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단지 입주여부가 기업의 경영·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Moving into an Industrial Park on a Company's Manage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 Comparing Capital Region to Non-Capital Region

  • 전영준 (성균관대학교) ;
  • 임채홍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 Jeon, Young-jun (Sungkyunkwan University) ;
  • Lim, Chae-hong (National Association of Mayors in Korea)
  • 투고 : 2024.05.21
  • 심사 : 2024.06.19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산업단지의 입주 여부에 따른 혁신·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수도권과 비도권의 지역별 차이에 따른 산업단지의 입주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22년 한국기업혁신조사(제조업)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회귀분석(OLS 및 Probit)을 통해 변수간 영향관계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고, 집단을 구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발편의를 최소화하고자 성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성과의 경우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이 비입주 기업에 비해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성과의 경우 입주기업과 비입주 기업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적 변수를 고려한 경우, 수도권에 소재한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은 비입주 기업에 비해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경영성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에 소재한 산업단지의 경우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입주기업에 대한 사후관리 방안 제시, 기업 유치 과정에 따른 다각적이며 전략적 게획 수립의 필요성 등의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oving into an industrial park on the performance of a company using data from individual companies. In addition, regional variables were additionally set, and industrial complexes were divided into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for comparis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KIS-2022 (manufacturing) to verify the hypothesis. In the case of the analysis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ere first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moved into industrial park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did not move in. Second,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moved into the industrial park and those that did no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moved into industrial park and those that did not, depending o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could b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진, 송원근(2015). 경상남도 산업단지 고용효과 분석: 2004~2011년 고용증감 효과에 대한 미시적 분석. 지역산업연구, 38(2), 251-289.
  2. 박지영, 박창근(2010). 대구국가산업단지 사업 추진에 따른 경남 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경영경제연구, 29(2), 39-57.
  3. 손창남(2009). 산업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은행 조사연구.
  4. 송지현(2015). 산업단지 입주특성에 따른 기업 경영 및 혁신성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0), 6878-6887.
  5. 송지현, 최석준(2016). 한국의 수도권은 집적효과를 갖는가: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1(1), 5-27.
  6. 이원빈(2017). 산업단지 지원정책의 효과분석 및 시사점. 월간 KIET 산업경제, 224, 54-66.
  7. 이유진(2021). 산업단지 입주가 기업의 생산성과 고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경제연구, 34(4), 897-923.
  8. 이훈영(2006). (SPS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서울: 청람
  9. 장은교(2019). 제조업의 기술수준과 차별적 성장에 따른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전상곤, 공철, 김용민, 박한울(2012). 수도권과 동남권의 산업집적 효과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3), 125-142.
  11. 전영준(2022). COVID-19 재정지원정책과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도입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 벤처혁신연구, 5(4), 157-178.
  12. 정수연(2012).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기업집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5(3), 2325-2337.
  13. 정흠공, 최용재(2021). 산업집적과 FDI 의 수출효과 분석: 중국의 대 한국 수출을 중심으로. 무역연구, 17(2), 237-253.
  14. 조혜영, 박성길, 최재경, 유근원(2017). 노후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의 추진형화과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산업단지공단. 
  15. 최명섭, 장승일, 박환용(2019). 노후산업단지 운영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부동산연구, 29(3), 7-26.
  16. 최석준, 김병수(2010). 산업단지 입주기업은 비입주기업보다 성과가 뛰어난가?: 경기도 지역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3(4), 738-757.
  17. 한광호(2020). 우리나라 제조업의 지역별 산업집적효과와 총요소생산성. 경제연구, 38(1), 55-74.
  18. 한국산업단지공단(2022). 산업입지요람.
  19. 한국산업단지공단(2023).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 2023년 4분기, www.kicox.or.kr
  20. Arnott, R. J., & Stiglitz, J. E.(1979). Aggregate land rents, expenditure on public goods, and optimal city siz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93(4), 471-500.
  21. Duranton, G., Martin, P., Mayer, T., & Mayneris, F.(2011). The economics of clusters: Lessons from the French experience. The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2(2), 573-5.
  22. Fan, C. C., & Scott, A. J.(2003).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development: A survey of spatial economic issues in East Asia and a statistical analysis of Chinese regions. Economic Geography, 79(3), 295-319.
  23. Glaeser, E. L., Kallal, H. D., Scheinkman, J. A., & Shleifer, A.(1992). Growth in citi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0(6), 1126-1152.
  24. Hasan, S., Klaiber, H. A., & Sheldon, I. (2020). The impact of science parks on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ductivity distributions: the case of Taiwan and South Korea. Small Business Economics, 54(1), 135-153.
  25. Helsley, R. W., & Strange, W. C.(1991). Agglomeration economies and urban capital market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9(1), 96-112.
  26. Hoover, E. M.(1937). Location Theory and the Shoe and Leather Industri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7. Lofsten, H., & Lindelof, P.(2002). Science Parks and the growth of new technology-based firms-academic-industry links, innovation and markets. Research Policy, 31(6), 859-876.
  28. Marshall, A(1920). Principles of Economics (8th edition). London: Macmilan.
  29. McCann, P., & Van Oort, F.(2019). Theories of agglomeration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 historical review. In Handbook of Regional Growth and Development Theories. Edward Elgar Publishing.
  30. Ohlin, B. G.(1933). Interregional and International Trad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31. Smith, J. A., & Todd, P. E.(2005). Does matching overcome LaLonde's critique of nonexperimental estimators?. Journal of Econometrics, 125(1-2), 305-353.
  32. Squicciarini, M.(2008). Science Parks' tenants versus out-of-Park firms: who innovates more? A duration model.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33, 45-71.
  33. Yang, C. H., Motohashi, K., & Chen, J. R. (2009). Are new technology-based firms located on science parks really more innovative?: Evidence from Taiwan. Research Policy, 38(1), 77-85.
  34. Zheng, S., Sun, W., Wu, J., & Kahn, M. E.(2017). The birth of edge cities in China: Measuring the effects of industrial parks policy. Journal of Urban Economics, 100, 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