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job stres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Child Care Teachers)

  • 김윤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01-310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80점이었고, 하부영역별로는 업무과부하 3.35점, 학부모와의 관계 3.13점, 원장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부족 2.56점, 동료와의 관계 2.27점이었다. 근골격계 NOISH 양성자 기준에 의한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있는 대상자는 46.2%(61명)였고,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자각증상은 어깨부위가 25.8%(34명)으로 가장 많았고, 허리 18.9%(25명), 손/손목/손가락 17.4%(23명), 목 11.4%(15명), 다리/발 9.1%(12명), 팔/팔꿈치 7.6%(10명) 순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유무에 따라서 직무스트레스 총점, 업무과부하, 학부모와의 관계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직무스트레스 총점(OR=1.02, 95CI=1.01-1.04), 업무과부하(OR=1.08, 95CI=1.02-1.15), 학부모와의 관계(OR=1.21, 95CI=1.06-1.37)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통한 근골격계 증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 채진영;권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23
    • /
    • 2012
  • 이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한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은 중재자 유형이 가장 많았고, 개혁가 유형, 조력가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의 4개 하위요인 가운데 직무요인에서만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성취자 유형은 직무요인에 대해 가장 만족하였고, 지도자 유형의 만족 정도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이 두 집단의 수가 작아서 사후검증 결과 다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대신 충성가 유형이 개혁가, 조력가, 낙천가, 중재자 유형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5개 하위요인 가운데 심리적 대처 방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예술가 유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조력자 유형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예술가 유형은 개혁가, 조력가, 충성가, 낙천가, 중재자 유형보다 각각 유의하게 심리적 대처 방식을 더 많이 하는 것을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on their Performance of Roles: Focusing on the Regul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 장성예;이주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PASW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별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과는 부적 상관관계, 직무환경, 자아탄력성과 역할수행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인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복지환경, 교사전문성 지원, 운영 및 의사결정의 요인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대상 프로그램이나 승급 교육시 직무스트레스는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반드시 개입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또한 보육교사의 복지나 처우, 보육환경 등의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지속적이며, 가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나아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적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중심으로) (Impact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 efficacy and Nursery School Teacher Job Stress (Focused on Ulsan Ulju))

  • 이언영;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52-1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bigcirc}$군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237명이며. 2014년 9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효능감이 높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시사점은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 및 교사 복지향상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윤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60-271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tress)

  • 최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7
    • /
    • 2015
  •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 질문지(신세니, 2001), 의사소통능력 질문지(최일선, 조운주, 2010)와 직무스트레스 질문지(임진형, 2000)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 전체뿐만 아니라 그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경우 개인 관련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변인인 원아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행정적 지원, 대인관련, 경제적 안정, 그리고 개인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하고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동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havioral Attitudes through Job Stress)

  • 양기영;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9-49
    • /
    • 2022
  • 유아교사는 영아 또는 어린이를 돌보고 육아하는 선생님으로서 다양한 돌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동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그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10월 1일부터 10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기록내용 누락 등의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200부의 설문지만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 및 희망이 업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 및 낙관성이 학부모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는 긍정적이나 충성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 스트레스는 이직의도 및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인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의 상황 속에서 유아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데 도움을 주는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irth Intention of Working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in Infanc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최미란;장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3-7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2 working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of who had a single child under 36 months old.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were assessed with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mothers'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child's main caregiver. The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of the mothers who relied on babysitters to care for their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mothers whose mothers, mother-in-laws or child care teachers cared for their children. Secondly,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Thirdly, the mothers' job satisfac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working mothers with social support for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alleviating their job stres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Examination of the Moderator Effect of Active Stress Coping o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이민아;임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3-67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teacher communication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if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used functions as a moderator in relationships among parent-teacher communicati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data from 223 surveys from childcare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EM and multi-group SEM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tur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Second,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job stress was not found in the high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This was different from the significant effect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Also,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eacher's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In contrast,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hown in the higher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일선 교사들의 무릎관절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knee joint pain in teachers)

  • 박돈목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3호
    • /
    • pp.106-115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on the causes of chronic pain in the knee joint that was related to the aspects of teacher's job and daily live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nclude 237 of teachers who work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chronic pain of knee joint of the subjects' is mainly related to their stress, and also to the vehicle that they normally use(p<0.05).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frequency of the pain which is caused by a knee joint's stress when teachers teach in a standing-up posture for many hours, looking at the aspects in the pain of knee joint that are related to job, being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the pain-cure, and, in addition, presenting an effective countermeasure to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prevent such diseases as arthr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