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 of guidance teache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 유병예;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9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학생과 학부모의 배경특성이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on Their Appearance - according to background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

  • 유경옥;위은하;정명선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5-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or a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based on appearance according to background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etween October 19 and 29, 2005 by means of a questionnaire designed to gauge a subject's evaluation of a teacher's abilities in learning guidance, living guidance, and human relations. The researchers selected two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in the city of Gwang-ju. The 398 surveys completed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study, the evaluation of a female teacher's abilities varies with the backgrounds of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Among the students tested perceptions were affected by gender, grade level and type of school attended. For mothers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age, occupation and family income.

  • PDF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Planning a Mathematics Lesson in Teaching Practicum by Student Teachers)

  • 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3-359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and teaching guid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um)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47-7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수학과 수업실습의 내실화를 위하여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34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육실습생들이 수업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교과지도 활동지 또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실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및 교과지도 활동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은 주로 수업의 반성 및 평가의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 내용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내용적인 측면에 대한 지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는 교사교육자, 수업 참관자, 수업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교사교육자 또는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원로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An Interpretive Inquiry into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 이정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11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losely to explore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had over 3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interpretive(or hermeneutic) inquiry. The entry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he guidance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teachers like?' Seven senior elementary teachers working for O elementary School in G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luntarily.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wice in a consecutive manner. 14 periods of interview were completed all together and each period took about 40-60 minut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guidance experiences of the senior elementary teachers(participant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guidance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conceptualized as 1) supporting and car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lead joyful school life, 2) assist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grow on good basic life habits, 3) character building activity helping students to lead integrative growth. Second, the fields and contents of guidance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conceptualized as basic life habits, manners, and health & safety. Interestingly, these concepts were evolved in connection with their personal,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s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ird, the guidance methods frequently used by the participants were co-work with parents, exemplary storytelling, counselling, and praise. The participants applied these method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ade, individual difference, and school curriculum policy to some degree. Fourth,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a lot of struggles with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doing their guidance practices throughout the whole teaching career. Their guidance experiences commonly shifted from more teacher-centered or authoritative to more student-centered or relational way as their teaching years accumulated. Interestingly, all the participants more or less lived as lifelong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right space as senior teachers in today's competitive and challenging landscap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responsible teacher education can playa great role of enabling senior teachers to cope with guidance issues successfully. Compared with the speedy social change, the teacher education in Korea had been so authoritative, provider-based, subject-based until recently and it have not met the needs and wants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field. This trend has significantly hindered them from catching up with the needs of the speedy social change in terms of contemporary guidance issue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data is solely collected based on interview. So, an observational research is strongly suggested in order to uncover the situated understanding of the guidance experiences of elementary senior teachers.

  • PDF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Students' Expectation for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Role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4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72명의 공업계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하여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43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전공 이론교과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가장 원했으며, 선호하는 실습 수업방식은 학과 계열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실습 수업시 안전지도 방법으로는 선생님께서 수시로 지도해 주는 방법을 가장 원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생활지도시에 인성지도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하였으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으로 차별하지 않고 대해 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상담 주제로서 진로를 가장 원했으며, 상담시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였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학급경영시 화목한 학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길 가장 희망하였으며, 교사가 학급과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운영해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해지는 방법으로 학생들과 편하게 자주 농담을 하는 방법을 가장 희망하였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진로지도 내용으로는 취업과 진학 모두이었으며, 취업을 위한 상담시 학생들의 적성을 가장 고려해 주길 희망하였으며, 취업지도시 직업에 관한 정보를 가장 얻고 싶어 했다.

Guidance offered to teachers in curriculum materials for engaging students in proof tasks: The case of Korean grade 8 geometry

  • Hangil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195-210
    • /
    • 2024
  • Researchers and curricula continue to call for proof to serve a central role in learning of mathematics throughout kindergarten to grade 12 and beyond. Despite its prominence and recognition gained during past decades, proof is still a stumbling block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 An area in which such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is analysis of curriculum material (i.e. textbook analysis) with a focus on proof. This study is another research effort in this area of research through investigating the guidance offered in curriculum material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nature (e.g., kinds of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guidance is offered for teachers to implement proof tasks in grade 8 geometry textbooks? Results indicate that the guidance offered for proof tasks are concerned more with content knowledge about the content-specific instructional goals than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supports teachers in preparing in-class interactions with students to teach proof.

The Impact of Audiovisual Elements on Learning Outcomes - Focusing on MOOC -

  • Li Meng;Hong, Chang-k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3호
    • /
    • pp.98-112
    • /
    • 2024
  • As digital education progresses,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re increasingly utilized by learners, making research on MOOC learning outcomes a necessary endeavor. In this study, w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udiovisual elements on learning outcomes in MOOC, highlighting the nuanced role these components play in enhanc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a comprehensive survey and rigorous analysis involv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metrics, and regression techniques, we quantified the influence of text, graphics, color, teacher images, sound effects, background music, and teacher's voice on learner attention, cognitive load, and satisfaction. We discovered that background music and text layout significantly improve engagement and reduce cognitive burden, underscoring their pivotal role i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MOOC. We findings contribute new insights to the field of digital education, emphasizing the critical importance of integrating audiovisual elements thoughtfully to foster better learning environments and outcomes. Not only advances academic understanding of multimedia learning impacts but also offers practical guidance for educators and course designers seeking to enhance the efficacy of MOOC.

이중 수사(數詞) 체계 지도에 대한 논의 (Discussion on the Guidance of Dual Numeral System)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61-178
    • /
    • 2022
  • 우리나라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로 구성된 이중 수사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 수사 체계는 실생활에서 관습적으로 특정 방식이 선택되거나,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기도 하고, 불규칙하게 변형되기에 수사 학습지도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 양측의 부담이 가중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중 수사 체계로 인한 학습 지도 난점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사 체계 방식이 선택되는 맥락과 다양한 변형 사례,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련 지도 내용을 분석·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수사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수사 체계 방식의 선택 및 변형의 특징이 존재하였으나 그러한 특징의 기준이 모호하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구체적인 지도 지침 또한 부재하였다. 이 경우 현장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시되기 때문에 교사는 이중 수사 체계 관련 실제 상황의 세부 특징을 인지하고 학생에게는 이중 수사 체계 사용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경험과 연습을 통하여 이해하게 만듦으로써 수사 체계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