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윤경미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4.07.29
  • Accepted : 2014.08.25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investigation o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to the turnover intention conducted with 332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Chungnam, Chungbuk and Daejeon areas. And, during the course of investigation, moderator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is tes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the major causes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ow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e order as the center head's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health, the job stress, the health condition and education statu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show their turnover intentions in the order as the job stress,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the teacher's capability and the health condition. Secon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subfactor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the domain of leadership of the center head for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the domains of organization structure and teacher's capability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at moderator effect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everal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전국보육실태조사. 2013.
  2.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3.
  3. K. J. Meier and A. Hicklin, "Employee turnov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8, No.4, pp.573-590, 2008.
  4. D. L. Cassidy, J. K. Lower, V. L. Kintner-Duffy, A. V. Hedge, and J. Shim, "The day-to-day reality of teacher turnover in preschool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on Childhood Education, Vol.25, No.1, pp.1-23, 2011. https://doi.org/10.1080/02568543.2011.533118
  5. T. Cox and L. Howarth, "Organizational health, culture and helping," Work Stress, Vol.4, No.2, pp.107-110, 1990. https://doi.org/10.1080/02678379008256972
  6. 윤종건,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 제작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2호, pp.469-483, 2004.
  7. W. K. Hoy and A. E. Woolfol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93, No.4, pp.355-372, 1993. https://doi.org/10.1086/461729
  8. 한유미, 김연하, "보육시설의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2권, pp.79-96, 2010.
  9. 전병주,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직렬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68-17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68
  10. 임진섭, 이혁준, 임정훈,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89-115, 2012.
  11. T. L. Stanley, "Burnout: A manager's worst nightmare," Supervision, Vol.65, pp.11-13, 2004.
  12. 성희자, 권현수, "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 의도와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pp.361-383, 2013.
  13. 권성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pp.313-333, 2011.
  14. H. Kim and M. Stone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32, No.13, pp.5-25, 2008.
  15. 박기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2권, pp.171-202, 2008.
  16. 구은미, 박성혜,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7권, 제4호, pp.34-53, 2013.
  17. R. D'Arienzo,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sburn University, 1981.
  18. 조성연, 구현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제26권, 제4호, pp.1-16, 2005.
  19. 양승범, "지방공무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1권, 제3호, pp.187-201, 2009.
  20. M. J. Withey and W. H. Cooper, "Predicting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4, pp.521-539, 1989. https://doi.org/10.2307/2393565
  21. 이용재, "사회복지조직의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48-75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48
  22. 신재은, 김영진, 신강현,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경기: 경기복지재단, 2011.
  23. 이종목, 직무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전략, 전남: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8.

Cited by

  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Moderating Role of Motivation for Child Care Work vol.33, pp.5,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