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brand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AHP를 이용한 지역브랜드의 경쟁력 분석 (An Analysis of the Value of Regional Brand Index by Using AHP)

  • 김관수;오상훈;안동환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95-104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three indices for evaluating regional brand value, i.e. awareness index, experience index, and attractiveness index. We used an AHP approach to estimate these indices for 151 rural regions (151 administrative jurisdictions in Korea).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gional brand index varies considerably across regions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 First, the value of regional brand of local jurisdiction is higher than that of more integrate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Second, the brand value of Gangwon and Jeolla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ird, the interviewees with school children in the age of 40-50 are likely to have higher regional brand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also show a need for different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rove regional brand.

Co-creation 실행 단계에 따른 Value Co-creation 유형 : 지역브랜드를 중심으로 (Value Co-creation Types according to Co-creation Execution Phase : Focusing on Regional Brand)

  • 류안영;손원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81-493
    • /
    • 2021
  • Regional brands are recognized for their importance as one of the local public relations policies, but only the method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utside experts are revealing limitations in self-reliance and sustainability. In order for a regional brand to succe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 a bran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ogether with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resident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gional brand evaluation indica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ge of co-creation in the design process for regional brand development, and the type of value co-creation was determined through a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ype of value co-creation that fits the local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by adjusting the stage of co-creation execution in the design process.

한국과 이태리의 국가 및 지역 기반 섬유.패션 브랜드 전략 비교 (Comparison of Textile & Fashion Brand Strategies Implemented by Textile Industries in Korea and Italy)

  • 이은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22-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ional brand strategies between Korea and Italy and the ragional brand strategies between Jinju in Korea and Como in Italy. The study is conducted via periodicals and public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reports of various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and interviews of Jinju Silk Research Institution and Tessile di Como.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implication of the success of Italian national and regional brands to the Korean textile products and the adoptability of Italian brand strategies for Korean textile brand.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talian brand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in terms of product quality and brand marketing based on their traditional product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Korean traditional textile products have the potential to be the world wide products but lack the consist and brand strategies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the regional government. This paper furth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brand strategy based on the traditional textile products and its implimentation.

  • PDF

지역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지역문화 일치성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of Local Cultural Festival on Brand Assets: Moderating Effect of Local Culture Unity)

  • 최건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3-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여 지역문화축제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S시 읍성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431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과 지역문화일치성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문화일치성과 브랜드자산 간,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 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 자산을 조절하였다. 즉, 스토리텔링이 증가하면 브랜드 자산이 증가하는데 지역문화일치성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브랜드자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통업체브랜드 구매 의도 및 선행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할인점 출점 지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Regional Differenti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Private Brand Purchase Intention and Antecedents)

  • 박진용;정강옥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8권2호
    • /
    • pp.21-39
    • /
    • 2003
  • 본 연구는 유통업체 브랜드 고객의 지역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유통업체 브랜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가치 지각, 위험지각, 친숙성 및 점포충성도를 채택하여 서울과 부산간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두 지역의 설문조사에 의해 모아진 응답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모형에서 전반적으로 기대된 가설적 경로가 의미 있게 확인되었으며, 서울과 부산 모형간에는 품질차이 지각이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 친숙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점포충성도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관점에서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일조녹차(日照綠茶) 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Brand Equ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 Taking Rizhao Green Tea as an Example)

  • 후장셩;이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615-626
    • /
    • 2022
  • 현재 차산업 분야의 브랜드 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진행되었지만, 조사 결과 브랜드 자산의 측면에서 차산업 브랜드를 연구할 수 있는 관련 이론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일조녹차를 연구 대상으로 소비자의 관점에서 일조녹차의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요인 간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의 관점에서 일조녹차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인지도, 지역 연상, 품질 감지, 브랜드 충성도로 구성되고, 차원 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각 차원은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친다. 브랜드 인지도와 지역 연상 사이에는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는 품질 감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역 연상은 품질 감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현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인지도와 품질 감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현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야의 이론 연구 부족을 보완하는 동시에 일조녹차 브랜드 자산의 구축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및 6대 광역시 디지털 브랜드 슬로건 홍보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수준 연구 (A study on Citizens Awareness Level of Seoul and 6Metropolitan's Digital Brand Slogan Promotion Policy)

  • 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9-142
    • /
    • 2014
  •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면서 대부분의 도시들이 지역 브랜드화 정책에 발맞추어 지방경제를 활성화하고 경쟁력있는 명품도시를 만들기 위해 일제히 디지털 홍보정책으로 브랜드 슬로건(Brand slogan)을 내 걸었다. 무한 경쟁시대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속적인 디지털 브랜드 홍보정책을 펼쳐온 결과, 지역 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지역별 특성의 반영이나 차별화된 아이덴티티(Identity) 디자인이 아쉽다는 의견이 7개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전국 6개 광역시 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 정책에 대한 지역 시민들의 의식수준을 분석하여 도시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연구로, 추후 우리나라 도시브랜드 슬로건 개발 및 디지털 홍보 관리 정책에 일조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의복 착용 동기, 캐주얼 브랜드 선호 및 구매 실태에 나타나는 지역과 성별 차이 (Reg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Groups in Clothing-Wearing Motives, Casual Brand Preference and Actual Purchasing Condition)

  • 박상진;조윤진;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74-585
    • /
    • 2009
  •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reg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groups in clothing-wearing motives, casual brand preference and actual purchasing condition. Using a $2{\times}2$ sampling frame, 100 responses were collected for each regional and gender group: male students in Seoul, females in Seoul, males in Gumi, and females in Gumi. In terms of clothing-wearing motives, Gumi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howed more highly extroverted motives than males and Seoul students, respectively. And three group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clothing-wearing motives: the extroversion group, the introversion group, and the least clothing-cognizing group. Concerning the brand preference factor, female students showed more dispersed brand preference than males. Adidas and Puma were preferred by all 4 groups. Polo and Guess were preferred by Seoul students, and Clide, Banila B, and TBJ were preferred by female students. The determinants of brand preference were identified as quality, reliability, affirmative image, and some brand personas such as 'neat', 'natural' and 'polished'. The students from Seoul tend to pay more money for clothing than those from Gumi, and Seoul students' main purchasing place was identified as department store while Gumi students shop more at brand chain stores.

두류식품의 지역 이름 브랜드화의 효과: 한국 소비자의 종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on Soybean Products: Evidence from Consumer Longitudinal Data in Korea)

  • 김태경;정구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09-116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rchase pattern relating to soybean products in Korea. Specifically, the effect of branding based on a regional na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nsumer purchase frequenc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family characteristics affect product selection for a regional brand in the soybean food categ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d data collec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Korea. The RDA has monitored agricultural food consumers for years in order to obtain purchase records. Panel participants live in regions near the capital city of Seoul, Korea. Examining data from January 2010 to May 2016, 667 famil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al data set was 1,335,402. Each purchase item by each individual family was aggregated to a countable weekly observation. To analyze the data set quantitatively, zero-inflation regression was adopted, which was appropriate to avoid biases from overly dispersed observations. Results -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regional brand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characteristics.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a regional brand of soybean products. The result strongly supported this hypothesi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of the soybean products of a regional bran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is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was the presence of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family size, which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As a supplementary analysis, we also tested mean-variance differences in terms of categories and regional branding with corporate branding.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for regional branding strategies in agricultural food management. This study appears to be one of the seminal studies trying to analyze purchase patterns from longitudinal obser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variables characterizing family lifestyle.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ldren and family size should be considered when soybean product brands are introduced.

축제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Image of the Festival, City Brand Equity, and Regional Loyalty)

  • 엄지영;서정아;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1-19
    • /
    • 2017
  • 본 연구는 축제의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015년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총 289부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이미지는 도시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브랜드자산은 지역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축제 이미지가 지역 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축제 이미지와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축제를 진행하는데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