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성취도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 조인영;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위하여 128개의 성취기준을 서영진(2013)의 내용 성취기준 진술 방식분류 기준을 이용한 틀을 바탕으로 내용 중심 진술, 활동 중심 진술, 수행 능력 중심 진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은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 성취기준에 '내용+기능'보다 더 다양한 요소를 담아야하며, 성취기준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기준들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 개선을 위하여 성취기준에서 '기능'의 표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69-379
    • /
    • 2013
  •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 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 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학 학업성취의 불평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a Tool Which Can be Used in Factor Analysis of Inequality on Mathematics Scholastic Achievement)

  • 이강섭;박용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21-330
    • /
    • 2007
  • 수학 학업성취의 불평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불평등성의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수학 학업성취에서 목표이탈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는 지수(성취 목표이탈 지수)를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학업성취의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가정은 모집단 또는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분포에 대한 가정뿐만 아니라, 학업성취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업성취의 측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자료들의 분포는 정규분포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또는 목표에 대하여 실제 자료가 이탈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지수를 고안하였다. 즉, 학습목표를 나타내는 정규분포의 로렌츠곡선(정규로렌츠곡선)과 실제자료에 의한 로렌츠곡선(자료로렌츠곡선) 사이의 넓이를 정규로렌츠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로 나눈 값을 성취 목표이탈 지수로 정의하였다.

  • PDF

수학학습부진아의 CAS을 도입한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한 성차분석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on mathematics achievement after learning using CAS on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7-180
    • /
    • 2011
  • 본 논문은 CAS 계산기를 사용한 학습을 하고난 후의 고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중 남녀 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처치집단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이러한 학습의 전과 후에 지필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처럼,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통제집단의 남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와 처치집단의 여학생과 통제집단의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에서는 모두 처치집단의 학생들이 더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개별지도가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dividual teaching strategies on mathematics attitud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low achievement students in cultural mathematics)

  • 서종진;조승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87-301
    • /
    • 2018
  • 개별지도가 수학 기초 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별지도 집단(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수학 학업성취(미분과 적분 내용) 및 수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는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와 사후 2차 수학 성취도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비교집단 내에서는 사전 수학에 대한 태도와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 간의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났으며, 사후 수학에 대한 태도와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이광상;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37-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불평등 요인 분석 (Development a Model for 'Factor Analysis of Inequality on Mathematics' and Inequality of Secondary Mathematics)

  • 이강섭;박용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03-320
    • /
    • 2007
  • 중등학교 수학 학업성취의 불평등의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퍼셀(Persell)의 '교육 불평등 요인 분석 모형'을 변형하여 '수학 학업성취 불평등 요인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성취 목표이탈 지수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에서의 불평등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3개교(중소도시: 2, 광역시: 1)와 고등학교 2개교(위성도시, 특별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작성한 설문조사와 2005년도 1학기 중간고사, 기말고사의 자료를 수집하여 불평등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중등학교 학생의 경우 수학 학업성취 불평등 요인은 사교육과 부모의 학력, 지역과 성별, 학교제도로 나타났다. 수학 학업성취와 가정경제, 부모학력, 사교육 순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A중학교 남학생과 E여자고등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서 사교육이 수학 학업성취에 대하여 유의미 ($16.6{\sim}27%$)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D고등학교에서 부모학력과 가정경제가 수학 학업성취에 대하여 유의미(18.5%)한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중학생의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과 수학성취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 황선욱;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75-18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진학 준비의 심리적 부담을 현실적으로 느끼기 시작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정도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수학불안 요인이 수학성취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중학생 587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계수, 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별에 따른 수학 점수 및 수학 불안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도 수학 점수 및 수학 불안도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간의 관계는 모두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학년별, 성별로도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들의 수학성취 정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흥미와 관심도, 수학교과요인, 교사요인 순으로 의미 있는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수학불안 요인 중에서 흥미도, 수학교과요인, 교사요인이 중학생들의 수학성취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IMSS 인지영역 평가틀의 변화와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제적 수학 성취도 (Analysis for the changes of the mathematics cognitive domain and for the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TIMSS)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7-182
    • /
    • 2008
  • TIMSS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로서 가장 대규모로 여러 국가의 수학 성취도를 파악,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내용을 담고 있는데, 첫째는 4주기에 걸친 TIMSS의 인지영역 평가틀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평가틀과 문항 개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둘째는 TIMSS 2007 인지영역 평가틀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를 6개국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는 수학 전체 성취도가 싱가포르와 유의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는데, 수학적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인지영역별로는 알기가 국제 1위, 적용하기가 3위, 추론하기가 2위를 차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틀 개발 및 다른 나라의 교육 체계나 교육과정으로부터의 시사점 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students)

  • 이화영;고호경;박지현;오세준;임미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31-651
    • /
    • 2022
  •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도가 낮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어 왔다. 이에 국가 기관이나 교육청,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나, 더욱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을 위해 기존의 여러 정책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장 마인드셋이 정의적 성취의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학에 관한 성장 마인드셋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수학 정의적 성취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정책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 실태 및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 및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를 설정하여 수학 마인드셋 향상과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