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counsel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1초

청소년기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 전승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55-6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해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폭력상담에서 또래관계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상담은 우선적으로 피해자를 보호하고 치유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의 1차적인 목표는 피해자에 대한 배려에서 시작되어 피해자의 올바른 또래관계 형성이 계속되는 데 두어야 한다. 그만큼 또래관계는 중요하다. 둘째, 학교폭력상담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도 내담자 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 즉, 상담개입 시에 통상적으로 피해자에게만 집중되는 일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후에도 또래관계는 계속 지속될 수 있으므로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해서도 맞춤형 상담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폭력상담은 또래관계의 회복과 삶에 대한 통찰이 중요하다. 따라서 징계나 훈계 위주의 통제적 관점이 아닌, 자기성찰을 통한 반성과 당사자들 간의 관계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폭력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폭력상담자는 그 역할에 있어서, 정서적 조력자, 문제해결자, 공감배려 문화촉진자로서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현장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최적화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상담은 기본적으로 또래관계에서 개입되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은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II) : 피해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Application and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Violence(II) : for Victimizers)

  • 허승희;최태진;박성미
    • 아동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9-164
    • /
    • 2009
  • Recently, one of the authors of this study, Huh (2008),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love, With friendship I, II" for bullies and victimizers of elementary school violence.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test program II, for victimizers.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eleven school violence victimizers. Participants completed the Anxiety Scale, Self-esteem Test, Pro-sociability Test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focus on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in the school setting.

  • PDF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t Situation of Violence in School and Improvement Program)

  • Park, Youngman;Jeong, Jeahwan;Kim, Eunj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22
    • /
    • 2015
  • 학교란 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친구들과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지도를 받으면서 사회로 나가기 위하여 많은 것을 배우는 터전이다. 이런 배움의 터전에서 폭행, 금품갈취, 집단 따돌림 등의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들의 결과로 자살, 살인, 성매매등의 극단적인 범죄로 까지 이어지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폭력의 개념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교폭력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실제적인 학교폭력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개선방안은 첫째, 인성교육의 강화로 현재의 현 실정에 맞는 인성교육의 재조명 및 필요성 부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가정의 기능과 가장교육역할 확대로 학교교육뿐만이 아니라 가정에서의 부모들의 올바른 가정교육에 대해 제시하여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전문상담 인력의 확충과 사회적 환경개선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해결에 있어 중요한 전문 상담인력 확충과 전문상담실 설치 운영에 대해 제시하였고, 넷째, 보안요원의 활용으로 전국적으로 학교 내에 학교보안요원 배치 후 적극 활용에 대한 부분 등을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지능형 리포팅 플랫폼 설계 (Design of intelligent reporting platform for school violence eradication)

  • 류창수;류광렬;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537
    • /
    • 2013
  • 최근 학교폭력의 발생 빈도 및 사건의 질이 점점 증가와 악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폭력이 줄어들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폭력 피해 후 숨기는 태도이므로 이러한 환경의 개선이 단기적 차원의 학원 폭력 감소 효과 유발을 가능케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피해학생 및 가해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익명으로 실시간 고민상담 등록, 1:1 상담 및 개인별 또는 상황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담 내용은 지능형 리포팅 플랫폼에 축척하며, 유관기관과 학부모들이 학교 폭력 상황을 실시간 리포팅하여 추가적인 폭력 및 피해학생의 자살방지를 차단 할 수 있는 지능형 리포팅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 PDF

Social Intelligence Counseling Intervention to Reduce Bullying Behaviors Among Thai Lower Secondary School Students: A Mixed-method Study

  • Jueajinda, Samith;Stiramon, Orapin;Ekpanyaskul, Chatcha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5호
    • /
    • pp.340-351
    • /
    • 2021
  • Objective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tegrative counseling intervention for enhancing social intelligence and reducing bullying behaviors among lowe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Bangkok, Thailand. Methods: An interventional mixed-method design was employed in 2 phases. Phase 1 involved the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method-based integrative counseling program from key informants using the eclecticism technique. In phase 2,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a wait-list control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with students who demonstrated bullying behaviors. Demographic data, Social Intelligence Scale (SIS) scores, and Bullying-Behavior Scale (BBS) scores were collected at baseline. Changes in SIS scores and qualitative findings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examined after counseling ended, and BBS scores were collected again 1 month later. Results: The developed social intelligence counseling program included eight 1-hour weekly sessions consisting of 3 components: (1) social awareness, (2)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3) social skills. After receiving this intervention, scores for the SIS overall (p<0.001) and all of its components (p<0.05)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mean BBS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1 month after counseling (p=0.001). With regar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the experimental student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all components of social intelligence.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preventive counseling program may enhance social intelligence, decrease bullying behaviors among lowe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revent further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However, further studies in various population subgroups should also be performed.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Children)

  • 김상우;임소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4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attachment serves as a positive emotional resource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addition, we aim to present alternative programs to reduce school violence and promote positive peer attachment among children. Design: We utilized data from the 13th year(2020)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this stud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surveyors, and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1,357.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ere confirmed. Second, it can be inferred that children with isolation in peer relationships may ultimately be more vulnerable to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s their interactions in cyberspace may also be undermined, highlighting the potential impa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it can be observed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ttachment are emotionally stable, even when exposed to school violence and cyberviolence victimization, which may enable them to regulate the degree of victimization they experience. Conclusi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cyber violence experienc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relationship, positive peer attachment is a positive resource. Therefor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n preventing and overcoming school violence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solu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Ecological Consideration of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 정종진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331-350
    • /
    • 2012
  • 이 논문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학교폭력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생태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적 발달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은 Benbenishty와 Astor(2005)의 학교폭력 관련 요인들에 대한 생태학적 경로모형을 간단히 살펴보았고, 이 모형에 기초하여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으로 학교 요인, 개인 요인, 가정 요인,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학교폭력은 한 가지 원인이 아닌 학교, 개인, 가정, 지역사회 관련 요인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이른바 '폭력의 종합 세트'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종합적 처방을 마련하여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과 본 논문에서 고찰한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과 그 영향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학교와 가정 및 사회를 바로 세워나갈 때 학교폭력의 대책이 진정성과 효과를 지니게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고교생의 이성교제 중 신체적, 심리적 폭력사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Violence in Dating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김용미;김현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dating violence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Out of 1205 high school students. 90.6%(n=1092) was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120 students(11.9%)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physical violence with a dating partner at least once or mo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s of violence were pushing and grabbing. Both of aggressors and victims interpreted the violence as an expression of love and affection. Coping behavior of victims were quite passive, while aggressors tried to apologize and to make-up. Most of victims were angry about violence. while aggressors felt sorry for their behavior. 72.5%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relationship remained unchanged or got better after the violence. while 26.7% answered their relationship was terminated or got worse. 157 respondents(14.4%)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violence at least once or more. Shouting and insulting language or behavior wer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behavior of victims was mostly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in regard to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for dating aggression.

  • PDF

일반청소년과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Adolescents)

  • 오종은;이재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63-1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4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178 general youths were selec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that are manifested in the path of violent act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are ver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both groups, the same path of violent behavior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as followed: youths repress anger when they have higher anxiety, and when too much anger is repressed, anger-out increases, which results in more violent behaviors. Second, the level of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s direct effect on the responsive violent behaviors while the level of anxiety of general youths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violent behaviors. Third, although the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may increase violent behaviors through the paths of acting-in and acting-out, violent behaviors can be reduced by reducing anger-out. Therefore, to reduce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intervention is needed for those who repress their anger due to anxiety; professional education is also required for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o help them control their anger.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 조민경;조한익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17-38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의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학대는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피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가해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매개로 다시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는 상호인과적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학대경험이 선행할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대가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학대가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