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류학적 위치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31초

서부 민간인 통제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의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 김승호;김재현;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5-289
    • /
    • 2011
  • 파주시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존재하는 둠벙의 수문 지형학적 분류를 위해 둠벙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을 논농사에 이용하는 둠벙을 조사한 결과 모두 85개가 존재하였다. 조사된 둠벙을 수문학적 특성 중 계절별 수위변화 정도에 따라 나누면, 계절에 따라 수위가 크게 변하는 둠벙은 52개, 계절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둠벙이 33개였다. 수원에 따라 분류하면 강수 의존 지표수인 경우가 12개, 지하수와 지표수인 경우가 29개, 지하수만인 경우가 44개였다. 4개는 산지에 33개는 평지에 48개는 계곡에 위치하였다. 40개는 논과 물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45개는 수위가 변함에 따라 교환이 일어났다. 멸종위기종 또는 특산종이 서식하는 둠벙은 모두 26개였으며, 주로 수위가 일정하며, 지하수를 수원으로 가지는 둠벙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둠벙을 샘통형, 물흐름형, 괸물샘통형, 괸물형으로 나누는 방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둠벙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을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하여, 둠벙을 유형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녹지공간별 토양경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IL HARDNESS FLUCTUATION OF GREEN SPACE)

  • 서주환;우궁유;김상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4-84
    • /
    • 1997
  • 최근. 급격한 도시화 현상으로 인한 불투성 지표의 증가는 도시의 생태적 측면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도시의 온난화 현상. 도시의 사막화 현상 등이 그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분투수성 지표가 많은 도시에서는 그 수문학적 기능이 투수성 지표에 의존하고 있으며, 도시의 투수성 지표에는 오픈 스페이스와 주변의 생산녹지 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투수성 지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지 않았고, 대부분 포인트별 연구였다. 본 연구는 도시 내의 수문기능 환경변화개선에 관한 기초자료로 동경의 대표적 도시공원인 코카네이 (소금정) 공원과 동경 근교의 치바현 (천엽현)위치한 치바(천엽)대학 부속 카시와 (상) 농장을 대상지로 선정 토양환경기능의 간접적 지표가 되는 토양경도를 나카야마식(산중식) 토양경도 계륵 사용하여 5120 Cm의 라인위에 10 Cm간격으로 512개씩 코카네이(소금정) 공원에서 9라인. 카시와(상) 농장에서 7라인을 공간별로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다중비교검정과 Bartlett's 검정에 의하여 검정후에, 랜덤 데이타분석에 적합한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값을 다중비교검정과 Bartlett's 검정한 결과, 유의타가 없었고, 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원의 9라인과 농장의 7라인은 분석 그래프의 유형에 의해 각각 2가지로 분류되었고, 전체적으로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공원과 농장의 분석 그래프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변화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화가 비슷한 스펙트럼이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각각 최대 값은 다르나 제1주기 부분에서는 답압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논은 수직방향의 스펙트럼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강우가 녹지의 경도변화에 미치는 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강우전과 강우후에 같은 라인(Line1과 Line2)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값의 평균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주기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전체적으로 분석 그래프에서는 공간별로 스펙트럼의 수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화량의 차이는 보였으나 비슷한 주기를 나타냈고, 가작의 유형은 공원의 녹지공간(lawn-area)과 나지공간(bare-area)으로, 농장을 녹지공간(lawn-area)과 경작공간(field-area)으로 분류할 수있었다. 종합적으로 녹지를 지질학적 구조의 고유한 특징이 아닌. 답압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따른 속성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스펙트럼의 분석을 통하여 녹지공간(lawn-area). 나지공간(bare-area)그리고, 경작공간(field-area)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광덕산(천안·아산시) 관속식물상의 다양성: 생태학적, 보존학적 중요성 (Vascular plant diversity of Gwangdeoksan Mountain (Cheonan-Asan, Korea): insights into ecological and conservation importance)

  • 전지현;조명숙;윤선아;길희영;김선희;권율;서희승;아리옹 수헤르테이;김승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9-99
    • /
    • 2021
  • 광덕산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아산시의 경계에 위치한, 이 일대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광덕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97과 287속 428종 9아종 30변종 1품종의 총 46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희귀식물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그리고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에 해당하는 58과 112속 129분류군이 주요식물로 조사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은 크게 남동방면, 남서방면, 북방면, 정상부의 4개 구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구역별로 분포하는 식물상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에 대한 본 조사 결과와 이전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광덕산은 식물구계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 보전 및 연구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Muridae, Rodentia), 3아종에 있어서의 형태적 형질들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 Variation of Morphometric Charactera among Three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Pallas (Muridae, Rodentia), from Korea)

  • 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2-282
    • /
    • 1986
  • 한국산 등줄쥐 3아종(Apodemus agrarius coreae, A. agrarius pallascens, and A. agrarius chejuensis)에 속하는 표본들의 형태적형질들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방법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제주도산 A. agrarius chejuensis는 다른 한반도산 두 아종과 형태적인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이 아종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 규명할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워졌다. 또한 A. agrarius coreae는 A. agrarius pallescens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다고 밝혀졌으므로, 후자는 전자의 synonym으로 결론내렸다.

  • PDF

만재도의 한국 미기록 입이끼벌레류(나후강, 순구목) 1종 (A New Record of Smittinid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from Manjae Island, Korea)

  • Seo, Ji-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35-141
    • /
    • 2002
  • 남해의 서쪽 끝에 위치한 만재도의 조하대로부터 1988년 8월 23일에 채집된 태형동물을 분류한 결과 고운입이끼벌레 (Parasmittina delicatula)가 한국미 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만재도에서 보고된 12종 중 10종은 오직 태평양에서만 밝혀진 종들로서 4종은 열대종, 3종은 한류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도 보고되는 종이고 4종은 한국과 일본에서만 밝혀진 고유종이다. 만재도는 대마난류와 서해연안냉수의 영향을 모두 받는 동물지리학적으로 독특하며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진다.

한국산 모기과의 미기록종 베꾸숲모기(Aenes bekkui) : 성충 및 유충의 분류학적 특징에 관하여 (Unrecorded Aedes (Edwardsaedes) bekkui (Diptera: Culicidae) from Korea: Notes on Taxonomic Diagnosis of Adult and Larva)

  • 이관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210-212
    • /
    • 1987
  • 한국산 모기에 대한 조사연구사업의 일환으로 1387년 6월 경기도 남양주군 광릉에 위치한 임업시험장 일대에서 야외채집을 실시한 결과 미기록종 Aedes bekkui(베꾸숲모기)를 채집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성충의 특징은 기문하구(subspiracular area)에 작을 강모가 없는 점이고, 유충의 특징은 머리털 4-C와 6-C의 간격이 좁고 5,6-C의 크기와 모양은 서로 대등하며 6,7-C의 간격은 5,6-C의 간격보다 2배이상 넓다는 점이다. 또 꼬리틸 3-X는 단모로 되어 있고 2-X보다 상당히 길다. Tanaka의 검색표에 따르면 Aedes bekkui 성충의 특징은 아속 Edwardsaedes와 일치되지만 유충은 아속 Aedimorphus에 일치된다. 이는 Belkin이 처음 아속 Edwardsaedes를 확립할 때 유일하게 Aedes imprimens를 단모식 표본종(monotypic species)으로 이용하여 그 특징 열거에 있어 너무 단조로 왔기 때문이며 또한 일본에서 A. imprimens가 A. bekkui로 판명되기까지 자충의 특징만이 기록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거 한국에서 보고된 A. imprimens도 일본의 경우와 같이 A. bekkui의 오식종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입암산과 백암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Ibamsan Mt. and Baekamsan Mt.)

  • 선은미;손현덕;박성배;김우남;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55
    • /
    • 2020
  • 전라남도 장성군과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에 위치한 입암산과 백암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1990년 이후 채집되어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에 수장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입암산과 백암산에서는 116과 403속 687종 16아종 58변종 8품종의 총 7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로는 매미꽃, 변산바람꽃 등 총 24분류군이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애기천마, 노랑붓꽃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II급 식물인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14종의 적색목록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멸종위기(endangered species, EN) 범주의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애기천마와 취약(vulnerable, VU) 범주의 백양꽃, 노랑붓꽃, 꼬마은난초, 꼬리말발도리가 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V등급종인 노랑붓꽃 등 4분류군, IV등급종인 털조장나무 등 9분류군, III등급종인 산꽃고사리삼 등 28분류군, II등급종인 피나물 등 22분류군, I등급종인 홍지네고사리 등 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과 미국쑥부쟁이를 포함하여 총 14과 35속 37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덕항산(삼척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Deokha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South Korea)

  • 서한나;김세창;박성호;손용환;한규일;안치호;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58
    • /
    • 2019
  • 덕항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337ha)은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하며, 남한에서 유일하게 해발고도 1,000m에 가까운 고산지대에 발달한 카르스트지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석회암지대의 식생현황을 제공하여 석회석 광산 채굴 등 황폐화가 진행되고 있는 석회암지대의 식생을 복원하기위한 식생자료로 활용되고자 실시되었다. 2018년 4월 9일부터 10월 31일 까지 총 15회에 걸친 계절별 현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덕항산 지역에서 발견된 관속식물은 90과 302속 479종 4아종 51변종 3품종 총 53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국특산식물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 자생한다고 알려진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숲개별꽃)과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된다고 알려진 Saussurea calcicola Nakai(사창분취)와 Peucedanum insolens Kitag.(덕우기름나물)을 포함하여 18분류군이 발견되었고,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속하는 Astilboides tabularis (Hmsl.) Engl.(개병풍)과 Vioela websteri Hemsl.(왕제비꽃)을 포함하여 1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 3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113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식물은 특산식물 11분류군, 북방계식물 22분류군으로 총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대상지는 온대북부 석회암지대의 특성상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남방계식물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남방계 식물의 북상은 우려와는 달리 현재까지는 미비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북방계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삽교호유역의 수질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 (Cluster and Factor Analyses Using Water Quality Data in the Sapkyo Reservoir Watershed)

  • 임창수;신재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937-941
    • /
    • 2004
  • 삽교호유역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지점에서 측정된 월별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수질관측지점을 2개에서 7개의 수질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그에 따른 수질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삽교호유역의 각 하천은 개개의 수질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삽교호, 삽교천, 무한천 및 곡교천의 4개 그룹으로 나눌 수가 있었다. 수질분석결과에 의하면 삽교호에서는 부유물질의 농도가 다른 하천보다 높았는데 이는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풍부한 영양염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곡교천의 수질은 다른 하천에 비해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은 $3.5\~4.8$배, 화학적산소요구량은 $1.7\~2.5$배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삽교호 유역의 수질은 부영양상대를 훨씬 초과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삽교천과 무한천은 농경지와 주거지에 의한 수질요인이 지배적이었고, 곡교천은 천안도시지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과다한 유기물유입과 상류에 위치한 하수 처리장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삽교호의 수질은 삽교천과 무한천 및 곡교천에서 높은 부하를 보인 인자가 주된 오염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형태적 특성 분석을 통한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암·수판별 (Sex Determination of Scolopendra Subspinipes throug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is)

  • 김혜경;이경용;이소영;윤형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23-28
    • /
    • 2022
  • 지네는 머리와 체절이라고 부르는 수많은 마디가 이어진 형태를 이루는 절지동물목, 지네강에 속하는 동물로, 전 세계적으로 3,000여종, 국내에는 44종(4종 7과)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왕지네는 유효물질 탐색 및 약리활성 연구를 위한 주요 생물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어 향후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생리적·생태학적 연구는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왕지네의생태학적·생리학적 특성 연구에 대한 기초 연구로 왕지네에 대한 형태적 분석을 통한 분류학적 위치를 정립하고, 암·수 구별법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향후 왕지네 인공사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왕지네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