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network

검색결과 962건 처리시간 0.029초

도로인접성에 따른 육상 풍력자원 잠재량 평가 (Evaluation of Onshore Wind Resource Potential According to the Road Proximity)

  • 김현구;황효정;강용혁;윤창열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4호
    • /
    • pp.13-18
    • /
    • 2013
  • Wind turbines should generally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a road to ensure passengers' safety. In Korea, there is no clear guidance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irst proposed a road setback distance of 400 m in the Onshore Wind Farm Siting Guidelines draft proposed in July 2012, and then modified it to 1.5 times the height of the wind turbine in October of the same year.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 range of onshore wind resource potential according to how the road setback distance is set using the Korea Wind Atlas with 100m spatial resolution made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the forest road network of the Korea Forestry Service. Owing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 where mountainous terrain accounts for 70% of the total territory, the wind resource potential within 1 km from forest roads are estimated to be 14.3 GW, 14% of Korea's total wind resource potential.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distance of new road for transporting wind turbines from the existing road to a wind farm site is estimated as less than 2 km. Given the limited wind resource potential and geographical constraints, an assessment system that can maximize wind resource utilization and ensure road safety at the same time, an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stead of applying the fixed road setback distance across-the-road, is required.

수치지형도 일반화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선택 기법 연구 (The Selection Methodology of Road Network Data for Generalization of Digital Topographic Map)

  • 박우진;이영민;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9-238
    • /
    • 2013
  • 지도 일반화 기법을 이용하여 대축척 지도자료로부터 소축척 지도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론 개발은 수치지형도의 제작, 갱신 등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도로와 같은 네트워크 형태의 객체를 일반화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인 선택 기법을 제안,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1:5,000 축척과 1:2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상호 비교하여 도로 네트워크 객체의 선택과 관련된 기준(선택 객체의 개수, 상대적 중요도) 들을 T$\ddot{o}$pfer의 radical 법칙과 Logit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선택 모델을 적용하여 1:5,000 수치지형도 도로중심선 레이어로부터 일반화된 1:18,000, 1:72,000 축척의 네트워크 데이터셋을 도출하였다. 일반화된 결과에 대하여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진 네트워크 객체들이 목표 축척수준에 맞게 적절히 선택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시지역 도로 네트워크를 활용한 침수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Inundation Area considering Road Network in Urban Area)

  • 손아롱;김병현;한건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07-3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침수해석시간 단축을 위하여 도로네트워크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의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세가지의 모의조건을 설정하였으며, Case 1은 도로만 침수가 발생하는 조건, Case 2와 3는 도로 및 건물지역 모두 침수가 발생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Case 1은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한 도로네트워크를 따라 격자를 구성하였으며, Case 2와 3는 각각 전체 연구유역에 대해 정형격자 및 비정형격자로 구성하였다. 각 조건을 2010년 9월 21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침수피해가 발생한 삼성배수분구에 적용하였다. Case 2와 3의 정확도 및 계산시간을 Case 1과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로네트워크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해석 결과, 총 침수해석시간은 Case 1, Case 2, Case 3 순으로 빨랐으며, 각 조건별 도로영역 내 침수 적합도는 85% 이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건물 영역에 대한 침수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물영역 침수등급지수로 산정하였으며, 세 조건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로네트워크를 활용한 침수해석방법과(Case 1), 건물영역 침수등급지수는 도시지역의 실시간 침수예경보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진 발생 후 도로망 피해 산정을 위한 정좌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Model for Road Network Damage Calculation after Seismic Outbreak)

  • 이진훈;김봉근;정동균;이상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4-381
    • /
    • 2006
  • This study presents a new information model for building a database which is used for the Damage Calculation in a Road network after Seismic outbreak (DCRS). The component which is required for information system and data analysis is divided by four factors. Those are Ground Motion Component, Road Network Component, Fragile Structure Component, and Cost Component. These components have various manners and procedures that build informations by each systems. In this study, applying the domestic system resources and these four factors, we presented the integrated evaluating system. finally, we also present the prototype of DCRS based on the ArcGIS. It is expected that developed prototype can play a role in more improved DCRS by advanced study.

  • PDF

도심 사거리 교차로 지역의 효율적인 뇌파전송 VANET 라우팅 프로토콜 (Efficient Brainwave Transmission VANET Routing Protocol at Cross Road in Urban Area)

  • 조준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29-334
    • /
    • 2014
  • 최근에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머지않은 상황에서 운전자를 위한 다양한 전자적 기능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특히, 뇌파(EEG)를 통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졸음방지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기능들이 있다. 자동차 운전자의 뇌파를 의료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관련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자동차간 또는 자동차와 노변장치간의 원활한 통신기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심의 교차로환경에서 원활한 EEG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시하기 위해 AODV, DSR, GRP, OLSR, TORA와 같은 5가지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운영되는 무선통신망을 각각 설계하고 이를 OPnet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Cell Cycle Regulation in the Budding Yeast

  • Nguyen, Cuong;Yoon, Chang-No;Han, Seung-Kee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5년도 BIOINFO 2005
    • /
    • pp.278-283
    • /
    • 2005
  • Cell cycle is regulated cooperatively by several genes. The dynamic regulatory mechanism of protein interaction network of cell cycle will be presented taking the budding yeast as a sample system. Based on the mathematical model developed by Chen et at. (MBC, 11,369), at first, the dynamic role of the feedback loops is investigated. Secondly, using a bifurcation diagram, dynamic analysis of the cell cycle regulation is illustrated. The bifurcation diagram is a kind of ‘dynamic road map’ with stable and unstable solutions. On the map, a stable solution denotes a ‘road’ attracting the state and an unstable solution ‘a repelling road’ The ‘START’ transition, the initiation of the cell cycle, occurs at the point where the dynamic road changes from a fixed point to an oscillatory solution. The 'FINISH' transition, the completion of a cell cycle, is returning back to the initial state. The bifurcation analysis for the mutants could be used uncovering the role of proteins in the cell cycle regulation network.

  • PDF

급경사지(急傾斜地) 어촌(漁村)마을의 가로특성(街路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Street-Network of a Sea-Village in the Steep Area)

  • 김석수;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7-86
    • /
    • 1999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how to develop the style of residence formed spontaneously on the steep area by looking into the street-network and resident character in residence area and analysing fundamental style of residence. Specially, It is not easy to find out a study of a sea-village in the steep area. So, it is urgent to be developed a road-system and a style of residence which are able to be adapted to speci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 of ground. Therefore, th found out characters that a steep area contains, contents that are analyz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order and the style of road-net formed to be adapted to circumstances of ground. Second, the style of road which is formed by directions. Third, the style of alley. Fourth, the relations with which alley and Madang are confronted each other.

  • PDF

도로 네트워크를 따른 교통사고 핫스팟의 시각화 (A Visualization of Traffic Accidents Hotspot along the Road Network)

  • 조나혜;전철민;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201-213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예방활동으로 자동차 보유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자동차 1만대 대비 사고 건수는 전국에서 광주와 함께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적 재난인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교통사고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연구한 초기 연구들은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교통사고 건수를 집계하거나, 커널밀도 방법을 통해 밀도를 추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었다. 그러나 교통사고는 도로를 따라 발생하는 사건이기 때문에 도로상에서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찾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네트워크를 따라 교통사고 집중 지역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교통사고를 가장 가까운 도로 네트워크에 할당한 뒤, Getis-Ord $Gi^*$에 의한 핫스팟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분석하였다. 하나는 10m 단위의 일정한 도로 링크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도로구간별 단위 길이 당 평균 교통사고를 계산하여 교통사고 밀집구간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집중되는 특정 도로 구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두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도로링크의 특성에 따라 교통사고 집중지역이 길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방법에 의한 교통사고 다발구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향후 해당 지역의 교통환경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구간을 파악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형 복층 도로터널 환기에서의 충격 손실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the Estimation of Shock Loss for the Ventilation of Network-type Double-deck Road Tunnel)

  • 박상훈;노장훈;김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3호
    • /
    • pp.132-145
    • /
    • 2017
  • 과거 도로터널 환기에 있어서 충격 손실은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터널 내 네트워크형 구조로 인해 분기 합류부가 존재하는 복층 도로터널에서는 충격 손실에 의한 압력 손실이 크게 발생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형 구조를 가지는 복층 도로터널 최적 환기 설계를 위하여 분기 합류 지점에서 발생하는 충격 손실에 대한 3D 전산유체역학(CFD)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복층 도로터널 표준단면을 적용한 실제 스케일 모델을 활용하여 전산 유체 역학을 수행하였고 다양한 각도와 차도폭에 대한 충격 손실 계수를 도출하여 기존의 설계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기 구간에서는 30도의 분류 각도를 가진 모델의 충격 손실 계수가 높게 측정되었고, 합류 구간에서는 2차선으로 설계된 모델의 충격 손실 계수가 낮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분기 합류 각도와 차도폭이 충격 손실 산정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환기기 용량 산정에 있어서 정확한 설계 인자를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3D 전산유체역학(CFD)를 활용하여 확폭 교차 유 무에 따른 분기 합류 지점에서의 충격 손실 계수를 도출하고, ASHRAE 설계 값과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확폭 구간이 반영되지 않은 모델은 ASHRAE 값에 비해 최대 3배의 충격 손실 값을 확인하였고, 확폭 구간이 반영된 모델은 최대 2배의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Intelligent Edge Computing Network Technology for Road Danger Context Aware and Notification

  • Oh, Am-Su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3호
    • /
    • pp.183-187
    • /
    • 2020
  • The general Wi-Fi network connection structure is that a number of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 nodes are directly connected to one AP (Access Point) node. In this structure, the range of the network that can be established within the specified specifications such as the range of signal strength (RSSI) to which the AP node can connect and the maximum connection capacity is limi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ultiple middleware bridge technologies for dynamic scalability and load balancing were studied. However, these network expansion technologies have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rules and conditions of AP nodes installed during the initial network deployment phase In this paper, an intelligent edge computing IoT device is developed for constructing an intelligent autonomous cluster edge computing network and applying it to real-time road danger context aware and notification system through an intelligent risk situation recognition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