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9.23
  • Accepted : 2014.10.22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of education, income and physical health were examined as human capital factors, two variables of formal and informal interaction as social capital factors, three variables of religion, cultur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s cultural capital factors, and three variables of existence of spouse, housing tenure and residence area as ec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wo variables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volunteering participation intention we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Senior Job Re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were used and analyzed emplo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found that three human capital variables(education, income, physical health)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older adults; of the two social capital variables, inform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whereas form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ree cultural capital variables(religion, cultur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quality of life)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nd of three ecological variables, housing tenure and residence area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whereas existence of spous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인적 자본 변수는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의 세 변수를, 사회적 자본 변수로는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공식적 상호작용의 두 변수를, 문화적 자본 변수로는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의 세 변수를 그리고 생태환경변수로는 배우자 유무, 주택점유형태 및 거주지역의 세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노인자원봉사 변수로는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의 두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노인인력개발원에서 수집한 "2012년도 노인일자리사업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적 자본 요인들인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 요인들 중에서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식적 상호작용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만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며, 문화적 자본 요인들인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태환경 요인들 중에서 주택점유형태와 거주지역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배우자 유무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0-2060), 통계청, 2011
  2. 허성호, 김종대,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1권, 제2호, pp.417-418, 2011.
  3. J. W. Rowe and R. H.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4. 서경석, 신노년문화와 노인자원봉사, 노인복지 현장라운드 테이블, 제4회 서울노년학 국제심포지움, 서울, 한국, 2009.
  5. J. Wilson and M. Musick, "Who cares? Toward an integrated theory of volunteer work,"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2, pp.694-713, 1997a. https://doi.org/10.2307/2657355
  6. J. Wilson, "Volunteer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6, pp.215-240, 2000. https://doi.org/10.1146/annurev.soc.26.1.215
  7.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생태환경변수의 효과: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을 적용하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777-800, 2012a.
  8. T. W. Schultz,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merican Economic Review, Vol.51, 1961.
  9. L. R. Fisher and K. B. Schaffer, Older volunteer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93.
  10. J. Mincer, "Economic development, growth of human capital and the dynamics of the wage structure," Journal of Economic, Vol.1, pp.29-48, 1995.
  11. B. Burtica, R. Johnson, and S. Zedlewski, "Volunteer dynamics of older America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4B, pp.644-655, 2009. https://doi.org/10.1093/geronb/gbn042
  12. J. Kim, J. H. Kang, M. A. Lee, and Y. Lee, "Volunteering among older people in Korea,"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2B, No.1, pp.S69-S73, 2007.
  13. 이현기, "생산적 노화활동으로서 노인자원봉사 활동: 인적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5권, pp.317-346, 2009.
  14. 김창석, 최수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활동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15-326, 2012.
  15. M. Musick, A. Herzog, and J. House, "Volunteering and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finding from a national sample," Journal of Gerontology, Vol.54B, pp.S173-S180, 1999. https://doi.org/10.1093/geronb/54B.3.S173
  16.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0권, pp.263-290, 2010.
  17.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a.
  18. 박희봉, 이희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분석: 경제.사회적요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09-728, 2005.
  19. J. D. Smith and J. A. Macaulay,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0.
  20. J. E. Inouye, Effect of institutional trust on formal and informal volunteering, Conference Papers-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pp.1-22, 2007.
  21. 소진광, "성남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성남발전연구소, 제3권, pp.75-117, 2003.
  22. 김지혜, 정익중, "기부행동과 자원봉사활동은 중복적 보완관계인가? 보충적 대체관계인가?", 한국비영리연구, 제64권, 제2호, pp.133-158, 2012.
  23. F. Tang, "What resource are needed for volunteering?," Th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5, No.5, pp.375-390, 2006. https://doi.org/10.1177/0733464806292858
  24. 박용순, 송진영, 황치정,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 예정 남성의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원,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제56권, pp.33-60, 2012.
  25. 김성경, "사회적 자본요인 및 자원봉사활동 요인이 평균이상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pp.317-337, 2009.
  26. M. A. Musick, J. Wilson, and W. B. Bynum, "Race and formal volunteering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lass and religion," Social Force, Vol.78, No.4, pp.1539-1571, 2000. https://doi.org/10.1093/sf/78.4.1539
  27.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1986, edited by John G. Richardson, Westport: Greenwood Press, 1986.
  28. 장미혜,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대학 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 구성의 차이",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223-251, 2002b
  29. 박수범, "한국에서의 개인기부에 대한 요인분석: 설문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제5권, 제1호, pp.137-162, 2006.
  30. 이현기, "일반노인 시간자원봉사의 특징: 평균시간과 개인자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87-411, 2011
  31. 김태현, 노년학, 교문사, 2007.
  32. M. P. Lawton and L. Nahemow, An ecological theory of adaptive behavior and aging: In C. Eisdorfer & M.P. Lawton(Ed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657-667, 1973.
  33. Y. Cvitkovich and A. Wister, "Bring in the life course: A modification to Lawton's ecological model of aging," Hallym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Vol.4, No.1, pp.15-29, 2002 https://doi.org/10.2190/L3LK-GD09-522R-7U22
  34. E. A. Greenfield, "Using ecological frameworks to advance a field of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on aging-in-place initiatives," The Gerontologist, Vol.52, No.1, pp.1-12, 2012. https://doi.org/10.1093/geront/gnr108
  35. 이현기, "노년기 생활환경과 중 고령자의 자원봉사활동: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05-329, 2012b.
  36. S. Y. Kim and G. S. Hong, "Volunteer participation and time commitment by older American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Vol.27, No.2, pp.146-166, 1998. https://doi.org/10.1177/1077727X980272003
  37. 이성록, "자원봉사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동인의 영향력", 사회복지실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센터, pp.215-274, 2002
  38. H. W. Wahl and F. Oswald, Environmental perspectives on ageing, pp.111-124 in D. Dannefer and C. Phillipson(ed.), The Sage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10.
  3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 실태조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