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립표본 t-검증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4초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hooting Training System using an Accelerometer)

  • 주효성;우민정;우지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63-271
    • /
    • 2021
  • 거총부터 격발까지 총구 움직임의 궤적을 추적하여, 사격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전자 기반 사격 훈련 시스템이 사격 훈련 현장에서 활용되어 왔다. 광전자 기반 시스템은 설치가 복잡하고, 표적의 파손 위험이 존재하며, 고가의 장비로 선수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비용의 가속도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체위 떨림을 측정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사격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가속도 센서 모듈은 총기의 에어 실린더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체위 떨림은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폭, 주파수, 공간적 패턴 지표로서 분석되었다. 가속도 센서와 기존의 광전자 기반 시스템에서 측정된 사격시 체위 떨림 진폭 지표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좌우 방향: r=0.76; 상하 방향: r=0.70)가 나타났다. 또한, 사격 선수를 대상으로 진행한 시스템의 유효성 평가에서는 선수의 사격 점수(최상, 최하 격발)에 따라 계산된 체위 떨림 지표가 유의한 차이(p<0.05)가 있음을 독립 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기록관 비이용 요인분석 및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ethod to Utilize and Factors to Non-Use Archives)

  • 최정원;오효정;한희정;김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9-67
    • /
    • 2017
  • 기록관은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물을 수집 관리하고 기록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의 집결지이다. 방대하고 가치 있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기록관은 현재 정보사회에서 중심에 위치하지 못하며 대중들의 인식이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관 비이용 요인을 알아보고 비이용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록관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기록관 인식을 제고하고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에게 시행한 복부마사지의 효과 (Th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on Sleep Colonoscopy Subjects)

  • 이윤정;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10-420
    • /
    • 2019
  • 본 연구는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에게 복부마사지를 시행하여 장운동 회복과 복부팽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 G병원에서 외래를 통해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을 받는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으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6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였으며, 실험의 확산효과를 막기 위하여 대조군을 먼저 자료수집 한 후 시차를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4.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x^2-test$ 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실험군, 대조군의 복부둘레 변화량에 대한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hapiro-Wilk로 검증, 복부둘레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 검증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Friedman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복부마사지가 대장내시경 검진자의 가스배출 시간($x^2=19.75$, p<.001)과 복부팽만감($x^2=29.93$, p<.001)을 감소시켜,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의 가스팽만으로 인한 불편감을 완화하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건의료 간호정책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및 정치 관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ealth Care Nursing Policy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Interest)

  • 김민지;김경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125-134
    • /
    • 2023
  • 본 연구는 보건의료 간호정책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및 정치 관심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2023년 3월 8일부터 6월 21일까지 G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44명, 대조군 45명으로 총 89명이었다. 보건의료 간호정책 교육은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모형의 교수설계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보건의료 간호정책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정치효능감(t=2.34, p<.05)과 내재적 정치효능감(t=2.75, p<.05), 소극적 정치참여(t=2.22, p<.05)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간호교육에서 보건간호정책 교육은 외재적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 적극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도록 제언한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원두 커피,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Quality Attributes of Bean Coffee and Instant Coffee for the Koreans and the Mongolians)

  • 조미나;벌러르에르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1-23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한국인과 몽골인이 원두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 품질 중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품질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2년 4월 16일부터 5월 12일까지 한국의 서울, 경기 지역과 몽골의 울란바타르시의 20-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각 253부, 250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으로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IPA를 실시하였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원두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커피의 맛, 향기, 양, 가격, 위생, 신선도, 유통기한 등은 한국인이 몽골인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커피의 영양, 성분표시에 대해서는 몽골인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몽골인이 한국인보다 커피의 가격, 영양, 온도, 성분표시 등에 대해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인은 몽골인보다 커피의 양, 가격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몽골인은 커피의 영양, 온도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몽골인이 한국인보다 커피의 영양, 온도, 다양성, 신선도 등의 수행도에 대하여 더 높게 평가하였다.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원두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하여 한국인은 '커피의 가격', '유통기한', 몽골인은 '커피의 영양', '커피의 위생', '성분표시'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 중에서 한국인은 '커피의 위생', '커피의 농도', 몽골인은 '커피의 농도', '성분표시'를 중요 관리점이라 하였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성측정 지위 유형과 동적학교생활그림검사(KSD)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ociometric Status and KSD Reaction of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안이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4, 5, 6)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KSD 반응의 차이와 사회성측정에 의한 5가지 지위의 유형별로 KSD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에 근거하여 진행된 연구였으며, 동시에 KSD 반응이 사회성측정의 지위 유형을 어느 정도 판별하는지를 확인하는 연구였다. A시에 소재한 4학년 5학급, 5학년 5학급, 6학년 10학급으로 총 20개의 학급에 대하여 안이환(2007)이 개발한 사회성측정과 Burns와 Kaufman(1970)의 KSD를 실시하였다. 피검자의 수는 총 366명이었으며 엄밀한 형태의 층화군집표본 추출법은 아니었다. 3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차례대로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변량분석, 판별분석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KSD 반응의 3요인 가운데 인물상의 행위, 인물상의 특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동성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원변량분석의 결과 여학생의 KSD 반응 가운데 인물상의 특징 및 역동성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인물상의 행위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KSD 반응 가운데 인물상의 특징이 남녀에 대한 구분 및 사회성측정의 지위 유형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田中志帆(전중지범)(2009)이 제안한 KSD 채점체계 영역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KSD 반응이 사회성측정을 잘 판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성측정을 보완하는 도구로서의 투사적 그림검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였다.

  • PDF

서울지역 실버고객들의 외식식습관과 소비행동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Propensities on Dining out as Perceived by Silver Generation in Seoul)

  • 최미숙;김동호;박효남;김성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0-266
    • /
    • 2015
  • 오늘날 실버세대는 독립된 소비세대로 사회 여러 분야에서 실버외식산업을 급성장시키는 세대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의 주체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실버세대에 대한 외식 소비행동에 따른 외식 선택속성과 식습관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실버 연령인 2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습관 수준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소비태도와 외식소비행동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chi}^2$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버세대의 식습관 수준은 3점 만점에 평균 2.02점으로 나타나, 식습관이 어느 정도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외식소비태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습관 태도가 비교적 양호한 사람들이 불량한 집단보다 물리적인 환경, 메뉴의 다양성, 업체의 품질과 서비스를 찾아서 외식업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외식소비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습관 수준에 따른 외식업체 정보 출처와 외식업체 선택 선정기준 변수에 대해서만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송영훈;하민성;하수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6-315
    • /
    • 2018
  •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 40명, 고학년 4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주 1회, 24주간 실시되었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초체력은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순발력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도서관불안 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asing Library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 박현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1-42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양과목으로 도서관이용교육을 5주간 실시한 후, 대학생의 도서관불안에 대한 사전과 사후의 차이와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서관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대학의 1학년 교양필수교과를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도서관이용교육 내용은 도서관의 조직 및 기능 이해, 도서관 자료의 조직, 학술정보의 종류 및 이용방법,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기술, 도서관에서의 저작권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2차례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교육 첫주인 2006년 9월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는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로 교육 마지막 주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 수는 92건이었다. 측정도구는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는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불안도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중에서 4개 요소가 교육이전보다 교육이후에 완화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