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 유병예 (인하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an in-depth study on child care practice for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The study shows firstly that prior to practice,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expects to perform a dual role.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conceives an unequal, vertical relationship with a practice guidance teacher and serves as someone between a teacher and a friend to children, while perceiving the facility head as a mediator and practice colleagues as companions. Secondly,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performed a triple role, while the practice guidance teacher played the role of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has mutually supportive interaction with a practice guidance teacher and serves as someone between a teacher and a friend, while acting as an important supporter to the facility head and as an uncomfortable competitor to a practice colleague. Thirdly, when a practice is completed,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feels satisfied and sorry, while emphasizing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a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figuring out the needs for child care practice for a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 who is the subject in child care practice to suggest improvements for a qualitative enhancement of child care practice.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연, 조형숙(2009). 보육실습 경험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영아에 대한 이해과정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3(1), 249-268.
  2. 김선영, 서원경(2010).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 아동학회지, 31(2), 135-150.
  3. 김의향, 서문희, 성미영, 민미희(2010). 우리나라 보육실습의 현황분석: 보육실습 기관 및 지도교사, 보육실습생, 보육실습 지도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6), 57-70.
  4. 남명자(2008). 보육실습에서 겪은 실습교사의 관계 경험과 그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2(5), 5-29.
  5. 남미경(2006).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 인식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177-198.
  6. 류왕효(2005). 보육실습에 관한 예비교사의 질문과 지도교사의 요구도 연구. 교수논총, 17, 103-102.
  7. 박낭자, 백미열, 윤희경, 이정란, 정수미, 조인숙, 조혜경, 최경애, 황혜경(2009). 보육실습의 이해. 서울 : 창지사.
  8. 박은미(2009). 예비 유아교사들의 실습불안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195-218.
  9. 박은혜, 조운주(2006).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실습. 서울 : 창지사.
  10. 변영신(2010). 보육 관련 학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7-80.
  11. 성원경(2007). 실습 전 . 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성원경(2009). 현장 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5-26.
  13. 양성은(2008).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37-60.
  14. 염지숙(2003). 유아교육실습 :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223-248
  15. 우지선(2009). 보육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현직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인식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박영사.
  17. 유영의, 유홍옥(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실습지도교사교육을 통한 실습지도 교사의 발달적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67-95.
  18. 윤기영, 정현숙, 류칠선, 차미자, 신현주(2001). 유아교육 실습지도 지침서. 서울 : 양서원.
  19. 윤숙현(2009). 보육시설 예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 자기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3), 41-67.
  20. 이대균, 김선구(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313-338.
  21. 이부미, 임현숙(2013). 보육교사 되어 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95-135.
  22. 이선미(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23. 이정미, 김은정(2009). 예비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03-325.
  24. 이종숙(2008).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행숙(2005). 어린이집 보육실습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4, 137-165.
  26. 조부경, 김정화(2005). 유아교육실습. 서울 : 학지사
  27. 조운주(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5-25.
  28. 차봉춘(2009).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탐색.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천혜정, 서영숙(2010).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 6(1), 177-199.
  30. 최애경(2007).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 이미지 변화. 아동교육, 16(3), 291-302.
  31.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3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 CA: Sage.
  33. David, L. M. (2007).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김성재.오상은.은영.손행미.이명선 역), 서울: 군자출판사. (1996년 원저 발간).
  34.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nquense University Press.
  3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CA: Sage.
  36. Padgett, D. K.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유태균 역). 서울 : 나남 출판사. (1998년 원저 발간).
  37. Ryan, S., & Grieshaver, S. (2005). Shifting from developmental to postmodern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6(1), 34-45. https://doi.org/10.1177/0022487104272057
  38. Steinar, K., & Svend, B. (2009).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2nd Edition. Californi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