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centered

검색결과 746건 처리시간 0.024초

커피 전문점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접점 (The User-centered Service Encounters for Service Design of Coffee Shop)

  • 민승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78-4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현재와 기대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커피 전문점의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규준 스크립트를 설계하였다. 1) 현재와 기대 스크립트에 포함된 활동들을 확인하였다. 2) 현재와 기대 스크립트에서 고빈도의 활동들을 선정하였다. 그런 후 이 둘을 통합하여 장면별로 분류하였다. 3) 통합된 장면과 활동들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4)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불필요한 활동들을 삭제하거나 선택 항목으로 제외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활동들을 장면별로 분류하고 순서대로 나열하여 하나의 규준 스크립트를 완성하였다. 각 장면에 속한 활동들 하나하나가 서비스 접점이 되었다. 장면은 '들어가기', '자리 정하기', '주문하기', '음료 기다리기', '음료 받기', '음료를 마시며 시간 보내기', '화장실 가기', 그리고 '나가기'로 구성되었다. '들어가기'에는 2개, '자리 정하기'에는 6개, '주문하기'에는 11개, '음료 기다리기'에는 2개, '음료 받기'에는 4개, '음료를 마시며 시간 보내기'에는 6개, '화장실 가기'에는 3개, 그리고 '나가기'에는 4개의 활동들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들과 함께 특이점을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에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추가하였다.

운용성 향상을 위한 인적 요소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alysis Method of Human Factors for Operation Improvement)

  • 정성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7-67
    • /
    • 2013
  • 본 연구는 운용성 향상을 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인적 요소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시스템 개발의 출발점인 사용자의 요구사항 생성 및 관리, 설계반영에 중점을 두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운용성 향상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로 인에이블링 시스템 운용환경 설계를 위한 인적 요소 요구사항 아키텍처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인에이블링 시스템 인적요소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최근 들어, 인에블링 시스템에 관한 인적 요소분석 및 설계반영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인간공학 표준 및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방법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인에이블링 시스템 운용환경설계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인에이블링 시스템 운용 환경 설계를 위한 인적요소 분석방법론을 통하여 체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의 체계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활성화 확산 모형을 이용한 아이콘 평가 (Icon Evaluation Using Spreading Activation Model)

  • 이선정;명노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35-142
    • /
    • 2007
  • Icon conveys symbolic information which they have become ubiquitous as main element of GUI. However, users often cannot intuitively understand its functional meanings. Icon has to be designed for users to easily understand functional meanings. In order to evaluate icon, the spreading activation model can be used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In asymmetric spreading activation model is that in the two nodes the degree of spreading activ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direction. Thus, asymmetric spreading activation theory was performed evaluating the strength of association when users see visual image to associate their verbal meaning (visual image - verbal meaning pair) and users see verbal meaning to associate their visual image (verbal meaning - visual image pair).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well-designed icons have symmetric relationship rather than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irs. The strength of association is measured through the reaction time and the accuracy rate. In performing SAT (spreading activation test), the ten icons were selected as word processing software icons. After first SAT, newly designed icons were developed based on Korean mental model, and second SAT was conducted using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 of newly designed icon has been improved. Also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reaction time between current icons and newly designed icons. Well-designed icon i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association relationship arises symmetrically rather than asymmetrically between the two pairs. User centered icons could be designed by improving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airs. Asymmetric SAT evaluates th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isual image and the verbal meaning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con which it related to human's association structure.

재미를 위한 HCI -HCI 관점에서의 재미있는 경험에 대한 개념적 연구- (Fun-centered HCI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Fun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 윤지은;김진우;이인성;최동성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63-71
    • /
    • 2006
  • 지난 몇 년 동안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에서 사용성(Usability)은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컴퓨터 게임과 같은 유희적인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사용자들의 경험은 유용성과 사용성이 아닌 재미(Fun)와 같은 유희적인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하지만,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용자가 얻는 재미와 재미있는 경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가 얻는 재미와 재미있는 경험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 조사를 본 연구는 "재미란, 유희 충동에 의해서 놀이 활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심리 에너지이다" 라는 정의를 내릴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활동 자체를 질서 없이 자유롭게 즐기며, 흥겨움을 느끼는" 재미있는 경험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희적인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소로서 "상징, 생생함, 새로움"을 제시하였다.

  • PDF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II ; 인터페이스 요인의 참여행태 지원 속성 분석을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II ; Focus on Interface Factors' Attributes for Supporting Behavioral Participation)

  • 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85-201
    • /
    • 2010
  • 현대사회에서 주요 디자인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호작용 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공간과의 관계에 대해 갖게 되는 인지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 요소로 구체화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적인 디자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연계논문 I 편에 이어 본고는 3개의 핵심 상호작용성 영향요인인 인터서브젝트,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중에서 인터페이스 요인의 세부유형을 분석하였다. 즉 공간디자인 구성요소들 중에서 공간-사용자 간 접속요소로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적 참여행태를 유발, 또는 지원하는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일반속성으로 개념적 조직화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사례분석과 복합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각 사례를 '개별사례분석-이행적 일반화-종합적 일반화'의 3단계로 정성 분석하였고 여기서 공통점을 추출하여 '범주화-명명'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8개 지원 측면의 17개 참여행태 지원 속성을 분석하였다.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I ; 인터서브젝트(Intersubject)와 인터랙션(Interaction) 요인의 세부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I ; Focus on the Analysis of Intersubject & Interaction Factors)

  • 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52-164
    • /
    • 2010
  • 현대에 주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상호작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성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를 수용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공간디자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주제로 수행될 3편의 연계논문 중 첫번째 연구이다. 디자인의 기본 관련영역을 기반으로 설정한 분석지표(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관계영역)에 의거하여 상호작용성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의 첫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을 위한 접속의 장인 인터페이스로 분석되었다. 이의 세부유형 분석은 연계연구 II 편의 연구과제이다. 두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발생 주체인 인터서브젝트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 욕구의 측면에서 파악되어 기능적 & 조형적욕구, 외현 & 잠재 욕구, 정보커뮤니케이션 & 공감 욕구의 6개 세부유형이 분석되었다. 세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실제 수행과정인 인터랙션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상호작용 행태 프로세스의 측면에서 파악되었고 접속, 몰입, 심성모형 형성, 상호작용 행위, 변형, 경험적 발생의 여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D Based on Living Labs)

  • 송위진;정서화;한규영;성지은;김종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8-486
    • /
    • 2017
  • 이 글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모델로 리빙랩 방식을 제안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실험실로 설정해서 최종 사용자와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 실증하는 모델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사업화 모델과 달리 리빙랩 모델은 최종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논의한다. 리빙랩 일반 모델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젝트형 리빙랩인 수요 탐색형 리빙랩 및 문제해결형 리빙랩, 그리고 리빙랩 플랫폼을 다루었는데 프로젝트형 리빙랩은 연구 개발과제를 추진할 때 모듈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빙랩 플랫폼은 수요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에게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부구조이다.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Open Access Repository)

  • 곽승진;신재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67-96
    • /
    • 2008
  •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는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없이 전 세계 이용자 누구라도 자유롭게 무료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식정보 저장소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 리포지터리(dCollection, DSpace@MIT)와 주제별 리포지터리(arXiv, PubMed Central)로 구분하여 각 리포지터리에서 제공하는 기능분석과 비교를 실시하였고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공유가 중요시 되는 웹 2.0시대라 불리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서 향후 구축되는 리포지터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CURRENT RESEARCH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IN KOREA

  • Kim, Jong-Kyung;Kim, Kyung-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531-544
    • /
    • 2009
  •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key issues and current research outcomes on accelerator-based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Accelerator-based neutron sources are efficient to provide epithermal neutron beams for BNCT; hence, much research, worldwide,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onents crucial for its realization: neutron-producing targets and cooling equipment, beam-shaping assemblies, and treatment planning systems. Proton beams of 2.5 MeV incident on lithium target results in high yield of neutrons at relatively low energies. Cooling equipment based on submerged jet impingement and micro-channels provide for viable heat removal options. Insofar as beam-shaping assemblies are concerned, moderators containing fluorine or magnesium have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neutron accumulation in the epithermal energy range during the slowing-down from the high energies. NCT_Plan and SERA systems, which are popular dose distribution analysis tools for BNCT, contain all the required features (i.e., image reconstruction, dose calculations, etc.). However, detailed studies of these systems remain to be done for accurate dose evaluation. Advanced research centered on accelerator-based BNCT is active in Korea as evidenced by the latest research at Hanyang University. There, a new target system and a beam-shaping assembly have been constructed. The performance of these components has been evaluated through comparisons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with simulations. In addition, a new patient-specific treatment planning system, BTPS, has been developed to calculate the deposited dose and radiation flux in human tissue. It is based on MCNPX, and it facilitates BNCT efficient planning based via a user-friendly Graphical User Interface (G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