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tec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Trauma Level and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성격별 보호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4.24
  • Accepted : 2019.05.26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to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in the Family Caregivers focusing on their trauma by develop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tudy subjects were 204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gender. This study utilized IBM SPSS Statistics ver. 20.0 for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group of the family Caregiv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vel of trauma while ma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formal areas of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female group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in the formal area of social support and male group did the effect in the formal and informal area of social support. As su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trauma by gender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Moreover,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provide the required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proper community care upon demonstrating the practical analysis resul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치매 발병에 따른 가족 보호자의 외상에 주목함으로써 가족 보호자의 외상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가족 보호자 204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으며, 성별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 20.0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수준은 가족 보호자의 여성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공식적 영역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은 남성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여성 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영역 그리고 남성 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영역에서 각각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성별에 따른 비교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집단별로 외상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 후 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사회적 지지의 성격을 고려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올바른 커뮤니티 케어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표 1.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7_598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CCTHCV_2019_v19n7_598_t0002.png 이미지

표 3. 사회적 지지의 보호효과(여성 집단)

CCTHCV_2019_v19n7_598_t0003.png 이미지

표 4. 사회적 지지의 보호효과(남성 집단)

CCTHCV_2019_v19n7_598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2. 중앙치매센터, 치매인식도 조사, 2014.
  3. 정화철, "치매노인 보호자의 부양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167-18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167
  4. 김재엽, 최선아, 이유진, "치매환자 보호자의 일상생활부담 및 경제적 부담이 보호자 자녀와의 관계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5권, pp.75-94, 2017.
  5. 이양자, 정남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1호, pp.1-23, 2008. https://doi.org/10.21074/KJLCAP.2012.13.1.1
  6. 이효선, "한국 여성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가족패러다임 재구성," 여성학논집, 제26권, 제1호, pp.135-181, 2009.
  7. 성지혜, "귀농지 적응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한국여성학, 제30권, 제2호, pp.161-202, 2014.
  8. 한상숙, 김경숙, "뇌졸중환자 보호자의 삶의 질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0권, 제1호, pp.7-17, 2004.
  9. 김고은, 양난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1호, pp.127-145, 2016.
  10. 윤명숙, 박은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9권, pp.61-89, 2011.
  11. 이혜미, 김유미, "외상 경험 초등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제17권, 제2호, pp.241-263, 2018.
  12. A. Elderton, A. Berry, and C. Chan, "A systematic review of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interpersonal violence in adulthood," Trauma, Violence, & Abuse, Vol.18, No.2, pp.223-236, 2017. https://doi.org/10.1177/1524838015611672
  13. 김은지, "녹내장 환자의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제5권, 제1호, pp.41-57, 2015.
  14.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1, pp.1-18, 2004.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15. 유희정, "탄력성과 고통 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1호, pp.59-85, 2014.
  16. 권중돈,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017.
  17. 이신영, 김은정, "농촌 노인의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 성향,"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149-176, 2012.
  18. C. Deindl and M. Brandt, "Support networks of childless older people: informal and formal support in Europe," Ageing & Society, Vol.37, No.8, pp.1543-1567, 2017. https://doi.org/10.1017/S0144686X16000416
  19. 양난미, 이은경, 이동훈, 송미경,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75-197, 2015.
  20. 이동훈, 이수연, 윤기원, 김시형, 최수정,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이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9권, 제1호, pp.227-253, 2017.
  21. 전병주, 김현수, "외상을 경험한 신입 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edeschi & Calhoun 모델의 적용," GRI연구논총, 제21권, 제1호, pp.71-108, 2019.
  22.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4권, 제1호, pp.193-214, 2009.
  23. 이인정, "스트레스가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3호, pp.522-557, 2012.
  24. 조범훈, 이동영,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 돌봄의사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320-33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20
  25. 전병주, 이상주, "고령 택시기사의 교통사고 외상과 안전의식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467-478, 2018.
  26. M. Brandt, K. Haberkern, and M. Szydlik, "Intergenerational help and care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25, No.5, pp.585-601, 2009. https://doi.org/10.1093/esr/jcn076
  27. 전병주, 곽현주, 김현수, "남성 베이비부머의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pp.69-80, 2019.
  28. 최보라, 장석진, "암 환자 가족 돌봄자의 희망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제26권, 제2호, pp.253-277, 2018.
  29. 주소희, "외상 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9권, 제2호, pp.65-83, 2016.
  30. A. E. Dam, L. M. Boots, P. Boxtel, F. R. Verhey, and M. E. Vugt, "A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social support in dementia car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30, No.6, pp.881-892, 2018. https://doi.org/10.1017/S1041610217000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