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 Received : 2018.01.18
  • Accepted : 2018.02.1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s standards statements reflect the direc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objectivity of analysis, 128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content - centered statements, activity - centered statements, and performance - centered statements by Seo Young - jin 's (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2015 revisi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do not contain enough information to expand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students. To complement this,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should include more elements than 'content + function', and other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to clearly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xpression of 'functio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위하여 128개의 성취기준을 서영진(2013)의 내용 성취기준 진술 방식분류 기준을 이용한 틀을 바탕으로 내용 중심 진술, 활동 중심 진술, 수행 능력 중심 진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은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을 신장시키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 성취기준에 '내용+기능'보다 더 다양한 요소를 담아야하며, 성취기준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기준들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방식 개선을 위하여 성취기준에서 '기능'의 표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별책8].
  2. 권점례, 박은아, 김현경, 이영미, 강민규, 송민영, 배영권, 서영진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적용 방안 자료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초등통합교과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16-8-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동창 (2016).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 윤리교육연구, 39(1), 199-218.
  4. 김유경 (2017).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93-113.
  5. 남지현, 장혜원 (2016). 시각과 시간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학적 이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79-498.
  6.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광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 여미주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부.
  7. 박채형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현실성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335-354.
  8. 백남진 (2013).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교육과정연구, 31(3), 201-225.
  9. 백남진 (2014).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01-131.
  10. 백주영 (2017). 1997년 이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추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영진 (201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6, 415-450.
  12. 온정덕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CP 2015-01-7). 서울: 교육정책네트워크.
  13. 임유나, 홍우조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7(3), 277-302.
  14. 정구향, 정미경, 김진하 (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예시평가도구 개발 연구(연구보고 RRC 2001-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정혜승 (2007). 성취기준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23, 183-212.
  16. 조인영 (2018).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한혜정, 김영은, 이주연, 곽상훈, 김정윤, 한충희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연구보고 RRC 2016-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허경철, 백순근 (1995). 종합생활기록부제의 취지에 따른 교육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연구보고 KD95-22-01-1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허경철, 백순근, 김신영, 채선희, 구자억, 최돈형, 이인재, 김왕근, 박경미 (1996).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일반모형 개발 연구(수탁연구 RM 9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홍미영, 박순경, 백경선, 변희현, 양윤정, 양정실, 이경언, 이미경, 한혜정, 최유경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황현미 (2016).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61, 483-512.
  22. Foriska, T. J. (1998). Restructuring around standards: A practitioner's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3. Jennings, J. (1998). Why national standards and tests?: Politics and the quest for better schools. London: SAGE Publications.
  24. Marzano, R. J., & Kendall, J. S. (1995). The McREL database: A tool for constructing local standards. Educational Leadership, 52(6), 42-47.
  25.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N.,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5E). Allyn & Bacon. 강문봉, 강완, 김남희, 김수환, 나귀수, 박경미, 박영배, 백석윤, 송상헌, 유현주, 이경화, 이중권, 임문규, 임재훈, 장혜원, 정동권, 정영옥, 정은실, 허혜자 (역) (1999). 초등수학 학습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