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unseling on Astrology on the Self-awareness Change of Youth at Risk

아스트롤로지를 활용한 상담과 위기 청소년의 자기인식 변화

  • 이영숙 (김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선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7.31
  • Accepted : 2014.09.15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gnificant value of astrology as a counseling tool beyond its unscientific means in prophecy and counseling effects on changes in adolescents' self-awareness with astrology. In astrology, personal self-awareness i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sun and the public self-awareness is associated with ascendants, or the persona.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moon that governs emotion and basic and peripheral aspects of polarity, quality, and elements are analyzed to be applied to the scene of consultation in relation of social unrest. For this study, 24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at the Youth Support Center in Gyeongsangnam-do city C who referred to be showing social maladjustment, problematic behaviors and so under prob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control group (12). To measure the affects of astrology-utilized consultation and to assess changes of self-awareness and its sub-factors,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repeatedly and statistically valid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experimental, control) and test(pre, post). As the results, it was proven that the consultation using astrology is affective on increasing adolescents' self-awareness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astrology has a meaningful value as a consultation tool in the aspects of social science.

본 연구는 아스트롤로지가 예언적이고 점술적인 기능을 하는 비과학적이라는 의미를 벗어나, 청소년의 자기인식의 변화에 사회과학적 측면에서의 상담도구로서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아스트롤로지에서 사적 자기인식이란 태양이 위치한 본성과 연관이 있고 공적 자기인식이란 상승궁 즉 페르소나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감정을 관장하는 달의 위치와 기본 좌상 및 부수 좌상을 해석함으로써 사회적 불안과 연관하여 상담 장면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남 C시에 소재하는 청소년 종합 지원센터에 의뢰된 지각, 흡연, 무단조퇴, 수업 태도 불량, 집단 폭행 등의 학교부적응을 보이거나 절도, 폭행등으로 보호 관찰중인 24명의 위기청소년들이다. 이를 무작위로 실험집단(12명)과 통제 집단(12명)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는 아스트롤로지를 활용한 상담이 위기 청소년의 자기인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아스트롤로지가 상담 도구로써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위기 청소년의 정서조절력 향상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 김나미,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아동의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김영주, 신비의 사비안 점성학, 서울:12하우스, 2003.
  4. 김희라, 개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위기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 안선영, 청소년의 성격강점의 양상과 성격강점에 대한 청소년의 자기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 유기천, 인간의 점성학, 서울:정신세계사, 2005.
  7. 은혁기,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청소년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8. 이근영, 슈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서울: 이른 아침, 2006.
  9. 이주일, 민경환, 자기검색척도와 자기의식척도의 비교분석, 대외심포지움, 1989
  10. 이종화, MBTI를 이용한 정신 역동적 마라톤 집단 상담이 따돌림 가해자의 자기인식, 타인 인식,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이현덕, 하늘의 별자리 사람의 운명, 서울:동학사, 2002.
  12. 장아름, 일반청소년과 위기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13. 정창영, 별들에게 물어봐, 서울: 물병자리, 2003.
  14. 청소년 상담원, 위기 청소년 실태 조사, 2010.
  15. 최성례, MBTI 성격유형과 점성학 성격 유형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 박사학위논문, 2010.
  16. 최종숙, 학교에서의 위기 청소년 지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17. A. H. Buss,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an Francisco : Freeman & Company, 1980.
  18. R. R. Carkhuff, D. Kratochwil, and T. Friel, "Effects of trai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15, No.1, pp.68-74, 1968. https://doi.org/10.1037/h0025258
  19. S. Duval and Wicklund, "Option change and performance facilitation as a result of objective self-aware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7, pp.319-342, 1971. https://doi.org/10.1016/0022-1031(71)90032-1
  20. S. Duval and R. A.Wicklund, A theory of objective self-awareness, New York, Academlc Press. 1972
  21. A. Fenigstein, "Self-consciousness, self-attention,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7, pp.75-86, 197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75
  22. A. Fenigstein, "Self-consciousness and over-perception of self as a targe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7, pp.860-870, 1984. https://doi.org/10.1037/0022-3514.47.4.860
  23. A. Fenigstein, On the nature of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1987.
  24. A. Fenigstein, M. F. Scheier, and A. H. Buss,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3, pp.522-527, 1975. https://doi.org/10.1037/h0076760
  25. 向山, 培風館, 超高速MOSデバイス,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