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and Lifestyle of Korean Adolescents by COVID-19

COVID-19에 의한 한국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Bo-Young Seo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shin University) ;
  • Eun-Sil Her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angshin University)
  • Received : 2023.08.10
  • Accepted : 2023.08.31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lifestyles before and after COVID-19 targeting adolescents, using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19 vs 2021). In the change in health-related factors, height decreased overall,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especially evident in males. Awareness that function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ontribute to health has increased. Among the results of dietary behavior,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showed that the rate of not skipping breakfast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more than 5 times increased at the same time(p=0.019). The rate of eating o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VID-19, and it was analyzed that schools and school cafeteria, as well as Street carts or restaurants and academy, all increased significantly as places where snacks were not consumed.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food-related lifestyle, it was grouped into convenience-seeking, quality/safety-seeking, taste-seeking, and health/safety-seeking. 'Small packaged or pre-processed product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tems such as 'Safety rather than price when choosing food' and 'Don't eat food that could go bad' improved. 'Tend to eat regularly' was higher than 2021 compared to 2019. Also 'Tend to purchase HACCP and GAP-certified products' are increased. Because of COVID-19 changes in lifestyle have affected the diet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can be used as a guideline establishment and nutrition counseling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correct eating habits for adolescents in the future pandemic era.

Keywords

1. 서 론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청년기로 넘어가는 과도 기 단계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측면의 성장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신체 활동, 올바른 식행동의 실천과 더불어 적절한 영양소 공 급이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1,2]. 이렇게 영양적 으로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는 부 모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식생활에 대한 자기주 도성이 강해져 개인 선호 식품선택 경향이 높아지 고,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시간부족, 외 모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은 아침결식, 잦은 외식, 불규칙한 식사, 그리고 가공식품 및 즉석식품 과 다섭취 등의 잘못된 식행동을 유발하여 많은 영양 이 불균형한 식습관을 가지게 된다 [3,4].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첫 환자 발생이 보고된 이후 높은 전염성과 치사율로 우리 삶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다. 2021년 2월에는 감염병 위기 단계가 최고 수 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가 일상화되었고, 이는 외출감소와 함께 배달음식 서비스 이용자가 급증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처럼 코로나-19 사태는 식생활 관련 욕구, 식품선택, 식사방법 및 소비와 관련된 식생활에 대한 가치와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변화 에 영향을 미쳤다 [5-7].

코로나-19라는 상황은 유행과 변화에 민감한 청소년 집단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8]. 가장 주된 식생활 행태 변화는 첫 번째로 비대면 원격 수업이라는 학업방식 변화이며 이는 가정에 머무 는 시간을 늘렸고 신체활동은 감소시켜 비만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9,10]. 두 번째로 불 규칙한 식사, 배달음식 섭취 증가, 간식섭취 증가, 가정간편식과 같은 가공식품 섭취증가가 식생활의 부정적 변화를 유도한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보고 된 바 있다 [11]. 청소년 대상의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에 대한 선행 연구를 보면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에 따라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소비행태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미각 추구형 집단에서 월평균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음식 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12]. 또한 청소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음료선택에도 영향을 미쳐서 유행추구 집단과 식 생활 저관여 집단은 탄산음료를, 식생활 고관여 집단과 경제추구형 집단은 우유 및 유제품을 가 장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 [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과 코로나-19 이후인 2021년 청소년 식품소비행 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식태도 및 행동을 평가하 는 도구인 식생활 행태[6-7]와 라이프스타일의 변 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 향후 팬 데믹 발생 시 청소년 대상의 식생활교육 및 상담 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식품소비행태 조사 원시자료 중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과 코로나19 유행시점인 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집계구 및 KB 신규아파트 명부를 표본 추출틀로 이용하는 다중틀(Multiple frame) 방식을 적용하여 추출하 였다. 청소년용 설문지는 식생활행태, 식품 안전 성, 식품 표시사항, 식품관련 교육/홍보/정보, 식 품 관련 피해/구제,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식생 활 및 라이프스타일, 배경질문의 8개 영역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자기기입식 또는 온라인 조사방식 으로 조사하였다. 최종 만 13세∼18세 청소년 1,2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2 연구내용

2.2.1 인구통계학적 특성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거주지역, 1일 식품구입 비용을 이용하였다.

2.2.2 건강관련 요인

건강관련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장(cm), 체 중(kg),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규칙 적인 운동여부,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 평소 자 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자각도, 그리고 건강에 도 움이 되는 식품에 대한 인식을 활용하였다.

2.2.3 식생활 행태

식생활 특성에서는 아침결식횟수, 전년 대비 식 사 횟수, 지난 일주일동안 식사시간의 규칙성, 간 식을 전혀 먹지 않는 장소, 현재 식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개인의 외식행태에서는 외식여부, 외식이유, 외 식 시 지인 또는 온라인 추천정보 활용여부, 외식 장소, 1회 외식비용, 배달 또는 테이크아웃 이용 여부를 활용하였다.

2.2.4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2021년도에 추가된 1항목을 제외하고 2019년도 조사와 공통된 14항목을 가지고 5점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3. 통계처리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및 조사단위별로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가중치를 반 영한 복합표본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코로나 전후 에 따른 분석 시에 명목과 순위척도는 빈도와 백 분율로 나타내고,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독립성 검 정을 하였다. 비율척도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통 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하고, 평균값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특성별로 파 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방식을 이용하였다. 이 때 요인의 수는 고유치 1.0 이상을 하였고, 요인적재 량은 0.4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은 p<0.05 수준에서 표시하였다.

4. 연구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연구대상자의 성 별, 나이, 주거지역, 하루 지출하는 외식비용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에서 2019년도와 2021년 도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건강관련 요인

건강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신장, 몸무게, 규칙적인 운동습관,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 그리 고 평소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자각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OOB6_2023_v26n5_793_t0001.png 이미지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 ± S.E. 1)P-values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ing χ2 test or general linear model F-test.

Table 2. Changes in health-related factors by COVID-19

SOOOB6_2023_v26n5_793_t0002.png 이미지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 ± S.E. 1)P-values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ing χ2test or general linear model F-test.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체위변화에 대해 분 석한 결과, 몸무게는 유의적 변화가 없는데 반해, 신장의 경우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통계적 유의성 (p<0.05)을 보였으며, 이는 남자에서 더욱 확실하 게 나타났다(p<0.05). 규칙적인 운동습관에서는 유 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운동을 한다’는 답변은 줄 어든데 반해 ‘하지 않는다’는 답변의 비율은 늘어 나 규칙적인 운동의 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 다. 체중조절의 관심도는 ‘높음(Very interest)’, ‘보통(Normal)’, ‘관심 없음(Not interest)’의 순으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19년과 2021년 사이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평소의 건강상태 자각도를 나쁨(Poor), 정상(Normal), 좋음(Good), 매우 좋음(Very good)의 네 단계로 알아본 결과 에서는 좋음의 비율은 줄었으나 매우 좋음의 비율 은 늘어나는 결과를 보여 건강상태 자각도에서는 양호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건 강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식품으로는 기능성 식품과 친환경식품의 점수가 2019년 보다 2021 년에 증가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3. Changes in dietary behaviors by COVID-19

SOOOB6_2023_v26n5_793_t0003.png 이미지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1)P-values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ing χ2 test.

4.3 식생활 행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아침결식횟수, 전년 대비 식사 횟수를 분석한 식생활 행태에 대한 결 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아침결식횟수의 경우 결식하지 않는 비율과 5회 이상 결식하는 비율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 적으로 1~2회, 3~4회 결식 횟수는 감소하는 유의 적 통계성을 보였다(p<0.05). 전년 대비 식사 횟 수 조사에서는 식사 횟수가 줄어든 비율이 증가한 결과를 보였으며, 식사횟수가 늘었다고 답한 대상 자의 비율 또한 늘어 유의적으로 상향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외식 식습관 행태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의 결 과 외식의 비율은 코로나-19 이후 현저하게 줄어 들어 외식보다는 내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외식의 이유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유의 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 시 온라인이나 친구의 조언을 따르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는 활용하지 않는 비율이 5% 정도 상향된 데 반해 자주 활용 한다는 답변은 4% 가량 감소 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외식을 하는 장소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식당의 비율이 코로나-19 이전보다 15.1% 증가하였으며, 노점과 학교매점은 각각 7.8%와 6.7% 감소하는 유의성을 보였다 (p<0.001).

Table 4. Changes in out eating dietary behaviors by COVID-19

SOOOB6_2023_v26n5_793_t0004.png 이미지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 ± S.E. 1)P-values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ing χ2test or general linear model F-test.

간식을 섭취하지 않는 장소로 학교 및 매점 그 리고 노점과 학원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배달과 포장 서비스 이용 비율에 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외식의 비율은 감소한데 반해 1회 외식비용으로 지출하는 금 액은 1,050원 증가하는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p<0.01).

4.4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14개의 항목들을 4개의 요인(편의추구형, 품질·안전추구형, 미각추구형, 건강·안전추구형)으로 묶어서 변수의 내용을 단순화시 킨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5).

91-DIVOC yb elytsefil detaler-doof ni segnahC .5 elbaT

.E.S ± naem ro )%( rebmun sa detneserp era seulaV .tset-F ledom raenil lareneg ro tset2χ gnilpmas xelpmoc yb dezylana erew seulav-P )100.0<p(338.0 tset s'tteltraB dna OMK

KMO(Kaiser-Meyer-Olkin)값은 0.833으로 높았고, Bartlett’s test에서 유의성이 0.001보다 작 아 요인분석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누적분산 % 는 55.408%로 4개 요인이 전체 분산의 55.408을 설명하고 있었다. 음식관련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편의 추구형 식생활 부문에 서는 소포장 제품, 전처리 농산물을 구입하는 성 향이 감소하였으며(p<0.001), 품질 안전추구형 식 생활 부분에서는 유의적 감소 결과를 보였으며 (p<0.001), 건강안전추구형 식생활에서는 점수가 상향되는 결과(p<0.001)를 보였다.

5. 고 찰

우리나라의 생활습관 관련 질환은 매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성장이 일어나는 시기로 이 시기의 건강 행동이 일생의 건강을 좌우하기 때문에 질환 의 원인이 되는 생활 속 위험인자가 청소년기에 얼마나 고착화 되는지가 성인이 되었을 때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4]. 이러한 관점에 서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의 장기화는 청소년 기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기간이었으 며, 식습관 변화에 지대하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전 후의 청소년 식생활행태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9년과 2021년의 식품소비행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건강관련 요인의 변화와 식생활 행태의 변화, 그리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분석하였다.

청소년기의 식습관 특징은 비교적 규칙적인 점심식사를 하는 반면, 이외의 시간에는 건강에 대 한 주의보다는 시간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경향으 로 결식이 빈번하고 불규칙한 식사 시간으로 올바 르지 못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15].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교육형태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변화하면서 주 생활공간이 학교에서 집 으로 변경되었다 [9].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 럼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이후의 식습관이 규칙 적인 식생활과 그렇지 못한 식생활로 양극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 되면서 시간적 여유가 생겨난 결과로 풀이된다 [16].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식생활 라이프스 타일 분석에서 미각추구형 결과와도 연결이 된다. 여기에 실·내외 활동의 제약이 많아지면서 좌식 활동이 증가한데 반해 신체활동 시간은 감소함에 따라 청소년의 체중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 다 [17]. 이는 본 연구의 BMI 결과와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윤과 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코로나 -19 사태 이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48.8%가 신체 활동이 감소였으며, 비만율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18]. 코로나-19 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으로 인해 외부에 서 식사할 수 있는 여건이 제한적으로 변하면서 외식의 횟수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19].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간단하게 식사를 할 수 있 는 패스트푸드나 가공식품의 이용과 고열량 식품 의 섭취 등의 영양불균형이 두드러지게 많아진 것 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는 비만율 증가에 영향 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 뿐만 아니라 코로 나-19의 장기화는 청소년의 생활반경 축소와 함 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이유로 간식을 섭취할 수 있는 장소에 제약이 발생하면서 외식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이러한 결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서 소포장 제품에 대한 선택 수준이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 와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강 에 영향을 주는 식품에 기능성 식품과 친환경식품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이 건강 안전추구형 식 생활에서도 반영된 것으로 보여지며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그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 나 건강 향상을 위한 식품선택의 관심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사태 의 장기화로 인해 사람들이 건강관리 및 면역관리 에 관심이 많아지고,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 도가 높아진 결과와 일맥상통 한다고 할 수 있다 [22].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제한적인 데이 터를 활용한 결과이기는 하지만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청소년의 식생활행태 및 라이프스타일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차후 지 역적, 남녀 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생활환경 및 생체조건의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발생 가능한 팬데믹 상황 에서 청소년의 부정적인 식습관 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패턴의 가이드라인 정립 및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창신대학교 교내연구비 에 의해 연구되었음(창신-2022-057).

References

  1. S Kwak, T Woo, K Lee, and K Lee.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vol. 20, no. 4, pp. 259-272, (2015). https://doi.org/10.5720/kjcn.2015.20.4.259
  2. G Jeon, and I Kwon,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Child Health Nurs Res, vol, 23, no, 3, pp. 319-328, (2017).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19
  3. H Park, and L Jung, "A study on snack intake behavior by the stress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vol, 30, no, 4, pp. 141-164, (2018). https://doi.org/10.19031/jkheea.2018.12.30.4.141
  4. S Park, and J Lee,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 Nutr Health, vol, 53, no, 3, pp. 255-270, (2020). https://doi.org/10.4163/jnh.2020.53.3.255
  5. M Chin, M Sung, S Son, J Yoo, J Lee, and Y Chan, "Changes in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erceived Stress", Fam Environ Res, vol, 58, no, 3, pp. 447-461, (2020). https://doi.org/10.6115/fer.2020.032
  6. J Zhao, and H Park,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anxiety and dietary lifestyles on the drone food delivery service attitude", J Digital Convergence, vol, 20, no, 2, pp. 175-184, (2022).
  7. Y Lee, and G Kim, "Exploratory study of Post-COVID-19 changes in eating behaviors: focused on behavior of restaurant visit, home eating behavior and delivery food purchase behavio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vol, 27, no, 1, pp. 133-142, (2021).
  8. E Ki, "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facotrs of the meddle/high school students befores and after Covid-19," Global Social Welfare Review, vol, 11, no, 1, pp. 73-91, (2021). https://doi.org/10.31769/GSWR.2021.11.1.73
  9. G Le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number of school physical activity in COVID-19," Korean J Sport Pedagogy, vol, 28, no, 4, pp. 67-80, (2021). https://doi.org/10.21812/kjsp.2021.10.28.4.67
  10. K Lee, K Seo, and K An, "Effects of the non-face-to-face learning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alanc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COVID-19," Exerc Sci, vol, 30, no, 2, pp. 229-236, (2021). https://doi.org/10.15857/ksep.2021.30.2.229
  11. M Kim , and J Yeon, "Change of dietary habits and the use of home meal replacement and delivered foods bue to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J Nutr Health, vol, 54, no, 4, pp, 383-397, (2021). https://doi.org/10.4163/jnh.2021.54.4.383
  12. Y Shin, M Kyung, S Baek, and S Ham, "Restaurant meal delivery and take-out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adolescents's food-related lifestyl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 31, no, 3, pp. 172-181, (2021). https://doi.org/10.17495/easdl.2021.6.31.3.172
  13. S You, S Ahn, H Oh , and J O, "Effect of food-related lifestyle on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of adolesc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7, no, 6, pp. 649-656, (2018). https://doi.org/10.3746/jkfn.2018.47.6.649
  14. J Kim, and I Jung,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guideline and health-related factors in adolescents: based on 11th (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vol, 30, no, 4, pp. 335-355, (2016).
  15. Y Lee, S Lee, and C Kim, "Korean adolescents'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MI (Body Mass Index) and bodyshape perception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3, pp. 227-232, (2012). https://doi.org/10.14400/JDPM.2012.10.3.227
  16. 배영임, and 신혜리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 를 가속화하다,"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1-26, (2020).
  17. H Kim, and H Woo,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nd overweight in adolescents: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Korean Public Health Res, vol. 48, no, 1, pp. 73-86, (2022).
  18. J Yun, and D Kim. "Analysis of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Level in COVID-19,"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2, no, 7, pp. 541-552, (2022).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7.541
  19. J Lee, and M Kwon, "Health b ehavior changes in Korean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9-2020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 based survey," J Korean Soc Sch Health. vol, 34, no, 3, pp. 179-189, (2021).
  20. C Nogueira-de-Almeida, L Del Ciampo, I Ferraz, I Del Ciampo, A Contini, and F Ued, "COVID-19 and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linical review," Journal de Pediatria. vol, 96, no, 5, pp. 546-558, (2020).
  21. K Lee, S Kim, S Shin, H Shim, and I Park,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2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1, E16-2021. Report, pp. 401-415, (2022).
  22. M Kim, and B Jung, "A Study on the Dietary and Lifestyle Changes of Middle-Aged Women in the Gwangju Area in the COVID-19 Er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vol, 26, no, 4, pp. 259-269, (2021). https://doi.org/10.5720/kjcn.2021.26.4.259
  23. J Dixon. "The effect of obesity on health outcomes,"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vol, 316, no, 2, pp. 104-108, (2010). https://doi.org/10.1016/j.mce.2009.07.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