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 제민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민생활연구본부) ;
  • 정승현 (스마트시티연구센터)
  • Received : 2018.07.13
  • Accepted : 2018.10.24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Heat waves during summer cause a qualitative degradation in urban environments and increases the number of patients who suffer from heat-related illnesses, and the urbanization deepens these problems. It is a prerequisit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ccurately in order to assess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Thus, this study aims to collect weather measurements information at the occurrence of a severe heat wave in Seoul, thereby allowing analysis of information, which will also consider the land use type. The weather measurement information used in the analysis had an advantage, as the gap between measured locations is considerably shorter than before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automatic weather systems (AWS), which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above collected information, a temporal change in the data due to land use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change in response to the land use type could be compared, as could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tropical night phenomenon, and the effect on temperature reduction in green belt areas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intensity of heat island by time and land use. The methods and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time and land use, weather information measurements, and mapping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in urban planning to reduce the heat island phenomenon in the future.

하절기 폭염은 도시환경의 질적 저하, 온열질환자 증가 등의 원인으로 도시열섬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폭염이 심각하게 발생한 시기의 기상측정정보를 수집하여 토지이용 유형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기상측정정보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소형 자동기상 측정장비(AWS)로 소형화를 통해 기존의 일반적인 측정장비보다 측정지점의 간격이 현격히 줄어든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유형별 기온변화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었고,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열섬강도 비교를 통해 열대야 현상 발생 패턴, 녹지의 온도저감 효과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상정보 측정과 지도화,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비교분석 방법론과 분석 결과는 향후 열섬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도시열섬현상 개념도[5]

CCTHCV_2018_v18n11_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열섬강도 연구사례[5]

CCTHCV_2018_v18n11_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분석대상 기상정보 측정위치

CCTHCV_2018_v18n11_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서울시 토지이용 현황

CCTHCV_2018_v18n11_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측정지점 주변 버퍼구분

CCTHCV_2018_v18n11_1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대표지점 선정결과

CCTHCV_2018_v18n11_1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온도, 풍향, 풍속지도(2016.08.06. 06:00)

CCTHCV_2018_v18n11_1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시간대별 온도, 풍향, 풍속지도(2016.08.06.)

CCTHCV_2018_v18n11_1_f0009.png 이미지

그림 9. 토지이용유형별 시간대별 기온현황

CCTHCV_2018_v18n11_1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대표지점별 기온변화

표 1. 시간대별 기온·풍향·풍속 분포 현황 (기온:℃, 풍속:m/s)

CCTHCV_2018_v18n11_1_t0001.png 이미지

표 2. 토지이용유형별 기온(℃)

CCTHCV_2018_v18n11_1_t0002.png 이미지

표 3. 서울시 전체 토지이용유형별 시간대별 기온

CCTHCV_2018_v18n11_1_t0003.png 이미지

표 4. 대표지점별 시간대별 기온 변화

CCTHCV_2018_v18n11_1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B. Lansberg,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i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 Environment and Planning, Vol. 13, pp. 955-973, 1981. https://doi.org/10.1068/a130955
  2. 김수봉, 김해동,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제30권, 제3호, pp. 25-34, 2002.
  3. T. R. Oke, Boundary layer climates, Methuen, 1987.
  4. T. R. Oke and H. A.Cleugh, “Urban heat storage dervied as energy balance residuals,” Boundary-Layer Meteorology, Vol. 39, No. 3, pp. 233-245, 1987. https://doi.org/10.1007/BF00116120
  5. C. J. Morris and I. Simmonds, “Associations between varying magnitudes of the urban heat island and the synoptic climatology in Melbourne, Australia,” Journal of Climatology, Vol. 20, No. 15, pp. 1931-1954, 2000. https://doi.org/10.1002/1097-0088(200012)20:15<1931::AID-JOC578>3.0.CO;2-D
  6. 이현영,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도시열섬 연구," 대한지리학회, 제24권, 제2호, pp. 1-13, 1989.
  7. 부경온, 전영신, 박지용, 조하만, 권원태, "자동기상관측장치자료를 이용한 서울의 기온수평분포 분석," 한국기상학회, 제35권, 제3호, pp. 335-343, 1999.
  8. 이강국, 홍원화, "도시고온화 현상에 따른 열섬,냉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3권, 제8호, pp. 219-228, 2007.
  9. H. Liu, Q. Weng, and B. Liang, "The Spatial Variations of Urban Land Surface Temperatures: Pertinent Factors, Zoning Effect, and Seasonal Variability," Vol. 1, No. 2, pp. 154-166, 2008. https://doi.org/10.1109/JSTARS.2008.917869
  10. A. Buyantuyev and J. Wu, "Urban heat islands and landscape heterogeneity: link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urface temperatures to land-cover and socioeconomic patterns," Landscape Ecology, Vol. 25, pp. 17-33, 2010. https://doi.org/10.1007/s10980-009-9402-4
  11. C. W. Mackey, X. Lee, and R. B. Smith, "Remotely sensing the cooling effects of city scale efforts to reduce urban heat island,"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9, pp. 348-358, 2012. https://doi.org/10.1016/j.buildenv.2011.08.004
  12. L. Klok, S. Zwart, H. Verhagen, and E. Mauri, "The surface heat island of Rotterdam and its relationship with urban surface characteristic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 64, pp. 23-29, 2012. https://doi.org/10.1016/j.resconrec.2012.01.009
  13. A. Chudnovsky, E. Ben, and H. Saaroni, "Diurnal thermal behavior of selected urban objects using remote sensing measurements," Energy and Buildings, Vol. 36, pp. 1063-1074, 2004. https://doi.org/10.1016/j.enbuild.2004.01.052
  14. Y. H. Kim and J. J. Baik, "Spatial and temporal structure of the urban heat island in Seoul," J. of Applied Meteorology, Vol. 44, pp. 591-605, 2005. https://doi.org/10.1175/JAM2226.1
  15. 구해정, 김연희, 최병철, "서울시 도시열섬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제2권, 제2호, pp. 67-78, 2007.
  16. 오규식, 홍재주,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 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6권, 제1호, pp. 47-63, 2005.
  17.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친환경적 공간 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142-15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1.142
  18. 정길섭, 구슬, 유환희, "Landsat 위성영상에 의한 용도지역 온도변화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55-61, 2011.
  19. 송봉근, 박경훈,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133-14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1.133
  20. 이진덕, 방건준, 한승희, "Landsat 7 ETM+ 영상에서 얻은 지표온도와 지형인자의 상관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11호, pp. 482-491, 2012.
  21. 권영아, 이현영, "도시녹지와 그 주변 기온의 공간적 분포:서울시 종로구 창경궁, 청덕궁, 종묘 주변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 제2호, pp. 126-140, 2011.
  22. M. Roth, "Review of urban climate research in (sub) tropical reg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No. 14 pp. 1859-1873, 2007. https://doi.org/10.1002/joc.1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