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School Bus Driver's Type at Child Care Centers

어린이집 통학버스 운전자의 유형에 따른 안전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윤경미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4.08.11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school bus drivers at Child Care Centers. To achieve this, 276 directors and drivers of owner-operator who drives the school bus at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Chungbuk and Daejeon area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For the data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of directors and drivers of owner-operator were 6.46 and 6.82 respectively showing that drivers of owner-operator were significantly higher.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fety consciousnes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group.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directors were shown in the order of whether or not the accident was experienced, safety-seeking motivation, sensation-seeking disposition, safety consciousness of caregivers, perception-motor skill.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drivers of owner-operator were shown in the order of safety-seeking motivation, health status, daily driving hours, economic status, safety consciousness of caregiver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way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school bus drivers at Child Care Centers and prevent the traffic accidents.

본 연구는 어린이집 통학버스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충 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통학버스를 운전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지입형태의 운전자 276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과 지입형태 운전자의 안전의식 수준은 각각 6.46(SD=1.65)과 6.82(SD=1.75)로 나타나 지입형태의 운전자가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958, p<.05). 둘째, 조사대상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 집단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원장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고 경험 유무, 감각추구성향, 안전지향동기, 보호자 등의 안전의식, 지각-운동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입형태의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지향동기, 건강상태, 일일 운전시간, 경제상태, 보호자 등의 안전의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통학버스 운전자의 안전의식을 향상하고,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The International Traffic Safety Data and Analysis, 2014.
  2. 경찰청, 교통사고 분석, 2014.
  3. 권민정, 오영태, "운전자의 정서가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31권, 제6호, pp.34-42, 2013. https://doi.org/10.7470/jkst.2013.31.6.034
  4. 윤선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운행 중인 어린이통학버스 안전 실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2호, pp.73-94, 2013.
  5. A. Neal and M. A. Griffi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Vol.27, pp.67-75, 2002.
  6. 이만수, "운전자 특성에 따른 안전의식 수준과 재해예방 대책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31-138, 2013.
  7. 강맹진, "교통사고 분석과 교통경찰활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199-20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199
  8. 이현주, "운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전행동의 차이 및 법규위반횟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2호, pp.39-50, 2007.
  9. R. West, J. Elander, and D. French, "Mild social devianc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84, No.2, pp.207-219, 1993. https://doi.org/10.1111/j.2044-8295.1993.tb02474.x
  10. T. Lajunen and H. Summala, "Driv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kill and safety-motive dimensions in drivers' self-assessm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19, pp.307-318, 1995. https://doi.org/10.1016/0191-8869(95)00068-H
  11. N. Sumer, T. Ozkan, and T. Lajunem,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and safety skil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8, pp.703-711, 2006. https://doi.org/10.1016/j.aap.2005.12.016
  12. F. L. McGuire, "Personality factor in highway accident," Human Factor, Vol.18, pp.433-442, 1996.
  13. 서경현, 조은희, "감각추구 성향 및 음주에 대한 기대와 음주동기 및 문제음주 간의 관계",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4, 2011.
  14. 이재식, "운전분노에 대한 운전확신과 감각추구 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8권, 제3호, pp.389-413, 2012.
  15. D. Zohar,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No.4, pp.587-596, 2000. https://doi.org/10.1037/0021-9010.85.4.587
  16. D. Zohar and G. Luria, "The use of supervisory practices as leverage to improve safety behavior,"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34, No.5, pp.567-577, 2003. https://doi.org/10.1016/j.jsr.2003.05.006
  17. 이경용, 안상현, 김기식, "퀵서비스 종사자의 사고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의식의 복합적 특성 분석",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145-152, 2013.
  18. J. Arnett, "Sensation seeking: a new conceptualization and a new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16, pp.289-296, 1994. https://doi.org/10.1016/0191-8869(94)90165-1
  19. 채범석, 고명수, "여성 운전자 교통사고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제1권, pp.621-630, 2008.
  20. 박종관, "도시교통문제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254-266, 2010.
  21.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안전사고 실태조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