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space

검색결과 2,215건 처리시간 0.025초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ervice Framework for Public Cultur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tents)

  • 홍대기;송병선;이남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1
    • /
    • 2010
  • 최근 문화산업은 세계화, 컨버전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감성, 체험 등 문화적 창의성이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문화콘텐츠는 자료의 축적, 보존, 관리 수준으로서 그 정체성 및 활용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어, 문화의 공간화 및 공간의 문화화를 통한 상생 모델화가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조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으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 문화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 또는 재생산하여 전시, 유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Culture Space)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Culture) 및 공간(Space)의 융합 형태를 통하여 시공간의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에 개인이 자유롭게 확대 재생산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홈 스마트 미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사용자 행태 및 니즈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User Behavior and Needs for Efficient Use of a Home Smart Mirror)

  • 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9-129
    • /
    • 2016
  • Rapid changes to the paradigm of smart media have create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merging with various media such as IoT technology, which is internet of things. Among them, user' need for a start home, which is one of people living conditions, has been growing and values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 living space using a smart mirror have been growing. However, studies on figuring out behavior and analyzing needs of family members who actually use the living space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s to draw the service system of the home smart mirror by analysis of behavior and needs of users of the living space. For a research method for analysis of behavior of family members, I wrote two kinds of user's experience maps, which are frequency of use of a quantitative space of a living space and space's important value scales by persona study and depth interview. Through this, applied spaces of the home smart mirror (living room, bathroom, powder room, dress room, porch, kitchen, room) and the types of user needs (type of provid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type, control type, service type) have been drawn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ology has been utilized for a research of user preferences in regard to correlation between living spaces and types of user needs based on a survey. As a result of analysis of ages and gender, types of user needs by space have been drawn and the service system of the home smart mirror has been drawn. It would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and design using the smart mirror in the future.

효율적 의사결정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 연구 (Smart Space based on Platform using Big Data for Efficient Decision-making)

  • 이진경
    • 정보화정책
    • /
    • 제25권4호
    • /
    • pp.108-120
    • /
    • 2018
  • 전 세계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맞춰 한국은 적극적으로 국가적 대응계획 I-Korea 4.0을 수립하여 2017년 11월에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국가성장을 위한 산업혁신과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동산산업도 예외는 아니며 산업혁신을 위해서는 스마트환경에서 주거, 상업, 업무, 복합 등 다양한 가용공간의 효과적 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 의사결정이 필요하고 이는 공간수요자 행태의 실시간 정보와 정확한 예측이 이루어 질 때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을 제안하고 플랫폼의 구조와 서비스를 구체화 시키고자 한다.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도 스마트 트래픽,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 등 다양한 스마트환경 적용사례처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빅데이터의 효율적 저장, 접근, 분석, 활용이 가능하다.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의 구조는 6개 레이어 즉, Collection layer, Transfer layer, Storage layer, Service layer, Application layer, Management layer로 구성된다. 이 플랫폼은 의사결정자들이 행위기반(activity-based), 시장기반(market-based), 정책기반(policy-based) 빅데이터를 Searching, Mining, Integrating, Storing, Analyzing, Visualizing 할 수 있는 서비스체계를 가지고 있다.

전문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 이수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7-44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this,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targeting the libraries in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First, in case of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books and library data, student satisfaction for traditional and normal library areas was high. It means that the service based on library areas should start from normal library areas as well as there is a change about space as the type of data in libraries change to electric data and multimedia. Second, If we look at the space for a reader and a user, satisfaction for a normal reading room was high. we can also see that satisfaction for a computer room and a multimedia reading room was not higher but still high. Also, the reason why satisfaction for a multimedia reading room that provides various activities was high was that the complex of a library space is needed to provide users with various activities. Third, in case of space for programme function and meeting, satisfaction for the room of video information and the group study room was high. we can see that user satisfaction for the space got high basically when a user is satisfied with the prope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interaction Fourth,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of 3 spaces of Junior College Library and the services, the size of the space of service does no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directly. Even the space is small, if it decorates variously like with a lighting for a user, a window seat to meet the nature of users and has specific factors such as space reservation using internet, user satisfaction is high. If we summaris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make user satisfaction for speace in a Junior College Library higher, not just we need to try to make it extend as a educational, a cultural place but we also need to accept the student's requirement that the space also needs to be exten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사례연구 (U-Commerce in Service Space : Business Model Analysis and Case Study)

  • 이현석;이경전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45-61
    • /
    • 2008
  • 기존의 유비쿼터스 상거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연구인 반면,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 상거래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은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상거래 사례(맥도날드의 터치오더 서비스)를 분석하고, 현실 사례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공간에서 새로운 가치창출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인 Media Embedded Place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였다. Media Embedded Place 비즈니스 모델은 비교적 이동성이 없는 테이블이나 게시판과 같은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거래를 발생시키고 그 대가로 공간을 제공한 사업자가 인센티브를 취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일컫는데, 이 모델을 위한 시나리오와 애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고, Tag-Evaluation 모델을 이용한 수익성 분석 사례를 설명하였다.

  • PDF

실내 위치 측위 효율성 분석을 위한 비콘 신호 특성 연구 (Study on the Beacon Signal Characteristic for Efficiency Analysis of Indoor Positioning)

  • 현미진;김봉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
    • /
    • 2018
  • 최근 들어, 실내 공간에서의 활동 영역이 넓어지면서 실내 공간에서의 사용자 위치 측위, 추적, 공간 패턴 분석, 환경 분석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 활용 서비스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공간에서의 서비스 기술을 위해 BLE 기반의 Beacon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콘을 기반으로 실내 위치 측정에 대한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듈을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근거리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으며, 실내 공간에서 장애물이 없을수록 위치 데이터가 보다 정확하게 추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pace Service Volume Augmented with Korean Positioning System at Geosynchronous Orbit

  • Kim, Gimin;Park, Chandeok;Lim, Deok Wo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4호
    • /
    • pp.327-336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signal availability of inter-operabl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multi-GNSS) combined with future Korean Positioning System (KPS), specifically at geosynchronous orbit (GSO). The orbit of KPS, which is currently under conceptual feasibility study, is first introduced, and the grid points for evaluating space service volume (SSV) at GSO are generated. The signal observabilities are evaluated geometrically between those grid points and KPS/GNSS satellites. Then, analyzed are the visibility averaged over time/space and outage time to not access one or four signals. The reduction of maximum outage time induced by KPS are presented with different maximum off-boresight angles depending on L1/E1/B1 and L5/L3/E5a/B2 frequencies. Our nume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SV of multi-GNSS combined with KPS provides up to 7 additional signals and could provide continuous observation time (zero outage time) of more than four GNSS or KPS signals for 3.20-14.83% of SSV grid points at GSO. Especially at GSO above North/South America and Atlantic region, the introduction of KPS reduces the outage duration by up to 63 minutes with L1/E1/B1 frequency.

종합병원 체감 대기시간과 의료서비스공간의 건축계획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ible Waiting Time and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 of Medical Service Space in General Hospital)

  • 임양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20-8829
    • /
    • 2015
  • 최근 질병 치료과정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의료기관의 서비스 공간과 대기시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 시 방문자의 장시간 대기가 불가피하고, 이것은 환자에게 심리적 불안 및 부정적 감정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는 의료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중시키고, 병원의 재방문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원의 마케팅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대기시간의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의 변수인 대기 환경과 대기 환자의 태도가 체감 대기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 병원 계획의 대안을 제시한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지능형오피스의 서비스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Development of Service Scenario for the Smart Office)

  • 조윤정;김성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36-441
    • /
    • 2008
  • 오늘날의 오피스 공간은 오피스 초창기에 보여지 듯 거대한 공간 안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던 공간 구조와는 달리 개인의 업무, 공동의 업무와 상호 독립적인 업무, 그룹의 업무방법과 그룹문화, 그룹과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이는 산업과 기술의 발달로 하여금 사용자의 오피스 공간 의식변화 및 공간 형태에서 큰 변화가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하지만 유비쿼터스 기술의 빠른 성장은 건물 전체의 기능이나 성능, 효율과 더불어 사용자 중심의 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오피스의 기술적 공간변화로 진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오피스의 개념을 구체화와 사용자요구 중심의 오피스환경 연구의 일환으로 지능형오피스 서비스시나리오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H.323 단말기와 게이트키퍼를 이용한 사이버 공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yber Space using H.323 Terminal and Gatekeeper)

  • 김기용;이건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7호
    • /
    • pp.1177-118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H.323 표준을 만족하는 게이트키퍼와 웹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회의 사이버 공간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게이트키퍼는 H.323 영상회의용 단말기들의 등록 및 호 제어 관리를 담당하며,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의 효율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웹에서의 컨트롤 자동 다운로드 기능을 통하여 영상회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를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 공급자가 직접 설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영상회의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디렉토리 서비스의 다양한 응용을 통한 영상회의 서비스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