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서부 민간인 통제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의 유형분류

  • 김승호 (금촌중학교, DMZ생태연구소) ;
  • 김재현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Received : 2011.06.29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of Paju city in Korea. Among 85 small irrigation ponds, water level of 52 ponds changed seasonally and that of 33 was constant. Water sources of 12 ponds were surface water, 29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and 44 ground water. 4 ponds locate in the edges of forests, 33 in flat-lands, and 48 in valleys. Water in 45 ponds was exchanged with paddy fields and 40 ponds were isolated from paddy fields. Endangered or endemic species were inhabited in 26 ponds, which have ground water as water source and constant water leve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we suggested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spring, water exchanging, stagnant/spring, stagnant water. This classification system will help ecosystem managers to investigate ponds systematically and manage them based on pond type.

파주시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존재하는 둠벙의 수문 지형학적 분류를 위해 둠벙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을 논농사에 이용하는 둠벙을 조사한 결과 모두 85개가 존재하였다. 조사된 둠벙을 수문학적 특성 중 계절별 수위변화 정도에 따라 나누면, 계절에 따라 수위가 크게 변하는 둠벙은 52개, 계절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둠벙이 33개였다. 수원에 따라 분류하면 강수 의존 지표수인 경우가 12개, 지하수와 지표수인 경우가 29개, 지하수만인 경우가 44개였다. 4개는 산지에 33개는 평지에 48개는 계곡에 위치하였다. 40개는 논과 물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45개는 수위가 변함에 따라 교환이 일어났다. 멸종위기종 또는 특산종이 서식하는 둠벙은 모두 26개였으며, 주로 수위가 일정하며, 지하수를 수원으로 가지는 둠벙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둠벙을 샘통형, 물흐름형, 괸물샘통형, 괸물형으로 나누는 방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둠벙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을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하여, 둠벙을 유형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학. 2002. 습지유형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본학, 김귀곤. 2001.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11-25.
  3. 김귀곤. 2010. 평화와 생명의 땅. 드림미디어.
  4. 김재옥, 신현상, 유지현, 이승헌, 장규상, 김범철. 2011. 논 중간 낙수기에 미꾸라지 피난처로서 둠벙의 기능 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1): 37-42. https://doi.org/10.5338/KJEA.2011.30.1.37
  5. 농촌진흥청. 2008. 논생태계 수서무척추동물 도감 (증보판).
  6. 문산기상대. 2011. 기후특성. http://web.kma.go.kr/aboutkma/intro/daejeon/daejeon_affiliated_05.jsp accessed on 2011. 7. 26
  7. 박광래, 정원교, 최재웅, 김영. 2009. 논 생태계 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초록집, p 291.
  8. 손진관, 김남춘, 강방훈. 2010.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 117-131.
  9. 이승헌, 김재옥, 신현상, 장규상. 2010. 논 생태복원을 위해 설치한 둠벙의 토양 특성.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p 204.
  10. 장희자. 2009. 둠벙 이야기. 신작수필 21인선, 문예운동 겨울호. pp 366-368.
  11. 주위홍, 구본학. 2006.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두만강과 한강을 사례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152-161.
  12. 주위홍, 김귀곤. 2002. 중국 두만강 하류 유역의 습지 분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1): 35-50.
  13. 파주시 군내출장소. 2011. 양수펌프장 물 공급 현황.
  14. 파주시. 2008. 2008 파주시 통계연보.
  15.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8.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 연구.
  16. 환경부. 2010. DMZ일원 "보호지역" 5개소 지정 추진. 2010년 8월 30일 환경부 보도자료.
  17.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18. Jung MR. 2010. A Study of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udfish Inhabited in Rice Field.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Cheongwon, Korea.
  19. Kim JG. 1999. Paleoecological Studies for Assessment of Anthropogenic Impacts in Montane, Mediterranean, and Tropical Marshes.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USA.
  20. Kusuda S, Noboru K. 2009. Upstreammigrating loach in the fishway for a rice paddy. Fish Water 45: 19-22.
  21. Lee DW. 2004. Ecological Signification for Landscape of Tradition Vill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23-25,
  22. Mitsch WJ, Gosselink JG. 2007. Wetlands 4th ed. Wiley, New York, USA.
  23.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06. The Ramsar Convention Manual: a guide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Iran, 1971), 4th ed.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Gland, Switzerland.
  24. Scheffer M, van Geest GJ. 2006. Small habitat size and isolation can promote species richness: second-order effects on biodiversity in shallow lakes and ponds. Oikos 112: 227-231. https://doi.org/10.1111/j.0030-1299.2006.14145.x
  25. Yoon J, Kim H, Nam JM,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 223-235. https://doi.org/10.5141/JEFB.201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