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주제도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Ventilating Seat Comfort Temperature for Improving the Thermal Comfort inside Vehicles (자동차 실내 열쾌적성 개선을 위한 통풍시트의 쾌적온도 분석)

  • In, Chung-Kyo;Kwak, Seung-Hyun;Kim, Chang-Hoon;Kim, Kyu-Beom;Jo, Hyung-Seok;Seo, Sang-hyeok;Myung, Tae-Sik;Min, Byung-Ch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3 no.4
    • /
    • pp.33-40
    • /
    • 2020
  • As the number of automobile registrations increases and luxury expectations grow,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indoor environment of vehicles. Therefore, manufacturers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improving the indoor comfort as well as automobile performance. Research on indoor automobile comfort can help manufacturers increase driver satisfaction and reduce driver stress and discomfort,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Using electroencephalogram (EEG) measurements,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comfort and comfortabl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entilating seat temperature change for both men and women. Results showed that the sensation of comf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t 25℃ than at 28℃. Second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based comfort feeling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In the future, i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iver's comfort feeling and the change in ventilating seat temperature is analyzed, it is possible to reduc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and reduce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automobile.

A Policy Direction for Future River Management: Results of Expert and Citizen Recognition Survey (미래 하천관리를 위한 정책방향: 하천관리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인식 조사 및 비교)

  • Kim, Ik-Jae;Lee, Seung-Soo;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8
    • /
    • 2020
  •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한 물관리 정책은 항상 국정 과제의 중심에 있다. 물관리는 수재해예방, 양질의 안정된 물이용, 충분한 식량생산, 수생태계와 물환경의 보호, 효과적 재정투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계층적이면서도 상호연계성 있는 전문성을 요구한다. 동시에 물관리의 효과와 편익은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고 환경보전의 원천이므로 정책의 수요는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과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기인한다. 특히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또는 감염병 대발생과 국가적 위기에도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유효한 물관리 정책은 필수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의 세분화 또는 파편화는 물관리 전문성 강화의 효과보다는 비효율성의 결과를 더 크게 생산해 왔었다. 특히 부족한 협력과 조정은 과잉·중복 투자, 비일관적 정책, 비효율적 성과라는 왜곡된 통합물관리 정책 순환이 반복되게 하였다. 최근 정부는 국토교통부의 하천수량(홍수 포함) 및 광역상수도 관리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하는 물관리일원화를 추진하여 통합물관리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비록 정부조직법 개정과 물관리기본법 제정으로 통합물관리 정책의 틀은 마련되었으나, 국토교통부가 하천법 상의 일부 사무를 담당하므로서 하천관리 정책의 복잡성과 다원화는 높아졌다. 따라서 하천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만족도, 관리주체, 미래상, 물관리일원화 후 정책수요, 기후변화에 관한 인식, 하천관리 참여 의향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며 향후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등과 같은 재정사업의 추진 방향에도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와 미래 하천의 이용 및 관리, 그리고 정책방향에 대하여 일반 시민(4,500명)과 전문가(168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3가지 부문(하천이용, 하천관리, 하천정책)으로 구분하여 각 부문별로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 간의 인식조사 비교 결과, 공통적으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깨끗한 수질의 하천'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하천관리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응답도 대하천, 도랑이나 개울, 중하천, 소하천 순으로 동일하였지만, 1순위와 2순위의 격차는 시민(26.1%)보다 전문가(1.2%)가 낮았다. 또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관리의 주체로 '물전문기관'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지만, 전문가는 '물전문기관' 다음으로 중앙부처(20.2%)를 선호하였지만, 시민은 중앙부처(6.8%)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하천관리 주체로 응답하여 두 집단 간의 큰 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물관리일원화 후 보다 큰 관심을 가져야할 정책으로는 '건강하고 깨끗한 수질'을 시민(38.9%)과 전문가(47.0%)는 1순위로 선택하였으나, 2순위는 시민은 '생태서식공간'(11.6%)을 전문가는 '안정적 수량확보'(20.2%)를 선택하여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New Media Usage as Additional Demographic Variables (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새로운 미디어 이용요인 연구)

  • Cho, Eun-Hee;Cho, Sung-Kyum
    • Survey Research
    • /
    • v.13 no.1
    • /
    • pp.33-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need to adopt new media usage variables as additional demographic variables. For the study, 500 Daejeon citizens were surveyed in July 2011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income still have effective explanatory power, but the explained variance of dependent variables was not stab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addition of new media usage variables(internet, SNS, smart phon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lained variables in three out of ten issues(global warming,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suppor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s national policies). Although the new media usage variables failed to consistently explain variance on several issues, they may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ublic support of national policy or new agenda like global warming.

  • PDF

METROPOLITAN INTERIOR - Interior Design as Urban Discipline - (대도시적 인테리어 디자인 - 도시분야로서의 인테리어디자인 -)

  • Bruno, Marc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2
    • /
    • pp.100-108
    • /
    • 2004
  • 인테리어 디자인학은 보편적으로 건물의 내부공간, 즉 매우 명확한 경계들을 전제로 잘 정의된 공간들에 관한 연구로 그 범위가 제한되어져 왔다. 따라서 건축, 도시, 또는 매우 광대한 의미에서의 환경디자인의 특권으로 알려져 있는 도시에 관한 쟁점을 그다지 자주 다루지 않는 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극도로 고밀도화된 현대의 대도시들은 주요 지하 교통망을 중심으로 상업, 유흥, 업무시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거단지에 까지 쉽게 연결되는 거대한양의 전이 실내공간들을 창출해내고 있다. 이것이 최근 홍콩의 건축가 게리 챙(Gary Chang)에 의해서 규정된 새로운 개념의 고밀도 도시 인테리어 랜드스케이프(interior landscape)인 것이다. 이러한 인테리어스케이프의 개념은 현대 도시의 모습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개념들 중의하나라 할 수 있는데 다양한 요소들이 혼합된 그 특성은 이제 사회학, 건축, 인류학, 도시탐험, 인테리어 디자인, 도시 그리고 환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논쟁의 주제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제 도시에 관한 연구는 더 이상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서부터 출발되는 것이다. 극도로 밀집된 아시아의 대도시들은 이렇게 혼잡한 도시환경의 모든 요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상황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상업적 목적으로 건물 전체를 사용하는 수직적 전략이나 다양한 문화적 행태들은 도시 환경의 '혼잡성'을 그냥 참을만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도시만의 매력적 요소로 부각시켜 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테리어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논쟁들의 분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장소성의 부재'의 개념, 혼잡의 문화, 공공공간의 사유화, 결절도시, 한계의 개념들을 분석하여 아시아 대도시들이 어떻게 이러한 쟁점들을 그들 자신만의 고유한 해결책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을 사례분석 중 하나로 사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대도시로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

Application of Framework Data Model for Road Management (도로관리를 위한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응용 연구)

  • Ji Jeong-Kuk;Lim Seung-Hyeon;Choi Young-Taek;Cho Gi-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1
    • /
    • pp.31-38
    • /
    • 2005
  • Importance of road that is country base equipment is occupying fair part. Therefore, establishment of road and maintenance expense for road management are increasing continuously. These problem can manage efficiently through data model construction that take advantage of framework data. But, because of difference of method of study in research institution, framework data research was constructed being overlapped until current. This is because framework data research was no access of application side. Therefor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resented subject framework data model guide through framework data model standardization business. This research constructed road management data model that take advantage of traffic framework data. Therefore, we can check equal data construction and reduce expense accordingly. Also, because there are not data model development instances by framework data model, it is difficult that judge whether is suitable to apply framework data model guide. Hence, in this study, the extended road management data medel and the suitability of framework data is presen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MZ Tourism Merchandising which Use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을 통한 DMZ관광 상품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Do 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1
    • /
    • pp.83-9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MZ tourism merchandising which use storytelling. also this study is to develop DMZ tourism imagery using the storytelling structured the subject matters based on DMZ. storytelling tourism is the oldest and the best factor of tourism activity among induced factors in these days. As a life of human being is upgrading, the importance of DMZ storytelling tourism merchandising will be magnified. Even tourism commercialization is able to make an achievement as an economical effectiveness to a developing country.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members of leading tourism business and job performance in travel agenc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0.0.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local government and DMZ tourist business operators consider the storytelling for vitalizing authenticity to improve tourists'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s about DMZ tourism commercialization to achieve various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공간 데이터의 유효활용에 관한 연구)

  • 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3
    • /
    • pp.91-1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o so, information systems and spatial data established in each department are analyzed. Spatial data distribution network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are integrated to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and the service is expanded for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participate. Information systems suppli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22 and information systems operating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 168. In addition, there are also 295 types of the thematic maps in 11 fiel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oad transportation, livestock, and etc. For systems integ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and linkage system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In the next logical step, generation of metadata, experiment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data, and construction of the data center should be necessary.

Trends of Cave Study in Korea (국내의 동굴 연구 동향)

  • Hong, Hyun-Cheol;Kim, Won-Jin;You, Young-Ju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0
    • /
    • pp.1-8
    • /
    • 2009
  • Spele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cave in korea.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1970s, research was focused primarily in the field of geomorphology(geology). But, since the 2000s, a variety of disciplines in the cave study is in progress.

A Study on the GIS Feature and Attribute Coding Scheme (GIS 지형지물 및 속성부호 표준화에 관한 연구)

  • Song, Hyun-Seung;Lee, Byung-Kil;Park, Seong-Bok;Lee, Sang-Z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2 s.6
    • /
    • pp.63-74
    • /
    • 1995
  •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national GIS development is considered to be the standardiz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oding scheme for the GIS features and attributes. The comparative study on those of the several international transfer standard is, therefore, very meaningful.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eatures and attributes coding catalogue for the three different exchange standards; SDTS, DIGEST and SP-57. And also the new coding scheme is proposed as the unified standard frame to be used for all the GIS related application and the digital product.

  • PDF

An Application Method of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의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

  • You, Ho Ju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5-195
    • /
    • 2019
  • 최근 센싱 기술과 정보화의 영향으로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점, 선, 면으로 구성된 자료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로 관리하는 레이어 형식으로 저장하여 자료를 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최근에는 영상자료, 시계열자료 등 기존의 자료와 다른 비구조적 형태의 자료가 발생함에 따라 하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하천공간정보를 관계형 구조로 설계하고 있다. 하천의 경우, 각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고유의 값을 활용하여 인접한 하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천의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하천공간정보들을 관계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성은 자료의 저장, 관리, 제공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기하학적인 고려가 없기 때문에 공간정보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쉽게 설명하면, 1차원 점에 해당하는 공간좌표는 가장 가까운 하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관계성 부여가 가능하지만, 2차원 선과 3차원 면에 해당하는 도형을 대표하는 위치가 공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관계성을 부여하되 하천공간정보가 가지는 기하하적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하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곡선좌표계 부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천은 실제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직교좌표계를 활용하기 보다는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많은 수치해석 모형에서는 곡선좌표계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로나 교통 분야의 공간정보에서도 공간적 고려를 위해 곡선좌표계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중심선 혹은 최심선을 기준으로 흐름방향 거리를 S, 횡방향 거리를 N으로 설정하여 곡선좌표계를 정의하였으며, 직교좌표계와 곡선좌표계간의 좌표변환을 위해 이차원 변환방법인 투영변환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할 경우, 하천 네트워크 기반 공간정보가 자료 간의 관계성을 유지하며, 기하하적 고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