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Influencing Users' Genre Repertoires in Personal Web-Casting: A Case of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성준 (청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8.09.11
  • Accepted : 2018.11.15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lifes have used personal web-casting services as a new type of broadcasting, whose power has grown in the broadcasting market and industry. Nevertheless, limited research concerning personal web-casting has been conducted so far. This research explored consumption structures of personal web-casting users in terms of their genre usag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genre repertoire. And it also examined what determinants have influences on these structures by focusing on as an representative case in South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sensation seeking, motivation for getting information and social presence affect genre repertoire of personal web-casting users. They also indicate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joy and genre repertoire.

새로운 형태의 방송으로서 인터넷 개인 방송은 점차 많은 이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시장과 산업 측면에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터넷 개인 방송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장르 레퍼토리 개념을 바탕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이용자들의 장르 소비구조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어떤 요인들이 이러한 이용자들의 장르 소비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인터넷 개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 TV>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검증해본다. 본 연구의 결과, 연령, 감각추구성향, 정보취득 동기 및 사회적 실재감이 이용자의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실재감이 즐거움 동기와 장르 레퍼토리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1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조절 효과 검증 결과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들

CCTHCV_2018_v18n11_13_t0001.png 이미지

표 2. 인터넷 개인 방송 이용 동기 요인 분석의 결과

CCTHCV_2018_v18n11_13_t0002.png 이미지

표 3. 인터넷 개인 방송 프로그램 장르별 선호도

CCTHCV_2018_v18n11_13_t0003.png 이미지

표 4. 장르 레퍼토리와 영향 요인들과의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1_13_t0004.png 이미지

표 5. 장르 레퍼토리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8_v18n11_13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성준,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 405-41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05
  2. 반옥숙, 박주연,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 59-95, 2016.
  3. 이동후, 이설희, "인터넷 개인방송 BJ의 노동 과정에 대한 탐색.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2호, pp. 127-156, 2017.
  4. 지디넷, "10대 25% 개인방송 본다...'1인 방송' 절정," Available from: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106161955
  5. 서울경제, "[스토인사이드] 지상파 몸값 넘은 아프리카 TV. 주가도 '훨훨'," Available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315542
  6. 부산일보, "TV로 진출한 BJ," Available fr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80614000242
  7. A. M. Rubin,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4, No. 4, pp. 67-77, 198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4.tb02174.x
  8. J. W. Dimmick and E. Rothenbuhler, “The theory of the niche: Quant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industr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4, No. 4, pp. 103-119, 198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4.tb02198.x
  9.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pp. 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0. 김설예, 유은, 정재민,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 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아프리카 TV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 57-84, 2016.
  11. 안진, 최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프리카 TV <먹방 BJ 애봉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pp. 5-53, 2016.
  12. 정인숙, "MCN의 플랫폼 대응과 기존 미디어 사업자이 MCN 대응이 주는 시사점: 자원 기반 이론적 관점에서," 방송통신연구, 제95호, pp. 64-88, 2016.
  13. 이영주, 송진,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 특성과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96권, 가을호, pp. 68-103, 2016.
  14. 박성호, "차세대 방송매체로서 인터넷방송의 의미와 전망," 방송연구, 여름호, pp. 159-192, 1999.
  15. 오정석, 윤호창, 윤호영, "인터넷 방송 콘텐츠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한국통신학회 2003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1권, 제2호, pp. 468-473, 2003.
  16. 이은미, 이동훈, "인터넷방송 콘텐츠 연구: 편성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제50권, pp. 299-330, 2000.
  17. 조은영, 최윤정, "왜 TV를 시청하며 온라인 대화 를 나누는가? - '사회적 시청'의 동기, 행위, 만족 에 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88호, pp. 9-46, 2014.
  18. 이민재, 이진규, 박성준, "웹 2.0 환경에서 지속적 인콘텐츠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freeca TV의 개인방송국 서비스를 중심으로," 2012 한국경영정보학회 & 한국정보시스템학 회 춘계공동학술대회, pp. 1288-1294, 2012.
  19. 심성우, "인터넷 개인 게임방송과 저작권: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제5권, 제2호, pp. 1-51, 2014.
  20. 류성일, 이선미, "모바일 시대의 영상 콘텐츠 서비스 발전 방향: 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 155-156, 2013.
  21. 윤영석, 이현우,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 아프리카 TV와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통신학회 지(정보와통신), 제33권, 제4호, pp. 56-63, 2016.
  22. 이주희, 고경아, 하대권,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 사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후기 수용 모델(PAM)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0권, 제2호, pp. 178-215, 2018.
  23. 한국소비자원, "신유형 1인 미디어 콘텐츠 소비실태(인터넷 개인 방송을 중심으로)," Available from:https://www.kca.go.kr/brd/m_46/view.do?seq=2188&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4&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24. C. Heeter, "Program selection with abundance of choices: A process model," Human Communication Rearch, Vol. 12, pp. 126-152, 198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5.tb00070.x
  25. 심미선, "융합매체환경 하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지상파와 케이블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65호, pp. 175-220, 2007.
  26. 이성준, 김용원, 서현식, 이봉규, "스마트폰 수용과 거부 및 애플리케이션 장르 레퍼토리," 한국인터넷 정보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대회, pp. 271-276, 2010.
  27. 전범수, 김정기, "위성 DMB 이용동기와 장르 소비, 장르 선호도, 레퍼토리, 소비 유사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6권, pp. 375-398, 2006.
  28. 전범수, "매체별 장르 선호도가 지상파방송 채널 시청 정도에 끼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제75호, pp. 148-170, 2011.
  29. 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군집 분석 방법을 사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 분석," 한국방송학고, 제22권, 제2호, pp. 7-45, 2008.
  30. 문일봉, "영화 시청에서의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6권, 제1호, pp. 141-178, 2018.
  31. 이호준, "텔레비전 수용자의 프로그램 평가와 장르 인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2호, pp. 164-214, 2008.
  32. 박근서, "텔레비전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 장르 특성," 방송문화연구, 제16권, 제2호, pp. 33-63, 2004.
  33.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 105-136, 2004.
  34. 김병선,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1호, pp. 112-141, 2004.
  35. 전범수, "위성 DBMB콘텐츠 장르 선호도 결정 요인,"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7권, 제1호, pp. 132-156, 2011.
  36. 양문희, "개인성향과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 230-24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30
  37. 임소혜, 김은미, 황선혜, "이용자의 인지욕구와 감각추구성향이 상호작용성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pp. 277-319, 2008.
  38. 임지영,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도의 관계: 감각추구 성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 317-32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317
  39. M. Zuckerman,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Hillsdale, N. J.: Erlbaum, 1979.
  40. L. L. Nolan and S. J. Patterson, "The active audience: Personality types as an indicator of TV program preference,"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Vol. 5, pp. 429-454, 1990.
  41. R. Petty, J. Cacioppo, and C. Kao, “Short communication: Integrating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and need for cogni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43, No. 6, pp. 67-77, 1984.
  42.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3. 박웅기, 박윤정,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정보격차와 관계에 관한 연구: 부모와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 395-417, 2009.
  44. 최양수, 박지향, 이한얼, "스마트폰 앱 레퍼토리의 구성과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제46집, 제1호, pp. 163-198, 2015.
  45. 이재신, 이민영,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IPTV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7권, 제1호, pp. 100-131, 2006.
  46. E. Katz, M. Gurenvitch, and H. Hass, "On the use of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y Review, Vol. 38, pp. 164-181, 1973. https://doi.org/10.2307/2094393
  47. 김정기,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 262-231, 2005.
  48. 박세현, 정기한, 박귀정, "TV 요리방송의 재시청 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제18권, 제1호, pp. 19-33, 2018.
  49. 이동연, 이수영, "실시간 스포츠 스트리밍 비디오 시청자의 미디어경험에 관한 연구: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1호, pp. 148-177, 2014.
  50. 황하성, 박성복,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호, pp. 133-162, 2008.
  51. J. Short, E. Williams, and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John Wiley & Sons, 1976.
  52. M. Lombard and J. Snyder-Duch,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 1, No. 2, pp. 56-65, 2001. https://doi.org/10.1080/15252019.2001.10722051
  53. 권성연,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2권, 제3호, pp. 52-82, 2011.
  54. P. R. Lowenthal, "The evolution and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theory on online learning," In T. T. Kidd(Ed), Online education and adult learning: New frontier for teaching practices, Hershey, PA: IGI Global, 2009.
  55. 김유정, 전방지, 강소라, "UCC 서비스 이용과 참여에서의 사회적 실재감과 감정차원의 중요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pp. 94-99, 2007.
  56. 신석민, 이혁기, "스크린골프의 지각된 게임 속 성과 충성도 간의 인과관계: 실재감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8권, 제1호, pp. 1-17, 2015.
  57. 심미선, "지상파 텔레비전에서의 프로그램 레퍼토리 연구: 평일, 주말 저녁 시간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 85-125, 2001.
  58. 박주연, 박수철, "TV방송과 인터넷 개인방송의 보완과 대체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적소 분석을 적용하여,"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8권, 제1호, pp. 135-157, 2017.
  59. 문성철, 김경환, "인터넷 라디오 mini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2호, pp. 82-115, 2007.
  60. 한서형, 김용원, 이봉규, "국내 소셜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활용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 171-187, 2011.
  61. J. Cohen, P. Cohen, S. West, and I. S. Aik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Routledge, 2013.
  62. 동아사이언스, "유튜브에 맞서는 네이버...무기는 동영상으로 재정비한 '블로그'," Available from: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22790
  63.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 188-20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88
  64. S. Okazaki, "How do Japanese consumers perceive wireless ad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 23, pp. 429-454, 2004. https://doi.org/10.1080/02650487.2004.11072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