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ob Vocational Calling on Job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Job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 이재무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 조경서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9.05.30
  • Accepted : 2019.07.09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job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ho take charge of child care policy at the front line, social meaning of which is being greatly highlighted these days. Especially, the research was designed with causal relationships in mind, in which certain job-related thoughts or consciousness forms attitudes, thus leading to behavior.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selected the following variables for analysis: job attitudes including job calling,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nd job behavior such as creative behavior, active behavior, and ethical behavior. Data collected from 209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sponse to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burnout increas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s extra workhours increased, and that only job engagement, among job attitude variables, and cre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s, among job behavior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Moreover, job engagement was the only variable that was found to work as a mediator in relationships between job calling and active behavior.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보육정책을 제일선에서 담당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관리에 관한 유의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직무와 관련하여 특정한 사고나 의식이 태도를 구축하고 태도가 근원이 되어 행동이 이루어진다는 인과관계를 염두에 두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열의 직무소진 등 직무태도, 창의적 행동 적극적 행동 윤리적 행동 등 직무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209명의 보육교사가 응답한 구조화된 설문지 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었으며,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육교사들은 근무시간이 초과될수록 직무소진이 심해졌으며, 직무소명의식은 직무태도 중 직무열의만, 직무행동 중 창의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직무열의만이 직무소명의식과 적극적 행동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Keywords

표 1. 분석변수 측정지표 및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7_574_t0001.png 이미지

표 2. 변수별 기술통계량 분석결과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7_574_t0002.png 이미지

표 3. 분석변수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7_574_t0003.png 이미지

표 4. 직무소명의식과 창의적 행동, 적극적 행동, 직무소명의식과 직무열의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7_574_t0004.png 이미지

표 5. 직무소명의식과 적극적 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7_574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점자, 김형모,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2호, pp.101-120, 2012.
  2. 이재무, 조성명, 송영선, "보육교사의 경력과 근무여건에 따른 조직신뢰가 어린이집 내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pp.71-93, 2013.
  3. C. Howes and M. Oerik,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Vol.57, pp.202-216, 1986. https://doi.org/10.2307/1130652
  4. B. Spodekm,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114, No.1, pp.65-79, 1995. https://doi.org/10.1080/0300443951140106
  5. 이재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51-82, 2016.
  6. 이재무, 박용성, "보육교사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1-28, 2017.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
  7. 오계택, "신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장 적응," KRIVET Issue Brief, 제69권, pp.1-4, 2015.
  8. 최익용, 이심전심 리더십, 스마트비즈니스, 2006.
  9. 성경주, 황성원,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71-90,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4.71
  10. 김숙자, 전진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2권, 제2호, pp.173-194, 2018.
  11. 홍성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 C. A. Cooper, H. G. Knotts, D. M. McCord, and A. Johnson, "Taking personality seriously: The five-factor model and public management,"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43, No.4, pp.397-415, 2012. https://doi.org/10.1177/0275074012446509
  13. 진경희, "어린이집의 창의적 분위기 척도 개발 및 교사의 창의적 행동과의 관계연구," 창조교육논총, 제12권, 제10호, pp.69-87, 2010.
  14. 이동섭, 최용득, 조예슬,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 윤리경영연구, 제17권, 제2호, pp.63-84, 2017.
  15. 배상훈, 김선이, 한송이, "혁신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직무열의와 창의적 직무수행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3호, pp.70-96, 2016.
  16. 윤소천, 이지현, 손영우, 하유진,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본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지각된 상사 지지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4호, pp.61-86, 2013.
  17. B. J. Dik and R. D. Duffy, "Calling and va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ing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7, No.3, pp.424-450, 2009. https://doi.org/10.1177/0011000008316430
  18. 장진이, 이지연,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1호, pp.259-278, 2014.
  19. 정은주,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0. A. R. Elangovan, C. C. Pinder, and M. McLean,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6, pp.428-440, 2010. https://doi.org/10.1016/j.jvb.2009.10.009
  21. 오창택, "개인-조직부합은 자기효능감과 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를 제고시키는가," 한국행정학보, 제47권, 제3호, pp.121-143, 2013.
  22. 노경미, "사회적 기업 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제18권, 제2호, pp.27-36, 2016.
  23. 민장배, 송진영, "기독교인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제54권, pp.533-566, 2017.
  24. 양혜진, 한수정, "병원간호사의 소명의식과 정서적소진 및 이직의도," 인문사회21, 제9권, 제6호, pp.191-206, 2018.
  25. G. R. Oldham and A. Cumming,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3, pp.607-643, 1996. https://doi.org/10.2307/256657
  26. T. M. Amabile, R. Conti, H. Coon, J. Lazenby, and M. Herron,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pp.1154-1184, 1996. https://doi.org/10.2307/256995
  27. M. D. Mumford and S. B. Gustafson,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988, pp.27-43, 1998.
  28. 유지은, 이상민, 이아영, "집단 내 갈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0권, 제1호, pp.73-98, 2016.
  29. 김정식, 차동옥,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임파워먼트와 직무몰입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제21권, 제3호, pp.331-370, 2013.
  30. D. M. Buss, "Selection, evocation, and manip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3, No.6, pp.1214-1221,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3.6.1214
  31. J. M. Crant,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nd objective job performance among real estate ag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pp.532-437, 1995. https://doi.org/10.1037/0021-9010.80.4.532
  32. S. Parker, H. M. Williams, and N. Tuner, "Modeling the antecedents of proactive behavior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 No.3, pp.636-652, 2006. https://doi.org/10.1037/0021-9010.91.3.636
  33. J. Van Maanen and E. H. Schein, "Toward of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 pp.209-264, 1979.
  34. B. M. Staw and R. D. Boettger, "Task revision: A neglected form of work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pp.534-559, 1990. https://doi.org/10.2307/256580
  35. E. W. Morrison and C. C. Phelps, "Taking charge at work: extrarole efforts to initiate workplace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2, No.4, pp.403-419, 1999. https://doi.org/10.2307/257011
  36. S. J. Ashford and J. S. Black, "Proactivity during organizational entry: the role of desire for contro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2, pp.199-214, 1996. https://doi.org/10.1037/0021-9010.81.2.199
  37. J. M. Crant, "Proact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3, pp.435-462, 2000. https://doi.org/10.1177/014920630002600304
  38. 용현주, 조직구성원의 윤리적 행동의 선행요인과 직무성과 및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9. 한주희, 고민정, "조직 윤리풍토가 구성원의 윤리적행동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 윤리가치의 상호작용,"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11호, pp.2829-2849, 2015.
  40. 송석훈, 박우봉, "기업윤리이행효과와 윤리적 행동의향의 관계 - 윤리의식의 매개 작용과 직무소회의 조절효과," 인사관리연구, 제29권, 제2호, pp.219-254, 2005.
  41. 소연희, "초등교사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0권, 제4호, pp.5-20, 2011.
  42. 길정미, 특수교사의 직무자율성이 주도적 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3. 강혜정, "'논어'에 나타난 평생학습 실천적 의미에서의 이상적인 교사상 : 교사의 윤리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평생교육.HRD연구, 제11권, 제1호, pp.21-42, 2015.
  44. 진경희, 보육교사의 특성과 보육시설의 분위기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창의적 행동을 매개로하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5.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https://doi.org/10.2307/256287
  46. J. K. Harte, F. L. Schmidt, and T. L. Hayes, "Business Unit-Leve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Engagement and Business Outcomes: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pp.268-279, 2002. https://doi.org/10.1037/0021-9010.87.2.268
  47. P. Warr and I. Inceoglu, "Job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Contrasting Associations With Person-Job Fi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7, pp.129-138, 2012. https://doi.org/10.1037/a0026859
  48. H. J. Freudenberger, "Staff-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pp.159-165, 1974.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49. C. Maslach, Burnout: The cost of caring, Prentice Hall, 1982.
  50. C. L. Cordes, T. W. Dougherty, and M. Blum,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pp.685-701, 1997.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711)18:6<685::AID-JOB817>3.0.CO;2-U
  51. G. Sand and A. D. Miyazaki,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alesperson burnout and burnout components," Psychology & Marketing, Vol.17, No.1, pp.13-26, 2000.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200001)17:1<13::AID-MAR2>3.0.CO;2-S
  52. 오아라, 김성환, "직무요구-자원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4, pp.1-17, 2016.
  53. 박성애, 배상훈,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pp.937-961,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38
  54. 한임순, 이순례, 김향자, 권용은,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0권, pp.97-130, 1997.
  55. 유미나, 신나리,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지지," 생애학회지, 제3권, 제2호, pp.73-85, 2013.
  56. 윤혜미, 노필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제43권, pp.157-184, 2013.
  57. J. Zhou and J. M. George,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pp.682-696, 2001. https://doi.org/10.2307/3069410
  58. S. Parker, "From passive to proactive motivation: The importance of flexible role orientations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Applied Psychology, Vol.49, No.3, pp.448-469, 2007.
  59. O. C. Ferrell and S. J. Skinner, "Ethical Behavior and Bureaucratic Structure in Marketing Research Organization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Vol.25, No.1, pp.103-109, 1998.
  60. 유선욱, "조직의 윤리적 조건과 PR 실무자의 윤리적행동 및 효과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직무만족, 직무열의, 전문가 정체성 인식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7권, 제1호, pp.97-142, 2013. https://doi.org/10.15814/JPR.2013.17.1.97
  61.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pp.293-315, 2004. https://doi.org/10.1002/job.248
  62. 원융희, 관광이미지, 백산출판사, 2003.
  63. 김화연, 오현규, 이숙종, "공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혁신지향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역량개발학습연구, 제13권, 제4호, pp.124-15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