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2. 베이비부머의 소득과 우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
표 3. 성별에 따른 베이비부머의 소득과 우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
References
- 통계청, 2018 고령자 통계, 2018.
- 정순둘, 구미정, "우울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 베이비부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05-324, 2011.
- 문필동, 이정화, "고령장애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제27권, 제3호, pp.133-160, 2017.
- 최장훈, 이태열, 김미화,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소득: 1, 2차 베이비부머 간 은퇴 시 자산 적정성 비교분석,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 OECD, 2019년 국가별 노인 빈곤율 현황, 2019.
- 지은정, "베이비부머는 빈곤위험으로부터 안전한가: 노동경력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4권, 제2호, pp.365-291, 2018.
- 윤혜진, "베이비부머와 이후 세대들의 관광활동과 행복감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4호, pp.333-359, 2018.
- 이영라, 이숙종, "고령층의 자산빈곤과 소득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베이비붐 세대와 해방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57권, 제2호, pp.111-157, 2018.
- 김현정,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유형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3호, pp.115-145, 2018. https://doi.org/10.16999/kasws.2018.49.3.115
- 김수린, 주경희, 정순둘,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5권, pp.103-136, 2018.
- 김진현,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3호, pp.181-201, 2015.
- 서지원, "중년기 및 노년기 사회자본의 경제적 복지효과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제51권, 제2호, pp.207-218, 2013. https://doi.org/10.6115/khea.2013.51.2.207
- 최민정,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령대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24-163, 2015.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24
- N. Lin,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Vol.29, No.6, pp.785-795, 2000. https://doi.org/10.2307/2654086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빈곤통계연보, 2017.
- 나지나, 백승애, 신은경, 김미혜,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29-54, 2010.
- 박미진, "사회적 활동 잠재계층 유형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191-214, 2017.
-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 박소영,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154-190, 2018.
- 정선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생애학회지, 제8권, 제3호, pp.117-136, 2018. https://doi.org/10.30528/JOLSS.2018.8.3.006
- 송진영,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64-192, 2015.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64
-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제12권, 제3호, pp.311-339, 2010.
- 이현주, 정은희,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건강: 초기 성인기 및 중년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다중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53-84, 2016. https://doi.org/10.15709/HSWR.2016.36.3.53
- H. Brockmann, "Why Are Middle-aged People So Depressed? Evidence from West Germany,"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7, No.1, pp.23-42, 2010. https://doi.org/10.1007/s11205-009-9560-4
- H. Tanaka, Y. Sasazawa, S. Suzuki, M. Nakazawa, and H. Koyama, "Health Status and Lifestyle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Japanese Adults: A Seven-year Follow-up of the Komo-Is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Research Paper, pp.11-20, 2011.
-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edited by J. D. Richardson, New York: Greenwood, 1986.
-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s, Vol.4, No.13, pp.35-42, 1993.
- R.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Touchstone Book, 2000.
- 신미정, 이양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정책연구, 제29권, 제2호, pp.185-207, 2018.
- 김진현, "사회자본과 건강행태가 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가구 노인과 일반가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1호, pp.9-32, 2016.
- 한국고용정보원, "고령화연구패널조사", http://survey.keis.or.kr 2019.
- 한국고용정보원, 2019년 고령화연구패널이용자가이드.
- I. A. Sarmiento and E. V. Cardemil, "Family Functioning and Depression in Low-income Latino Coup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35, No.4, pp.432-445, 2009. https://doi.org/10.1111/j.1752-0606.2009.00139.x
- 변진숙, "성공적 노후 결정 요인연구: 2차 베이비부머 여성의 사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제5권, 제2호, pp.231-24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