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afety Income System on Recipient's Economic In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und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사회보장제도의 안심소득제가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성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3.04
  • Accepted : 2019.04.02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afety income system on recipient's economic in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und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650 adult householders benefiting from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SPSS 23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to the safety incom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cial insurance and the social assistance of safety income system were adopted,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The effect of economic independence on life satisfaction was rejected, while the effect of social assistance on life satisfaction was adopted, showing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ach factor. The findings imply that social insurance and social assistance with support for safe income can be a positive help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unemployment benefit, national pension, long-term care subsidy and health insurance can help to achieve real economic independence, adopting only social assistance with limitation to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safety income system is very useful in helping recipients to achieve their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its introduction, but there is some distance to meet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사회보장 제도의 일환으로 안심소득제가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사회보장제도의 수혜를 받고 있는 성인 가구주 650명을 대상으로 안심소득제 관련 측정변수를 적용하여 SPSS 23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안심소득제 사회보험과 사회부조는 경제적 자립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으며, 경제적 자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각된 반면, 안심소득제의 사회부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채택되어 각 요인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안심소득을 위한 지원으로 사회보험과 사회부조가 경제적 자립에는 긍정적인 도움이 됨을 의미하고 생활만족까지에는 제한을 갖고 사회부조만 채택되어 실업급여, 국민연금, 장기요양 보조금, 건강보험이 실질적인 경제적 자립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심소득제의 도입을 통한 수혜자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데 안심소득제가 매우 유용함을 시사하고 이를 통한 생활만족까지 충족하는 데는 다소 거리감이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59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분석의 틀

CCTHCV_2019_v19n4_59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CCTHCV_2019_v19n4_59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최종 경로모형

표 1. 변수의 구성 및 측정

CCTHCV_2019_v19n4_598_t0001.png 이미지

표 2. 인구 통계적 특성 빈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598_t0002.png 이미지

표 3. 신뢰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598_t0003.png 이미지

표 4. 집중타당성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598_t0004.png 이미지

표 5. 연구모델 적합도

CCTHCV_2019_v19n4_598_t0005.png 이미지

표 6. 최종 경로계수 결과

CCTHCV_2019_v19n4_598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M. Friedman, Capitalism and Freedom,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Jones, D. Caradog(1942), "A New Social Contract: Abstract," Nature, Vol.150, No.12, 1962.
  3. 박기성, "최저임금과 안심소득," 월드리뷰, 제31권, 제9호, pp.54-56, 2018.
  4. 박기성, 변양규, "안심소득제의 효과," 노동경제논집, 제40권, 제3호, pp.57-77, 2017.
  5. Juliet Rhys-Williams, Something to Look Forward to; a Suggestion for a New Social Contract London, MacDonald, 1942.
  6. 김우철, "기본소득제 vs 안심소득제, 복지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묻는다," 바른사회시민회의, pp.1-33, 2017.
  7. 변양규, "안심소득제의 소득불균등 완화효과 및 소요 예산 추정," 한국경제연구원, pp.1-4, 2017.
  8. 곽윤영, 정문자,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3호, pp.121-141, 2001.
  9. D. P. Nickerson, M. West, and G. Odorizzi, "Did coordinates Vps4-mediated dissociation of ESCRT-III from endosomes," J. Cell Biol, Vol.175, pp.715-720, 2006. https://doi.org/10.1083/jcb.200606113
  10. J. F. Helliwell,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Modelling, Elsevier, Vol.20, No.2, pp.331-360, 2003. https://doi.org/10.1016/S0264-9993(02)00057-3
  11. A. Park, S. Xiaoqing, Z. Junsen, and Z. Yaohuim, Rising returns to skill, labor market transition, and the growth of wage inequality in China. Working paper, 2004.
  12. J. N. Edwards and D. L. Klemmack,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 reexamina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28, No.4, pp.497-502, 1973. https://doi.org/10.1093/geronj/28.4.497
  13. 한형수, "한국 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113-142, 2004.
  14. L. Sousa and S. Lyubomirsky, "Life satisfaction," In J. Worell (Ed.),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Vol.2, pp.667-676,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1.
  15. 김희경,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819-834, 2012.
  16.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Random House, 1998.
  17. H. R. Moody, Productive aging and the ideology of old age, In N. Morrow-Howell, J. Hinterlong, & M. W. Sherraden (Eds.), Productive aging: Concepts and challenges, pp.175-196,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18. 김동주, 고민석, "경제활동상태가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제24권, 제2호, pp.137-164, 2014.
  19. K. L. Chou and I. Chi, "Financial strain and life satisfaction in Hong Kong elderly Chinese: Moderating effect of life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Aging and Mental Health: An International Journal, Vol.6, No.2, pp.172-177, 2002. https://doi.org/10.1080/13607860220126781
  20. R. Crosnoe and G. H. Elder,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5, No.4, pp.309-328, 2002. https://doi.org/10.2307/3090105
  21.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801-817, 2012.
  22.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34-43,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23. 이선혜, 이정섭, "노인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개념분석,"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4권, pp.588-595, 2002.
  24. 이경욱, 허소영, "포커스집단을 통한 도시 노인의 삶의 질 개념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2호, pp.269-290, 2008.
  25. 강신욱, "한국 소득보장제도군의 효과성 평가," 한국 사회정책, 제24권, 제1호, pp.218-226, 2017.
  26. http://kosis.kr2018, 2019.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