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 수학영재의 도전적 문제 상황을 위한 원용삼방호구(圓容三方互求)의 활용 (Application of '圓容三方互求' as a Mathematically Challenging Problem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30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to provide mathematically challenging tasks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For the selection, a mathematical problem from <算術管見> of Joseon dynasty, '圓容三方互求',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roblem solving and the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problem. For the application, teaching strategies such as individual problem solving and sharing of the solving methods were used. The problem was provided for 13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y not only solved it individually but also shared their approaches by presentations. Their solving and sharing processes were observed and their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some didactical considerations were suggested.

영재교육원 수료 학생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정원 외 선발의 타당성 분석

  • 전영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47-70
    • /
    • 2004
  • 과학고등학교 선발 과정 중 영재교육원 수료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원 외 특별 전형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의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성취도 분석은 학생들의 1학기 종합 성적 및 담당 과목 교사와 학급 담임의 학생 개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합하여 수행하였는데, 분석 결과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수학 ${\cdot}$ 과학 분야의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는 아니나 다른 전형과정으로 선발된 학생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재교육원 수료자로 학교장 추천제나 경시대회 수상자,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성취도는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과학에 대한 인식, 흥미 과학적 태도를 판단하는 과학 분야의 정의적 영역 검사를 수행하였는데,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다른 전형과정으로 선발된 학생과 다른 점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영재교육원 수료자가 선호하는 학습 형태나 학습 환경이 다른 학생과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조사하였는데,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은 명료화 요인에 대한 요구가 낮고 허용적인 분위기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의 결과는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선발 과정의 다양화를 통해 기회를 갖지 못했던 영재아를 선발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존속시키되, 선발 방법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영재교육원에서의 활동에 대한 다면적 근거자료, 수렴적 사고 및 발산적 사고를 묻는 다양한 형태의 문항, 탐구 기능을 포함한 과제 수행 능력의 평가 등 다단계 선발 과정을 통한 입체적 판단 과정이 필수적이다.

러시아의 수학영재 통신교육 (Mathematics Education by Correspondence far Gifted Students in Russia)

  • 신현용;한인기;이종욱;김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95-103
    • /
    • 1999
  • Russia is a country which is interested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a long time. Some aspect of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Russia(for example,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s and activities of study, and selection of students in Russian physio-mathematics school) has already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troduce system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by correspondence for gifted students in Russi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Russian literatures and articles published by the various physio-mathematics correspondence schools for gifted students. In this article, we gav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o-mathematics correspondence schools for gifted students: various types of mathematics education by correspondence, curriculum, practical materi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by correspondence.

  • PDF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탐구문제 발견 능력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f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김민희;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64-4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science inquiry problem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finding situation. Also, this study has compared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ies of those two group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ways of improving student'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and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of science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nquiry problems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measurement, method, cause, possibility, what, comparis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quiry objectives, and both group found more problems in scientific context than in everyday context.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proble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type of problems generated by them were more variou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blem finding ability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quality of problem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기질 및 성격 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 선발에 주는 시사점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found in a new psychological inventory and their implications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 박주용;오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1호
    • /
    • pp.143-156
    • /
    • 2005
  • 영재 교육은 현재 법국적이고 범사회적인 차원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심리 검사 도구를 통해 밝혀진 영재의 특성이 기존의 영재 선발의 문제점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과학/수학 영재 집단이었고 이들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해 줄 통제 집단으로 학업우수자 및 고지능자집단이었다. 영재의 타고난 기질적 특성과 후천적인 성격을 구분할 수 있는 '기질 및 성격검사 JTCI'와 함께, 진단성 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영재들은 흔히 어떤 타고난 특성이 있다고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학업우수자의 비교할 때, 기질 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되었다. 그렇지만 기질은 물론 성격의 여러 하위 척도 상에서 영재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어떤 유의미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현재의 영재집단은 그 선발 방식의 다면성이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시실상 학업성적 우수자와 차별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확대일로 있는 영재교육의 미래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 PDF

발명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연구 (Research on Difficulties and Supporting Measures of Teachers Who Teach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 김주진;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7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영재 지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명 영재 지도 경력 3년 이상의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명 영재 지도교사는 크게 교사 자신의 어려움, 학생 지도의 어려움,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 학교 관계의 어려움, 교육지원정과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는 지도교사에 대한 유인책을 강화 및 지속적인 연수 실시, 영재 학생 선발 과정 개선, 학부모의 발명 영재에 대한 인식 개선, 학교 관리자의 인식개선, 일관되고 지속적인 행정 운영 등이 제시되었다.

SW영재학급 현황 분석을 통한 SW영재교육의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W Gifted Educ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W Gifted Class)

  • 심재권;김용천;권대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1-721
    • /
    • 2017
  • SW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SW분야에 재능이 뛰어난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SW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SW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2016년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SW영재학급 30곳이 설치되어 SW영재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영재학급이 선발 방법, 교육과정, 환경 등의 조건들이 모두 달라서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기관에 따른 SW영재학급의 편차를 줄이고, 효과적인 SW영재교육 수행을 위해서는 현황 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향 도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급의 설치운영계획서와 현장 방문을 통해 SW영재학급의 교육과정, 환경, 선발 내용을 조사하여 현재 SW영재학급의 전반적인 현황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계점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at Each Elementary School)

  • 김혜정;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257-273
    • /
    • 2013
  • 최근 영재교육의 핫 이슈 중 하나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급격한 증가이다.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단위학교 영재학급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 선발되고 있는 학생들의 영재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비교하여 현재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보다 유용한 단위학교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방법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각기 다른 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으로 선발된 단위학교 영재학급 4학년, 6학년 학생 402명,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6학년 학생 50명, 일반 학생 4학년, 6학년 학생 142명을 포함하여 총 594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위학교 영재학급 영재는 영재 특성에 있어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영재와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학생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다양한 선발방식(선발시험, 혼합, 성취도, 희망)에 따라 영재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희망에 의한 선발은 지능, 창의성,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 전반에서 다른 선발방식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재선발방식으로서의 타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선발방식 개선 맥락에서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관찰·추천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평가에 대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활용 (An Application of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s and Self-introduction Letters Used in Selec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 김성연;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671-695
    • /
    • 2013
  • 이 연구는 관찰 추천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를 활용하여 측정상황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채점 영역 내의 문항 수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1학년도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분야에 지원한 90명의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를 2명의 교사가 분석적 방법으로 채점한 자료에 대해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 산출된 최적의 측정 조건은 특정 영재교육원에서 제작한 루브릭을 바탕으로 수학영재를 선발하기 위해 사용된 선발도구에만 국한되지만, 이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적 틀은 시 도 교육청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그리고 대학의 영재교육원 등 각 영재교육 현장에서 직접 제작한 선발도구에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

독자적 연구에서 나타난 수학영재의 수학적 행동특성 분석 (Analysis on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in independent study)

  • 정진영;강순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4호
    • /
    • pp.479-492
    • /
    • 2014
  • According to Krutetskii, the educa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must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mathematical ability and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need to experience the research process like mathematician. Independent study is highly encouraged as the self-directed activity of highest level in the learning process which is similar to research process used by experts. We conducted independent study as a viable differentiation technique for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3rd grade, which participated in mentorship program for 10 months. Based on the dat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nterview with a study participant and his parents, and his blog, we analyzed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study participant. This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not found in all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ut through this case study, we underst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etter and furthermore obtain the message for the selection and edu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for the effective method of running mentorship program particul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