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전담간호사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09초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 곽찬영;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83-595
    • /
    • 2014
  •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의 운영현황 및 업무 실태를 전수조사 하여 전담간호사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총 318개의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부서장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141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704명의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2011년 4월부터 5월에 자료수집이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담간호사의 평균연령은 32.5세이며, 교육수준은 대졸이 가장 많았고, 전문간호사 자격증 보유자는 13.4%이었고, 전담간호사의 전반적인 업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3점이었으며, 불명확한 업무 구분이 전담간호사를 가장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담간호사 역할정립을 위해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 마련(5점 만점에 평균 4.71)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담간호사 실태는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한 낮은 만족도, 부적합한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전담간호사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담간호사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한국 실정에 맞는 전담간호사 제도 확립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겠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한 중환자실 의료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Intensive Care Unit Health Care Providers with Intensive Care Unit Clinical Nurse Expert's Role)

  • 문현정;최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79-389
    • /
    • 2022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한 중환자실 의료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일개 기관의 4개 단위 내·외과계 중환자실 소속 의사, 간호사 총 138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3일부터 29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5점 만점에 의사 4.18점, 간호사 3.95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의사 4.39점, 간호사 3.85점으로 중요도(t=2.33, p=.024)와 만족도(t=5.43, p<.001)가 두 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직종 모두 전문간호실무, 전문직 활동, 조정협동, 교육상담, 연구 순으로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가 일치하였다. 집중개선 영역으로는 의사는 실무 표준 및 가이드라인 개발, 전문가 역할 모델과 자기 개발과 환자/가족 교육으로 나타났고, 간호사는 의료진 교육으로 평가하였다. 중환자실 전담간호사 역할에 대하여 전문성을 강화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담간호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 (A integrated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hysician assistant)

  • 문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59-165
    • /
    • 2020
  •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업무 실태를 파악하여 PA제도에 대한 정책 수립의 방향 및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체계적 문헌 고찰적 방법론을 통해 'PA(전담간호사, 의사보조인력)' 검색어로 KISS, 국회도서관, NDSL, RIS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에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국내 주요 일간지 11개와 의료계 전문지인 청년의사신문 등 총 12개 신문에 보도된 전담간호사 관련 주요 사건 관련 기사 15편 등 총 23편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적 융복합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편의 논문 분석 결과, PA의 업무와 관련된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불명확한 업무범위 및 규정 부재는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5편의 보도기사를 통해 관련 기관들의 긍정적, 부정적 의견 대립 속에 전문의료인으로서의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제화 및 교육제도 확립이 시급함을 파악하였다. 향후 PA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폭력 발생시 법의간호사의 역할 (The role of Forensic Nurse in the situation of Sexual Assault)

  • 육지영;곽정식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4
    • /
    • 2006
  • 해마다 늘어만 가고 지능화되어 가는 성폭력 범죄에 의료인으로서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실제적으로 간호사의 역할이 제한적이다. 현재 간호사는 상담소에서의 상담이나 학교나 지역사회에서의 성폭력 방지와 예방 교육을 하고 있으나 피해자 발생 초기 대응시 실제적이고도 즉각적인 도움은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전문적인 소양을 가진 성폭행 전문 간호사들을 교육하고 배양함으로써 증가하는 성폭행 피해자들에게 즉각적인 의학적 처치와 위기중재에 대한 전문적인 대응으로 성폭력에 대한 법적기소와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해 현재 한국은 성폭행 피해자와 관련된 의료적 대처에 대한 관련 교육 기관이나 의료 기관이 없으며 의료기관내 간호사의 역할도 미비한 게 현실이며, 성폭력 담당 기관에서조차도 관련 교육을 받은 의료진에 의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초기 대응 및 증거수집 및 체계적인 증거 및 자료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루 빨리 우리 실정에 맞는 영역을 설정,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성폭행 전담 간호사의 양성이 필요하며, 각 성폭력 담당 기관에서도 전문적인 법의간호사에 의한 피해자 관리가 필요하다. 전문적,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해 양성된 간호사에게 각 부서의 인증 및 자격을 부여하여 성폭력 관련 기관에서 의무적 배치 등으로 효율적인 처치 및 간호제공을 할 수 있는 법률적 제도 보완 역시 절실하다. 또한 정부 및 의료기관과 사회단체들이 협력하여 효과적이고 공신력 있는 전문양성 기관을 마련하여 전문적이고 훈련된 성폭행 전담 법의간호사의 배출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더욱 세분화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위해 아동 및 청소년 상대 성폭력 전담 간호사의 도입 및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일반간호사의 간호대학생 임상실습 지도 경험 (Clinical Nurses'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 최인순;서민정;전미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99-412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간호사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을 지도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경남지역에 위치한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일반간호사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을 지도한 경험은 3개 주제와 8개 범주, 25개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3개의 주제는 '학생과 함께 성장하기', '나침판 없이 학생 가르치기', '역할 속에서 균형 잡기'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일반간호사에게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을 위임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지도에 필요한 지침과 교육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교육할 것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지도를 전담하는 임상실습 전담 교육간호사의 도입을 제안한다.

COVID-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COVID-19 Dedicated Hospital on Turnover Intention)

  • 조진영;김주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41-249
    • /
    • 2024
  • 본 연구는 COVID-19 거점 전담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환경,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I지역의 일 개 COVID-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 1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 의도는 근무경력(F=11.20, p<.001)과 직급(F=4.09,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r=.561, p<.001), 간호업무환경(r=-.38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46, p<.001), 11년 이상의 근무경력(β=.34, p<.001), 3~10년의 근무경력(β=.20, p=.022), 간호업무환경(β=-.22, p=.001)이며 43.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에 COVID 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염병 상황에서는 경력별 업무 특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 감소 방안과 효율적인 간호업무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교육전담간호사 운영 효과 (Effect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 조옥연;이선희;이한주;한미예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2호
    • /
    • pp.130-13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preceptor nurs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by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71 general nurses and 71 preceptor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of G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and occupational stress of preceptor nurs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ere verified by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WIN 27.0 statistical program.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fter Sapiro-Wilks normality test, and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cheffétest. Results: It was infer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9.32, p<.001) i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with an average of 3.72±0.77 before the education and 4.47±0.60 after the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al stress in the preceptor nurses. Conclu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troduction of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nurses. This result will serve as basic data to implement educational nurse practitioners for general nurses in all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s.

노인전담 방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Educational Program)

  • 백희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0-24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n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 in Seoul by assessing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level of learning goal achievement.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Instructional System Model. Participants were 170 nurses hired for the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visiting service for older people. Based on Kirkpatrick's Training Evaluation Model, reaction and learning evaluations were conducted during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basic and professional courses. The evaluation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lectures and field placement. Over 90% of the participants achieved the learning achievement goals. Conclusion: The program developed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 in Seoul is considered a valid educational program because of the participants'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교육전담간호사 제도 시범사업 적용에 따른 일 의료기관에서의 성과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Pilot Program for the Education Nurse System in a Medical Institution)

  • 심원희;박지선;임효민;김은혜;김진현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3호
    • /
    • pp.242-25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pilot program for the education nurse system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a medical institution. Methods: This study was employed a non-homogeneous comparative group design by comparing new nurses who entered the medical institution after the pilot project from December 2019 to April 2020 with new nurses who entered before the pilot project during the same period.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job adaptation, personal turnover within one year, and patient safety incident rate were investigated as performance indicators. Results: After the pilot project, the overall satisfaction among new nurses, preceptors, and fellow nurses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adaptation in new nurses. The personal turnover rate decreased from 15.6% to 9.1%, and the patient safety incident rate also decreased from 26.3% to 15.7%. Also, the preceptor overtime also decreased from 3.67 to 0.66 hours. Conclusion: The performance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education nurse system was related to improvements in satisfaction, turnover rate of new nurses, patient safety incident rate, and preceptor overtime. Above all long-term monitoring of each performance indicator is necessar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education nurse system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교육전담간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ality Shock and Educational Specialist Nurse's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 송은정;김미선;이주희;전미양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3호
    • /
    • pp.344-35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ed factors i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focusing on the reality shock of new nurses and social support by education specialist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22 new nurse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1 year or less as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that is carrying out a pilot project for a new nurse training system.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of education specialist nurse, reality shock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esults: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core was 3.07±0.45 point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were social support by gender, education specialist nurse and reality shock.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ed for 72.0%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 support of education specialist nurses be enhanced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There is also a need for a program to decreased the reality shock of new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