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 este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친환경 플랫스크린 수지왁스용해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Eco-Friendly Resin Wax Remover for Printing Table of Flat Screen)

  • 손은종;박건희;이범수;임상준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95-97
    • /
    • 2008
  • In this study eco-friendly wax remover for printing table of flat screen was investigated. Seven organic solvents,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ster, 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ster, 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ster, tr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ster, dimethyl sulfoxide(DMSO), trichloro ethylene(TCE), tolune, were used as resin wax remover. The resin wax solubility with solvents was investigated. DMSO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eco-friendly resin wax remover.

  • PDF

수산동물(水産動物)의 Wax Ester에 관(關)한 연구(연구) (1) -숭어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Wax Esters in Marine Animals(1) -Lipid Composition of Mullet Roe Oil-)

  • 조용계;고광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9-414
    • /
    • 1978
  • 숭어 난유(卵油)의 지질조성(脂質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숭어의 각조직(各組織)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은 상이(相異)하였다. 즉 근육(筋肉), 난(卵) 및 간(肝)에서 추출(抽出)한 지질주요성분(脂質主要成分)은 각각(各各) triglyceride, wax ester,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였다. 2. 숭어난(卵)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약(約) 20.5%였고, 그 지질(脂質)의 요-드가(價)는 118, 불감화물의 양(量)은 38.7%였다. 3. 숭어난유(卵油)의 중요지질조성(重要脂質組成)은 wax ester가 59.1%로 제일 많았고, 다음이 극성지질(極性脂質)로 26.9%, 그 다음이 triglyceride로 9.0%였으며, Sterol은 3.0%였다. 4.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보면 palmitic acid가 47.5%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이 oleic acid로 23.0%, hexadecatrienoic acid가 6.5%, eicosapentaenoic acid가 4.0%였다. 또 triglyceride의 조성(組成)을 보면 palmitoleic acid가 25.1%, oleic acid가 16.7%, palmitic acid가 16.3%, eicosamonoenoic가 7.9%, stearic acid가 5.5%였다. 극성지질(極性脂質)의 경우는 palmitic acid가 35.0%, oleic acid가 24.7%, palmitoleic acid가 6.1%, eicosapentaenoic acid가 5.3%였다. 5. Wax ester의 중요(重要)한 alcohal은 cetyl alcohol(C16:0)가 51.0%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almitoleyl alcohol(C16:1)로 18.2%, 그 다음이 oleyl alcohol (C18:1)로 10.7%였다. 또 C15:0, C15:1, C17:0, C17:1, C19:1과 같은 기수탄소(奇數炭素) alcohol가 상당량(相當量) 발견(發見)되었다.

  • PDF

까치복 알의 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pid Composition of Egg from Fugu xanthopterus)

  • 이민경;조용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8-212
    • /
    • 1997
  • 까치복(Fugu xanthopterus) 알을 총지질 함량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조성별 분획하여 얻은 TG, 인지질, wax ester의 지방산과 wax ester의 알코올 조성을 GC로 분석하였다. 까치복 알의 총지질 함량은 12.6%였고 알 지질의 분획별 함량에서는 TG가 59.37%로 가장 많았고 인지질이 15.46%였으며 wax ester가 6.9%로 나타났다. 까치복 알의 지방산 조성은 각 분획마다 DH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A, EPA의 함량도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인지질 분획에서는 DHA가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35.3, 27.4, 37.3%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까치복 알의 wax ester의 지방산 분획에서는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5.8, 47.0, 47.4%로 나타났는데, 알코올 분획에서는 C16:0가 62.6%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포화 알코올이 86.3%로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 불포화 알코올은 1.2%의 아주 낮은 함량을 보인 것이 특징적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Soil Metagenome-Derived Gene Encoding Wax Ester Synthase

  • Kim, Nam Hee;Park, Ji-Hye;Chung, Eunsook;So, Hyun-Ah;Lee, Myung Hwan;Kim, Jin-Cheol;Hwang, Eul Chul;Lee, Seo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48-254
    • /
    • 2016
  • A soil metagenome contains the genomes of all microbes included in a soil sample, including those that cannot be cultured. In this study, soil metagenome libraries were searched for microbial genes exhibiting lipolytic activity and those involved in potential lipid metabolism that could yield valuable products in microorganisms. One of the subclones derived from the original fosmid clone, pELP120, wa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A subclone spanning a 3.3 kb DNA fragment was found to encode for lipase/esterase and contained an additional partial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wax ester synthase (WES) motif. Consequently, both pELP120 and the full length of the gene potentially encoding WES were sequenced. To determine if the wes gene encoded a functioning WES protein that produced wax ester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was conducted using ethyl acetate extract from an Escherichia coli strain that expressed the wes gene and was grown with hexadecanol. The ethyl acetate extract from this E. coli strain did indeed produce wax ester compounds of various carbon-chain lengths.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full-length gene revealed that the gene cluster may be derived from a member of Proteobacteria, whereas the clone does not contain any clear phylogenetic ma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s gene discovered in this study encodes a functional protein in E. coli and produces wax esters through a heterologous expression system.

등줄숭어 란유의 Nonrandom 분포를 한 왁스에스테르 조성에 관한 연구 (Nonrandom Combination of Fatty Acid and Alcohol Moieties in Wax Esters from Liza Carinata Roe)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4-632
    • /
    • 1989
  • 등줄숭어알 지질조성은 왁스에스테르(56.6-62.2%), 인지질 (19.2-18.5%), 트리글리세리드 (17.8-14.4%)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의 주요지방산은 C16 : 1 (25.9-27.3%)>C18 : 1(14.7-18.5%)>$C20 : 5{\omega}3$(16.3-9.6%)의 순이었으며, 알콜은 C16 : 0(57.3-53.3%)>C18 : 0(9.3-11.7%)>C18 : 1(18.9-12.7%)의 순이었다. 이중결합 2개 이상의 고도불포화 알콜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홀수지방산(6.4-8.5%)과 알콜(7.4-7.5%)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수소첨가한 왁스에스테르는 탄소수별로 분리되었으나, 같은 탄소수를 가진 이성체는 분리되지 않았다. 왁스에스테르 분자종의 조성을 보면 시료 A의 경우는 C32(45.0%)>C34(19.2%)>C30(12.2%)순이었고, 시료 B의 경우는 C34(36.3%)>C32(31.4%)C36(18.1%)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는 구성지방산과 알콜이 nonrandom combination으로 에스테르화 되었으며, 이를 $360^{\circ}C$에서 40분간 가열하면 완전히 random화 됨을 알 수 있었다. 등줄숭어에 존재하는 왁스에스테르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기질인 지방산과 알콜 탄소수에 강한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공정변수를 조절한 폴리에틸렌 산화왁스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xidized Polyethylene Wax by Controlling Reaction Parameters)

  • 양천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1-147
    • /
    • 2003
  • Oxidized polyethylene wax is obtained by oxidation of polyethylene wax and it is composed of various chemicals, e.g., fatty acid, alcohol, ketone and ester. The application of oxidized polyethylene wax is determined by the composition of these chemical substances. In this basic study we observed the basic reaction parameters of time, temperat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talysts on the oxidation reac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PE wax) by analyzing the acid valu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xidized PE wax to develop a new oxidation process. Acid values are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in the rage of $150^{\circ}C^{\sim}180^{\circ}C$ but decreased beyond 190$^{\circ}C$. Acid values are also increased with oxygen concentration. As the oxidation reaction proceeds the molecular weight and softening points of oxidation products are decreased by cracking reaction, but the viscosities are increased. To observe the crystallinity of oxidation products SEM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tain a high acid-value product in a mild condition, we adopted free radical catalysts and the acid value of the product using catalyst was higher than the product obtained without catalyst in the same reaction condition. The effective initiators were dicumyl peroxide(DCPO), t-butylperoxy-2-ethyl hexanoate(HOPO) and benzoyl peroxide(BPO) having long half-life.

에스테르 왁스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방출기 제조와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 효과 검정 (Efficacy Test of Mating Disruptors Against Peach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using Polypropylene Dispenser Containing Ester Wax)

  • 윤지영;김다은;임유나;이지성;양창열;김종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9-374
    • /
    • 2015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핵과류과실에 일차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병해충관리 [IPM]의 일환으로써 전세계적으로 교미교란제가 농가에 적용되고 있다. 왁스, 폴리에틸렌 튜브, 에어로졸 형태의 다양한 교미교란제가 상업화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방출기로써 에스테르왁스와 폴리프로필렌(PP)필름백을 구성하는 방출기를 기존의 파라핀 왁스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필름과 비교하여 페로몬의 방출거동을 분석했다. PE재질의 필름백은 성페로몬의 방출이 불규칙한 반면, PP필름백에서 성페로몬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방출하는 패턴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Japan 왁스_PP 필름 방출기(Japan_PP)를 제작하였고, 약 5개월 동안 복숭아과수원에 적용한 결과 98% 이상의 교미교란 효과가 검증되었다.

4급 암모늄염을 함유한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 및 안정성 (Preparation and Stability of Microemulsion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Salt)

  • 이장원;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4-50
    • /
    • 2003
  • We studied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O/W type microemulsion containing "wax, liquid paraffine and quaternary ammonium salt". And also it was obtained to stability of microemulsions by mono ethylene glycol(MEG) addition. The microemulsions were generally prepared at 96${\sim}$97$^{\circ}C$ by the phase inversion method. We used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oleate(POE(20)SMO) and distear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D.A.C.) as the emulsifiers at microemulsion preparation. From the results, we could get best condition for microemulsion preparation, in case of oil phase, montanic ester wax ; 1.1wt%, paraffine wax ; 1.1wt%, liquid paraffine ; 3.1wt%, propylene glycol ; 0.6wt% and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 0.6wt%, when the ratio(wt%) of D.D.A.C. and POE(20)SMO were 2 : 3. And also we could obtained that the distributed particle size of the final microemulsions were about 8${\pm}$1.5nm and the mean particle size was 7${\pm}$0.5nm. We got following results from final microemulsions that the percent of transmittance; 96${\sim}$98% at 700nm. And the microemulsion blended with MEG of 5${\sim}$15wt% showed smaller particle size and more stable distribution than non-containing MEG.

벼 품종들의 분얼성기 및 출수기의 엽표면Wax의 양 및 화학적 조성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Leaves at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 Yong Woong, Kwon;Bong Jin, Ch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5-197
    • /
    • 1992
  •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times$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 PDF

죽염을 함유한 에멀젼의 안정성과 피부 자극성 완화 (Stability of Emulsions containing a Bamboo Salt and its Relaxing Effect against a Skin Irritation)

  • 조완구;송영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2
    • /
    • 2010
  • Various research on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rmis and composition of ion have been performed. Traditionally, bamboo extract wa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enhancing healthy condition of a skin. Bamboo salt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famous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P/S (Polyol-in-Silicone) emulsions containing a fair amount of bamboo salt in the range of 0.5~5.0 w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emulsions, we varied the quantity of fatty alcohol and wax ester in emulsions and the stability was checked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We also studied the efficacy of treating the P/S emulsions containing bamboo salt. From the experiment, the emulsions show the mitigation of stimuli, enhancing the skin hydration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