징, 성질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이러한 자료 활용에 대한 준비와 연구 미흡으로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조작교구를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7차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탐색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교수 ${\cdot}$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