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시진핑 시기 엘리트 정치와 중앙-지방 관계 -후진타오 집권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Elite Politics and Central-Local Relations in China's Xi jinping Era -Focusing on Comparison with Hu jintao's Presidency

  • 투고 : 2023.08.23
  • 심사 : 2023.10.10
  • 발행 : 2023.10.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최상층 권력 기구인 정치국의 지방 부문 구성에 대한 후진타오와 시진핑 시기의 비교 고찰을 통해 시진핑 시기 중앙-지방 관계에서 중앙 집권(集權) 강화의 배경을 엘리트 정치의 제도 기구 측면에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후진타오 시기와 비교했을 때 시진핑 시기 중앙 집권의 강화는 제도화된 형식적 구성 규범의 무력화를 통해서가 아니라 규범 안에서의 통제력 확대를 통해서 구현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즉 정치국의 지방 부문 구성에서 제도화된 틀 자체는 깨지 않고, 인사통제권을 더욱 강력하게 발휘함으로써 총서기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에 대한 지방의 순응도를 높였다고 보고 있다. 정치국 구성에 부문별 안배를 두는 것이 특정 부문이 특히 총서기와 연합하여 전횡을 휘두르는 것을 방지하고 집단지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면, 중국 엘리트 정치에서 비공식 정치가 여전히 유효한 작동 기제라는 점을 감안할 때, 시진핑 시기의 정치국은 그러한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정치국(중앙)에서 지방의 대표성이 실질적으로 상실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중앙의 집권 강화는 지속될 것으로 본다.

In this paper, I tried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ation in the central-local relations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elite politic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ovincial sector of the Politburo, the highest power body, during the time of Hu Jintao and Xi Jinping. Compared to the Hu Jintao period, it is judged that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ation in the Xi Jinping era is being implemented not through the neutralization of institutionalized formal construction norms, but through the expansion of control within the norms. In other words, the institutionalized frame itself was not broken in the composition of the provincial sector of the Politburo, and local complianc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centered on the general secretary was increased by exercising the right to control personnel more strongly.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21S1A5C2A01090085)'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권도경,김정수&박지현. (2023).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중국공산당 20차 당대회 보고문 분석. 분석과 대안 제7권제1호.
  2. 이정남. (2018). 중국 집단지도체제 권력승계의 제도화와 19차 당대회 이후의 변화: 새로운 게임 규칙의 모색인가? 중소연구 제42권제2호.
  3. 이재준. (2022). 중국 시진핑 시기 엘리트 정치에서 권력 구조 변화: 경쟁적 독재에서 확립된 독재로. 현대중국연구 제23권제4호.
  4. 전병곤,홍우택,이기현,신종호,양갑용,윤경우,이상국&주장환. (2013). 중국 시진핑 지도부의 구성 및 특징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5. 조영남. (2015). 시진핑 '일인체제'가 등장하고 있는가?. 국제지역연구 제24권제3호.
  6. 조영남. (2019). 중국 집단지도 체제의 제도 분석: 권력기구의 운영과 구성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28권제3호.
  7. 조영남. (2021). 개혁기 중국 엘리트 정치의 현황과 과제. 중소연구 제45권제3호.
  8. 조영남. (2023). 중국은 왜 갑자기 '동태적 제로 코로나' 정책을 바꾸었나? 중소연구 제47권제1호.
  9. 주장환. (2012). 중국 파벌정치의 변화: '동기'와 '동학'의 측면에서. 아세아연구 제55권제1호.
  10. 주장환&연담린. (2022). 체제전환기 중-러 엘리트 정치 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 다른 과정, 같은 결과. 분석과 대안 제6권제3호.
  11. 최지영. (2007). 중국공산당 제17차 전국대표대회 평가 및 의의-파벌정치적 관점에서. KNSI 현안진단 제105호.
  12. 허재철,문지영,박진희&이한나. (2022). 중국 20차 당 대회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제22권제15호.
  13. Cheng, Li. (2013). A Biographical and Factional Analysis of the Post-2012 Politburo. China Leadership Monitor 41.
  14. Cheng, Li. (2022). CCP Decision-Making and Xi Jinping's Centralization of Authority 2022 Annual Report to Congress. https://www.uscc.gov/annual-report/2022-annual-report-congress (검색일: 2023.06.05.)
  15. David J. Bulmana & Kyle A. Jaros. (2021). Localism in Retreat? Central-Provincial Relations in the Xi Jinping Era.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30(131).
  16. Fewsmith, Joseph. (2003). The Sixteenth National Party Congress: The Succession That Didn't Happen. The China Quarterly 173.
  17. Gang Chen. (2016). Xi Jinping reshuffles provincial leadership in China. East Asian Policy 8(4).
  18. Guoguang, Wu. (2022). New Faces of Leaders, New Factional Dynamics: CCP Leadership Politics Following the 20th Party Congress. China Leadership Monitor 74.
  19. Kerry Dumbaugh & Michael F. Martin. (2009). Understanding China's Political System. CRS Report for Congress(December 31).
  20. Kyle A. Jaros & Yeling Tan. (2020). Provincial Power in a Centralizing China: The Polit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Space". The China Journal 83.
  21. Lieberthal, Kenneth. (1978). Central documents and Politburo politics in China Michigan papers in Chinese studies; no.33.
  22. Miller, Allice. (2008). The Work System of the New Hu Leadership. China Leadership Monitor 24.
  23. Miller, Allice. (2013). The Work System of the Xi Jinping Leadership. China Leadership Monitor 41.
  24. Miller, Allice. (2018). The 19th Central Committee Politburo. China Leadership Monitor 55.
  25. Shirk, Susan L. (2018). China in Xi's" New Era": The Return to Personalistic Rule. Journal of Democracy 29.
  26. Wen-Hsuan Tsai. (2022). Central-Local Relations and Party Politics in China under Xi Jinping. Georgetown Journal of Asian Affairs 8.
  27. Yasheng, Huang & Yumin, Sheng. (2009). Political Decentralization and Inflation: Sub-National Evidence from China.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9(2).
  28. Yumin, Sheng. (2005). Central-Provincial Relations at the CCP Central Committees: Institutions, Measurement and Empirical Trends, 1978-2002. The China Quarterly 182.
  29. Yumin, Sheng. (2019). The regional consequences of authoritarian power-sharing: Politburo representation and fiscal redistribution in China. 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0.
  30. Jianglian Wang. (2018). 十九大与新时代中国宪制的发展:基于宪法变迁史的视角. 분석과 대안 제2권제1호.
  31. 中华人民共和国 中央人民政府. (2020). 中共中央印发 《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工作条例》. https://www.gov.cn/zhengce/2020-10/12/content_5550656.htm (검색일: 2023.06.21.)
  32. 张执中. (2022). 从上而下的改革-习近平时期中共干部监督与动员. 台北: 五南图书出版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