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정형성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순수미술과 패션 속의 물질성의 표현과 무정형성 경향 (The Expression of Materiality and Formlessness in Fine Art and Fashion)

  • 윤수정;김민자
    • 복식
    • /
    • 제57권6호
    • /
    • pp.122-134
    • /
    • 2007
  • Fine art and fashion have influences on each other since both of them are the part of a culture. The similar patterns of fine art and fashion can be found either in the same period or in the different time. To find out this fact in the forms or content, this study researched into the fine art and fashion of 1960s and into recent year's fashion to see the revivals. In 1960s, fine art and fashion laid emphasis on the materiality of material itself, therefore both fine art and fashion have the tendency of formlessness and disorder in form. It ran be said that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n 1960s was mainly caused by the young generation called Hippies. They became a large influential social group that has a huge impact on overall culture in 1960s. As a result, this study firstly found that the fine art and fashion had common formative features and content in 1960s. Secondly, fashion since 1990 repeats the similar features in form like the Post-minimal tendency in fine art in 1960s. The similar features can be described as: artworks have the tendency of the formlessness and disorder in appearances; various materials were newly used to form a work, which had never been used in traditional artworks; new methods such as hanging, layering and knotting were applied to show the maximum expression of the materiality. However, unlike the fashion of 1960s, the Post-minimal tendency in fashion since 1990s doesn't symbolized freedom or peace, or opposition to the war anymore. Instead, only the formative elements were revived and reproduced and the formless tendency became one of the recent fashion trends.

PMMA/PVDF 화합물의 물성 및 광학적 성질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MMA/PVDF Blends)

  • 김병철;최춘기;한상필;윤근병;정명영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462-467
    • /
    • 2002
  • Hot embossing 공정을 이용하여 광도파로 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polymethylmeth-acrylate (PMMA)와 polyvinylidenefluoride (PVDF)를 용융 혼합하여 물리적 성질과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MMA/PVDF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T_g$)는 PVD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하지만 PVDF의 결정은 관찰되지 않았다. PMMA와 비교적 적은 양인 PVDF간의 분자수준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혼화성에 의하여 $T_g$는 감소하고 PVDF의 결정화를 방해하여 무정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MMA/PVDF 혼합물의 전단점도는 PMMA와 PVDF 사이에서 나타나며 PMMA와 PVDF 사이의 상용성에 의해 PVD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PVD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불소분자의 첨가에 의한 분자의 분극률이 저하되어 혼합물의 굴절률과 흡수손실은 감소하고 투과율은 증가하였다.

무정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은나노와이어가 적층으로 코팅된 투명전도성 고분자 필름의 전기 전도성, 광학 투과도 및 산화안정성 (Electrical Conductivity, Optical Transmittance, and Oxidation Stability of Transparent Conductive Polymer Film Coated With Layered Pristin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and Silver Nanowire)

  • 이영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56-462
    • /
    • 2023
  • 탄소나토튜브를 투명 전극에 활용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정제과정없이 무정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와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분산액을 제조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에 바 코팅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PET 기판 위에 SWCNT 및 은 나노와이어를 각각 포함하는 코팅층을 상호 교차시켜 적층함으로서 은나노와이어의 전기 전도도와 투과도를 극대화시키고 헤이즈 (haze)가 증가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SWCNT를 도입하였고, 무정제 SWCNT내에 존재하는 금속 촉매의 산화에 의해서 항온항습 테스트 후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를 은 나노와이어가 전기적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하여 산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SWCNT함량이 0.025 wt% 인 분산액을 PET 기판에 먼저 코팅하고 그 위에 은 나노와이어의 함량이 0.05 wt%인 분산액을 코팅한 투명전극의 시트 저항은 47 Ω/□, 투과도는 96.72%, 헤이즈는 1.93% 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게 나왔고, 산화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항온 항습 실험 후 시트 저항의 변화율이 6.4% 로 적게 나타나서 장기적 사용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정제 SWCNT 사용함으로 저비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준의 제품이 개발되었다.

형질전환 닭 생산을 위한 닭 수정란의 체외 배양법

  • 전익수;이지현;김선화;박진기;이연근;최철환;정일정;장원경;서준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72-72
    • /
    • 2002
  • 조류는 발생학적 특성상 수정과 초기 배발생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개체발생 과정이 난각 속에서 진행된다. 그러므로 수정란에 생명 공학적 기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포유류의 경우 여러 생명공학 기법이 적용된 수정란은 초기발생을 위한 체외배양 이후 반드시 모체에 이식되어야 하지만, 조류의 경우 인공적인 체외배양 체계가 확립되어 있어야 생명공학 기법이 적용된 수정란을 개체까지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닭의 난자는 난관 누두부에 배란 후 약 15분내에 정자의 침입을 받아 수정되어 난관 팽대부에 도달하면 1세포기 수정란이 된다. 그 후 수정란이 협부에 도달하면 최초로 분할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방란시에는 그 세포수가 60,000개에 이르게 된다. 한편, 계란의 형성 과정에서는 다량의 난황을 포함한 난자가 난관 누두부로 배란되어 정자와 만나게 되면 수정란으로서 계란 형성이 계속되고 정자와 만나지 못하게 되면 무정란으로서 계란 형성을 계속하게된다. 배란된 난자가 난관누두부를 거쳐 난관팽대부에 도달되면 난자는 농후난백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고 난관혈부에 도달되면 난각막이 형성되고 수양성 난백이 침적하게 된다. 그 후, 난관협부를 지난 난자는 난관자궁부에 도달되면 20시간이상 그곳에 머물면서 난각형성이 진행된 다음 방란된다. 따라서 수정란에 외래유전자를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 닭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정란을 암탉의 난관 내에서 최초 분할되기 전에 외부로 끄집어내어야 하며, 수정란에 외래 유전자를 미세주입한 다음에는 다시 암탉의 난관내로 이식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그러한 기술은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모체의 난관 속에서 일어나는 배 발생과 그 이후 개체까지의 발생을 위하여 인공적인 체외배양 체계가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형질전환 닭을 생산하기 위한 양질의 1세포기 수정란 획득 방법과 획득된 수정란의 체외 배양방법에 관하여 기술적인 측면에서 고찰 해보고자 하며, 그와 같은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외래유전자를 도입한 일련의 결과에 관하여 보고 하고자한다.

  • PDF

복식에 표현된 시대적 이상미 - 르네상스.바로크 시대를 중심으로 - (Ideal Beauty Represented in Dress - Focused on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

  • 신주영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131-148
    • /
    • 2008
  • Each stylistic period through history has its own unique look. The characteristic look of each period is completed and visualized with its prevailing ideologie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morality by means of 'form'. A period expresses its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form according to the widespread preferences of the time. Among the various cultural factors that form the look of the time, those that the period holds as ideal aesthetic values create the concept of 'ideal beauty' for that period. This study begins by establishing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ideal beauty' and develops the premise that dress reflected ideal beauty.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the selected objects are dresses represented in paintings, the actual garments from the Renaissance to Baroque periods and written references about art, art history, and history of costume. The results, based upon a theoretical study of the zeitgeist and aesthetic values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re as follows: first, ideal beauty influences the substance and form that constitute dress style. It is a byproduct of the spirit of time, the zeitgeist. The concept of ideal beauty is born within the lifestyle pursued by the ruling class and focuses on the body as an epitome of beauty, moral values, custom, lifestyle and taste as it becomes visualized via form. Second, the aspect of dress representing the ideal beauty of particular time varied according to the times. In both periods, power and dignity were used to achieve the ideal aesthetic values. In the Renaissance, power was expressed by the horizontal extension of dress (i.e. wide farthingales and sleeves) and in the Baroque period, by vertical extension (i.e. long and tall wigs, fontanges and trains). It can be said that fashion in both periods achieved an ideal, such as power and dignity, via the same means, by extending dress sizes, but the ways in which those ideals were portrayed in each period's dress yielded very contrary styles. It is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that ideal beauty influenced the dress style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and played a decisive role in determining its forms and symbolic meanings.

패션과 Arte Povera에 표현된 물질성 - 1960년대와 이후 이탈리아 패션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Materialism in Fashion and Arte Povera - Focusing on Italian Fashion in the 1960s and beyond -)

  • 이윤경;김민자
    • 복식
    • /
    • 제59권4호
    • /
    • pp.126-142
    • /
    • 2009
  • Arte Povera, which was started centering around of Italy in 1960, made a great sensation using by base materials in the works that were totally different from other artists' work. Beginning of Arte Povera was just starting of Base Materialism and it was a reconsideration about the life's authenticity in material civilization. Arte Povera carried worthless materials, which were overlook or ignored in the life, into the gallery. In this study, records and Arte Povera Group's works was studied. The outcome of Arte Povera's materialism was used to an analysis of fashion designers' works. It shows how to explain Arte povera's materialism in fashion designers' works in 1960s and since 1990. Materialism in fashion is expanding from constructed materials of the clothing to the body. The expression method is getting various and complex. As if 1960s' art was, modern fashion is getting one of the testing places for the Ideology. It is getting out of the boundary of the utility as fashion art by using materials. So a function of the clothing is expending including wareing. The same expression methods of the materialism between fashion and art are as follow: First, revealing silhouette or materialism of the body or material as formless material. Second, an expression method as Base Materialism from a raw material. Third, the mobility and the transformation, which are a changea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place, a space and an audience.

소말리아 정부와 테러조직 간 권력구도 변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Factors of the Power Transition among the Gov ernments of Somalia and Terrorisms)

  • 이표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37-147
    • /
    • 2021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소말리아 연방(지방)정부와 테러조직 간의 권력구도 변화를 분석하여, 테러 집단들의 권력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을 정리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겐소, 오간스키, 그리고 홀스티의 이론에서 권력구도 변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조직의 설립목적 및 배경, 활동 중점 및 방향, 조직 힘의 변화(외부 지원 군사력), 활동에 대한 대중의 지지 등의 독립변수를 추출하여, 분석의 틀을 만들었다. 이를 기초로 2012년 8월 소말리아 연방정부 시점부터, 2019년 8월까지 연방정부, 소말릴란드, 푼트란드, 알 사뱌브, ISIS 간 권력구도를 분석한 결과, 연구 종점의 연방정부의 권위는 약화된 반면, 무정부 갈등과 얄 샤바브, ISIS 권력지역은 오히려 확대되어 있었다. 이런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과 사건들에 기초하여, 분석의 틀에서 제시한 요인들은 강력한 연방정부 수립 지연과 그로 인한 국가 자국군 역량 부족, 미국, 영국 등 외부 지원국 군사력의 효율적 사용제한, 테러단체 간 협력 및 반목 지속, 소말리아 내 뿌리 깊게 형성된 종교 및 사회적 전통인 이슬람법에 기초한 테러단체들에게 유리한 은신환경, 경제상황 낙후로 인한 병력 모집의 용이성, 무능한 정부보다는 테러단체들의 목표 및 행위에 대한 대중의 지지형성 등으로 소말리아 권력구도 변화에 맞게 구체화할 수 있었다. 이들 요인들은 연방정부와 테러단체 간 갈등 해결을 어렵게 만들어 소말리아내 무정부 상태를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uberiz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Chestnut(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희동;박중수;박경열;최영진;유창재;심상우;노영덕;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23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최근(最近) 우점화(優占化)되어 방제(防除)가 어려운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방개의 방제체계(防除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한 일환으로 괴경의 분포(分布) 및 괴경 형성특성(形成特性)을 구명(究明)하여 1993~1994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이다. 1. 올방개는 조식(早植)할수록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증가(增加)하고 괴경중(塊莖重)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이들 괴경(塊莖)은 주로 표층(表層)에 분포(分布)하였다. 2. 괴경(塊莖)의 토중분포(土中分布)는 0~10cm의 표층(表層)에 가장 많았고, 20cm 이하(以下)의 심토(深土)에는 10---- 내외(內外)의 괴경(塊莖)이 분포(分布)하였는데, 후기(後期)에 형성(形成)된 괴경(塊莖)들은 주로 표토(表土)에 분포(分布)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경운(耕耘) 작업(作業)을 생략(省略)한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및 무경운(無耕耘) 무정지구(無整地區)에서 괴경형성(塊莖形成)이 많아졌고, 무경운(無耕耘) 정지(整地)의 경우 0~10cm의 표층(表層)에서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4. 지하관정(地下管井)으로부터의 냉수관개(冷水灌漑)에 의하여 형성괴경수(形成塊莖數)는 약간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괴경(塊莖)의 크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색(着色) 셀로판 필름을 이용(利用)한 차광(遮光)은 괴경중(塊莖重)과 맹아율(萌芽率)의 감소(減少)로 나타났는데, 특히 녹색(綠色)의 경우 괴경수(塊莖數)의 감소(減少)도 현저하여 차광효과(遮光效果)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VIS/NIR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미부화란의 조기 검출 (Early Detection of Clear Egg in Incubation Using VIS/NIR Spectroscopy)

  • 김학성;김기석;김용노;강석원;노상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17
  • 정상적인 부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1차 검란은 일반적으로 5일~7일 이후에 시행된다. 미부화란을 이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검출할 경우 부화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감소 효과 및 미부화란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산란계인 하이라인 브라운 품종의 유정란 29개와 인위적인 미부화란을 만들기 위한 동일 품종의 무정란 11개를 사용하였으며 $38^{\circ}C$, 70% 조건의 항온항습기에서 96시간 동안 부화하였다. 스펙트럼 획득 장치의 광원은 녹색영역을 발광하는 LED램프와 일반 할로겐 광원을 별도로 사용하였으며 스펙트로미터는 VIS/NIR 영역인 520~1,180nm영역과 NIR영역인 900~1,700nm영역의 것을 사용하였다. 부화 시작 전과 부화 시작 후 1일 간격으로 각각 1개의 샘플에 대한 1개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 영역은 LED광원을 이용한 경우는 520~1,1800nm, 할로겐광원을 이용한 경우에는 520~1,180nm와 900~1,700nm이었다. 정상 부화여부는 4일차에서 할란하여 확인하였고, 측정 일자별로 PLS-DA분석법을 이용한 판별 모델을 개발하였다. 4일차에서 유정란 29개 중 11개가 정상 부화하였고, 18개는 미부화하였다. 3일차에서 판별 모델의 정확도는 LED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 할로겐 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70%, 할로겐 광원의 NIR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70%였다. 4일차에서 판별 모델의 정확도는 LED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 할로겐 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90%, 할로겐 광원의 NIR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였다. 부화 3일차는 정상 부화할 경우 피가 생성되는 시기이다. 피가 형성된 이후의 부화 여부를 판단하는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보다 LED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잠란 발육과정에 따른 RNA 함량의 변동 및 방사선이 잠란 RNA 함량에 미치는 영향 (1) (RNA content of Bombyx mori egg during its development and irradiation effect on its RNA content (Part. 1))

  • 김영수;이기영;최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3-28
    • /
    • 1963
  • (1) 산란후 유정란의 RNA량은 계속 증가하여 제 5일에 최고 (제 1일의 약 2.1배)에 달하고 제 6일부터 약간 감소된다. 이와 같은 RNA 량의 변동은 잠란의 배자형성 및 발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무정란의 RNA 량은 산란직후부터 유정란의 그것에 비하여 대단히 적고 (약 절반임) 제 4일까지 약간의 증가를 보이나 제 5일부터 감소한다. (3) 조사유정란은 방사선조사(3,000 r)후 제 2일까지는 RNA 량이 약간 증가하나 그 후부터는 별 변동이 없다. 즉 방사선 조사로 란 RNA 합성이 크게 억제됨을 알 수 있다.(4) 침산처리란은 침산처리 제 4일부터 RNA 량이 격증하여 부화 1일 전인 제 7일까지 계속된다. 비침산란은 해기간중 RNA 량의 변동이 거의없다. 조사침산처리란 (1,500 r)에 있어서는 조사후 제 3일까지는 비조사란과 달라 RNA 량이 감소되었다가 제 4일부터 격증하여 제 7일까지 계속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