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1,298건 처리시간 0.037초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신영준;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64-7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 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 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 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대한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에 대한 인식 제고,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통합과학 현장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 과학교사 자격증 체제에 대한 점검 등을 제언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교수창의성,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교실환경의 다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ple Medi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Expertis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Beliefs on Play Teaching Efficacy)

  • 이미선;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87-98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variables that improve the efficacy of the play teaching of infants and toddlers following a play-orient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287 infant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mediating effect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lay belief was significant, but teaching crea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expertise, play belief,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both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media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diating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play and their teaching skills.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n Curriculum-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 박규리;안완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3
  • 본 연구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2년 4월1일~4월 30일까지 경기도, 충청도, 대전 등에 있는 사범대학교 재학 중인 체육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인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후 연구 참가자 40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최종 34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전공만족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역량과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되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예비체육 교사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utilization ability of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NCS for Young Child's Preliminary Teachers

  • Ha, Y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1
    • /
    • 2017
  • This thesis progressed research on the improvements of NCS multimedia utiliz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A national module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terms of child education, so this thesis suggest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ourses taught for freshmen and sophomores of K University Child Education majors. To lessen the burden of tremendous work and classes, provide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and maximize the effect, this thesis provides NCS based curriculum. It expects to improve task performance of teachers and help them with better skills to make class materials using up-to-date multimedia, regardless of the computer literacy of preliminary teachers. This thesis does prior research on the abilities to make use of computers and understand the level of computer literacy. Then it suggests NCS based curriculum goals and its performance standards to utilize task-suitable software. It aims to enable efficient multimedia usage, and opt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of education linked to Nuri precesses.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lasses: Focused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강봉숙;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9-19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서교사의 공동교육과정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수업 사례를 고찰하여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소개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해당 수업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두 명의 사서교사가 개설한 2개의 34차시 공동교육과정이다. 수업은 공통적으로 진로 또는 교과와 융합된 탐구 문제를 개별 학생이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사서교사가 미디어 정보 활용 과정에 따라 지도하였다. 참여자는 과목을 이수한 대구의 고등학생 중 사전 사후에 모두 설문지를 작성한 22명이다. UNESCO에서 발표한 MIL의 구성요소인 접근, 평가, 생성의 하위 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전체 수업 전후 각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요소 모두, 그리고 하위 42개 항목 중 25개 항목에서 수업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생의 리터러시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교육과정 흐름 속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 부산광역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 (Improvement Method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 On the Basis of Middle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

  • 김용일;최재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26
    • /
    • 2006
  • 7차 교육과정이 시작된 지 벌써 5년이 지났지만 기대했던 것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한 채 여러가지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터 기술에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일반적이고 총괄적인 문제점은 많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하지만 일선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와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느끼고 가졌던 여러 가지 컴퓨터 교육의 세부 문제점들을 정확히 조사하여 앞으로의 컴퓨터 교육의 정책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컴퓨터 교육의 일반적인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실제 중학교 현장의 정확한 실태와 교과재량으로 선택한 컴퓨터 교과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컴퓨터 담당 교사와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Mathematics Curriculum of Germany -Focusing on Nordrhein-Westfalen-)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181-21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2000년대를 향한 세계 여러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 개정의 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제 7차 수학 교육과정 개정 노력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학교육의 오랜 전통을 지녔으나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의 구성체제와 구성내용을 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과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발전적 고찰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PDF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의미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2018 'Comprehensive Plan for Vitaliz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1-6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2018년 민주 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에서의 추진과제 중 첫째, 학교 민주시민 교육 강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가 시민성 함양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원 전문성 신장 및 교육활동 지원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교원 연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셋째,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습 공간 재구조화 및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 구현을 위해 노후 학교 개축 또는 리모델링을 통해 학생 안전 및 학습권 보장한다. 넷째, 학생 자치 활성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와 참여 체험 중심의 수업과 자치 활동 등을 강화한다. 다섯째, 민주시민 교육 지원 체계 구축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역할과 전문성을 존중하는 상호협력 체제구축 및 지역사회와 교육공동체 간 상호협조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

현행 초등 과학 교육에 대한 현장의 실태 조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Survey on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in Jeonnam Province)

  • 이계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88
    • /
    • 1978
  • The survey is intended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problems produced in the following nine aspects (objectives, contents, materials, inquring methods, teaching methods, teachers, children, evalutions, admininative supports) during the past five years often the revision of new science curriculum. 1. View for science education. 1) The teacher's and children's view for science education can be seen renewed, being different from the old one. 2) Inquring method in learning and teaching began to take firm root and children came to know that it is the only way to study science. 3) Writers think that the new science education has stepped into the stage of being fixed to a considerable degree. 2. The aspect of administrative policy. 1) The amount of materials in possession is small and the present materials are lacking in solidity and precision. 2) Class room teacher's over load with miscellaneous things i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3) The shortage of the printed materials and books for children and teachers has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quring method. 4) It causes cramming to examine all children at the same time by paper test. 5) It is more desirable to appoint qualified teacher only for science teaching. 3.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1) In current science textbooks. There can be found some contents which are difficult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not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Korea.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should be reexamined. 2) As it is hard to teach concepts of reciprocal action and to prepare materials with teaching of the system of biological concepts, the teaching of contents is likely to be a cramming. 4. The aspect of in-service education. 1) It is obsolutely predominant reation that in-service education i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class room teaching. 2) As adiministrators' policy for science education has a great effect, in-service education for their enlightenment is needed.

  • PDF

ASTRONOMY EDUCATION IN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 CHOE SEUNG-URN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445-449
    • /
    • 1996
  • We introduc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ssued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Korea. Astronomy should be given and taught as compulsory courses i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of middle school, General Science of high school, and as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I, II. Astronomy concepts have been designed in sprial pattern. College levels of astronomy have been given as majoring in astronomy course, cultivating one for earth science pre-teacher students and cultural subjects for non-major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