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2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ncept of school space innovation to aim at the importance of user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or consume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ve curriculum and various school-govern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 the ways to link school space innovation to the best possible reflection for demander-centered or the demander needs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autonomous educ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were reviewed,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goals and basic value-added awarenes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basic values of education, the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the direc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pace spatial composition, and school space.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계보경,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연구보고 KR 2011-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2. 김도기, 미래학교 환경 및 공간 구성 방안. 인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2017
  3. 김은수,변순용(2016). 초등학교 교실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42집.
  4. 서승희, 교육과정을 반영한 학교 건축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제21권 제5호 통권 제102호, 2014
  5. 서영선, 세종형 학력 함양을 위한 수업방안 기초 연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2017
  6. 심화정, 초등학교 실내공간의 감성화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7.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8. 이경선 스티븐장, 서울미래학교 설립을 위한 리모델링 방향 연구-창덕여중 리모델링 디자인 가이드라인- 서울특별시교육청 연구보고서. 2014
  9. 이영현,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 이용환, 창의적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4권 제2호, 2015
  11. 이용환, 읍.면지역 학교공간 재구조화 방안 연구,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9
  12. 정장홍.이용환, 친사회적 학교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5권 제3호. 2016
  13. 최형주,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7권 제1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