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공간 데이터의 유효활용에 관한 연구

  • 백태경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3.07.01
  • Accepted : 2013.09.09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effective use of spatia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o so, information systems and spatial data established in each department are analyzed. Spatial data distribution network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are integrated to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and the service is expanded for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participate. Information systems suppli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22 and information systems operating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 168. In addition, there are also 295 types of the thematic maps in 11 fiel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road transportation, livestock, and etc. For systems integ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and linkage system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In the next logical step, generation of metadata, experiment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data, and construction of the data center should b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공간데이터의 유효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를 위하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각 부서에서 구축된 정보시스템과 관리되고 있는 공간정보를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의 관련동향으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와 국가공간정보유통센터를 들 수 있는데 분산되어 있는 유통망을 국가공간정보유통센터로 통합하여 공공과 민간이 다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의 중앙부처 보급 행정정보시스템은 총 22개이며 부산광역시에서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은 총 168개로 파악되었다. 그 이외에도 2009년 국가공간정보체계 2차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행정공간정보체계를 구축하였는데 환경, 도로교통, 축산 등 11개 분야 295종의 행정주제도가 있었다. 향후, 이들 시스템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며 정보시스템 통합 관리 및 연계, 고도화 방향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1)메타데이터 구축 및 정보시스템 연계 (2)공간데이터 유효활용을 위한 실증실험 (3)데이터센터 구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aek, T.K., Y.H. Kim and J.M. Choi. 2004. Constructing land-use database based on the cadastral map and registered build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4):133-142 (백태경, 김영훈, 최정미. 2004. 지적도와 건축물대장 연계를 통한 토지이용 DB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7(4):133-142).
  2. Jeong, M.S. and D.H. Kim. 2003. Strategies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1(4):341-358 (정문섭, 김동환. 2003.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 전략. 한국GIS학회지 11(4):341-358).
  3. Kim, H.Y. and S.H Lee.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for expanding the use of spatial data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80-91 (김호용, 이성호. 2008. 지방자치단체 공간 Data 활용확대를 위한 Social Network Analysis의 적용방안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80-91).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Japan. 2007.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Promotion Law. 12pp (日本国国土交通省. 2007. 地理空間情報活用推進法.. 12pp).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Japan. 2000. Demonstration of GIS Model in the Fukuoka Prefecture. 56pp (日本国国土交通省. 2000. GIS モデル地区実証実験福岡県地区における取り組みについて. 56pp).
  6. Park, J.M. and C.S. Hwang. 2005. A design and practical use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spatial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3):239-252 (박지만, 황철수. 2005. 공간적 의사결정을 위한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및 활용. 한국GIS학회지 13(3):239-252).
  7. Shin, D.B., S.Y. Park, J.S. Jeong and D.H. Kim. 2005. RM-ODP application and architecture design for national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13(4):75-81 (신동빈, 박시영, 정진석, 김동한. 2005. 지리정보 통합포털 구축을 위한 개방형 분산프로세싱 참조 모형 적용 및 아키텍처 설계. 지형공간정보학회 13(4):75- 81).
  8. Youn, J.H. 2008. Enterprise architecture for linking administrative affairs and spatial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16(3):95-103 (윤준희. 2008. 행정업무에 공간정보 연계활용을 위한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16(3):95-103).
  9. http://info.seoul.go.kr/space/space04.html.
  10. http://www.nsdi.go.kr/.
  11. http://www.nsic.go.kr/index.jsp.
  12. http://www.mlit.go.jp/kokudokeikaku/gis/gis/index.html.

Cited by

  1. 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공간정보정책 및 시스템 분석 사례 - vol.45, pp.1, 2013, https://doi.org/10.22640/lxsiri.2015.4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