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9-259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 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PDF

중학교 수학교과서 7-가의 집합 단원 기술에 관한 언어학적 고찰 (A Linguistic Study on the Writing of Section 'Se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7-ga)

  • 정광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177-213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은 제2차 교육과정 개정 시부터 도입된 집합 단원으로 시작하고 있다. 현대수학에서 집합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처음으로 진학한 학생들에게 집합에 대한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은 있지만 용어의 기술 방법이나 내용의 전개 등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면 이후의 후속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집합 단원의 내용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보다 세심한 용어의 설명과 주의 깊은 내용의 전개 등을 통하여 중학교에 갓 진학한 학생들이 쉽게 접하도록 하여 수학이라는 과목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 단원에 수록되어있는 용어와 내용의 기술에 대하여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각 교과서별 내용을 분석하고, 집합단원에서 다루었던 용어와 내용 등이 7-가 교과서 전반에 걸쳐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집합단원의 기술과 구성 등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ormation & Application of step-wise level curriculum of Mathematics)

  • 최택영;함석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79-194
    • /
    • 2001
  • The seventh curriculum put into operation gradually from first-year student in 2000 academic years of elementary school is subject to form and apply a step-wise level curriculum. Mathematics(correspond to junior high school course from 7th school year to 9th school year) should apply a step-wise level curriculum from 7th school year in 2001 academic years. Accordingly, mathematics teachers must diagnos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s, distribution tables of test results, step-wise teaching-studying programs etc. They also make proper plans suitable for actual situations of each school, prepare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 investigated preceding studies planned for preparation of putting into operation of a step-wise level curriculum. It showed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t schools of medium or large scale and studies conducted at schools of small scale was rare. There were 113 small scale middle schools out of total 297 middle schools in Kyongsangbuk-do area in 2000. In this situation, I felt necessities of modeling of a step-wise level curriculum suitable for small scale schools. In this study, I modeled a step-wise level curriculum suitable for small scale middle schools, applied this model to 44 students in M middle school. I modeled two types of curriculum. One is a step-wise level curriculum that execute special supplementation process to students who do not complete 7-가 step successfully. The other is a step-wise level curriculum which is a regular model for a step-wise level of 7-나 step. I carried out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intimacy test about mathematic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In this study, I found out that this model was very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helpful to declined students in scholarship. In the intimacy test,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students gained confidence in mathematics, felt less anxiety, formed positive self consciousness. Therefore, I think that this model will be helpful to the application of the seventh step-wise level curriculum.

  • PDF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서의 배움공동체 교수·학습 방법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a Learning-communities Approach to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김선혜;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7-439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 도입한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의 효과를 수학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의 두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중학교 1학년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한 후에 한 학기 동안 각각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성취도는 두 교수 학습 방법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학에 대한 태도는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이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에 대한 태도의 7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수학에 대한 호기심, 과제집착력과 의지, 창의적 사고, 수학 수업 참여 등의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직선 관련 내용의 구성 및 전개 방식 분석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a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19
    • /
    • 2017
  • This paper is a follow up study of [2].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and discuss how they a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mathematics textbooks in view of connectedness of contents, mathematical terms, textbook as a learning material vs. teaching material,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some topics related to direct proportion, function, method of equivalence as a method for solving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and so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discussion suggest implications for reform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WBI 개발 적용을 통한 교수-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 신장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ching-Learning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BI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 Unit 'Function'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 김웅환;오정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03-113
    • /
    • 2001
  • The teaching-learning method utilizing Web makes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any field and offers the teaching strategy, methodology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students' ability and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BI in mathematics class for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focusing on the unit 'Function'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the WBI programs which can progress learning achievement and applying them to math class.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Hypothesis 1 : There will b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studies under WBI and the one that doesn't, Hypothesis 2 : There will b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interest toward learning between the group that studies under WBI and the one that doesn't. In order to find out the result, I hav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verification on the object of two classes of the 1st grade in P middle school that I have been working for. The result shows that the class utilizing WBI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oriented class since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one and also that the class based on WEB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interest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 class.

  • PDF

수학과목 학업성취요인 - 부산.경남의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a Case Study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s in Busan City and Kyungsangnam Do)

  • 박동준;백경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23-543
    • /
    • 2009
  • 수학 교육과 학업의 결과인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의 2개 중학교와 경남의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총 484명의 중학교 2학년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가정환경 및 배경, 학생 개인의 성격 및 교우관계, 수학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습관, 수업방식과 교사와 관련된 변인, 컴퓨터의 활용도, 수준별 이동수업 등의 학교환경, 사교육의 실태 등을 조사한 설문지를 평가도구로 활용한다. 그리고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사교육 현황을 지역별로 비교하여 제시한다.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통계적 기법인 요인분석을 실행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을 분석하고 그들의 특징을 제시하여 수학교육 연구자와 중등수학교사들에게 중등수학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중등수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중학교 수학의 학습지도방안 연구 (A study of teaching method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consideration of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김성경;이동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1호
    • /
    • pp.41-65
    • /
    • 2005
  • In this paper we make an experiment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teaching method with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developed by Vygotsky can be more effective and well applied in the middle school pratce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conclude that ZPD help to efficiently enhance the study of students, in particular, the inferior student group. Moreover, if we divide the student by more precise stoups, the ZPD will be more eff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Lastly,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a continuous teaching with ZPD will improve the student attitude positively i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 even it does not appeared apparently on this test.

  • PDF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atistic scenarios)

  • 최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9-174
    • /
    • 2022
  • 본 연구는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에서의 AI 활용 영역을 조사하여 수학교실에서 AI를 활용한 수학교육의 방향을 전망해 보고,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수학 수업에 AI를 도입하였을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분절적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AI와 에듀테크(EduTech) 기술들이 수학교실에서 어떻게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후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수학교실에서 유의미한 AI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수요목기 초급중학교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 분석 -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Syllabus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5-108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광복 이후 우리나라 현대 수학교과서의 출발점라고 할 수 있는 교수요목 기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전개 방식을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로부터 60여년이 지난 현행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