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Value of Regional Brand Index by Using AHP

AHP를 이용한 지역브랜드의 경쟁력 분석

  • 김관수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오상훈 (입소스 코리아) ;
  • 안동환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3.10.27
  • Accepted : 2013.11.26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three indices for evaluating regional brand value, i.e. awareness index, experience index, and attractiveness index. We used an AHP approach to estimate these indices for 151 rural regions (151 administrative jurisdictions in Korea).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gional brand index varies considerably across regions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 First, the value of regional brand of local jurisdiction is higher than that of more integrate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Second, the brand value of Gangwon and Jeolla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ird, the interviewees with school children in the age of 40-50 are likely to have higher regional brand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also show a need for different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rove regional brand.

Keywords

References

  1. 강형기, 2010,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한국정책연구 제 10권 1호: 23-50.
  2. 김미희, 박덕병, 노경희, 손은호, 2010,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제 17권 4호: 827-849.
  3. 박경애, 2004, "국가 이미지를 응용한 도시 이미지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0권 1호: 96-109.
  4. 박경애, 2005, "지역 이미지가 지역 공동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대구시의 중소기업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 27권 2호: 3-30.
  5. 선종갑, 고호석, 2010, "지역축제의 브랜드 자산, 브랜드 가치, 브랜드 애호도의 영향관계: 2010 경주 한국의 술과 떡잔치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제12권 3호: 77-88.
  6. 이세규, 2010, "지역주민의 집단효능감이 지역의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함평군을 사례지역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2권 2호: 163-184.
  7. 이은영, 김동태, 2012, "지역브랜드의 유형과 성과에 대한 탐색적 고찰-충남의 지역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2012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91-399.
  8. 이창효, 2000, "그룹의사결정론", 세종출판사.
  9. 조성도, 김경은, 김학도, 2009, "지역 이미지의 다차원적 요인이 지역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전략마케팅학회 마케팅논집, 제 17권 2호: 31-56.
  10. 조은동, 2009, "강원 영서지역 한우 공동브랜드 도입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 13권 2호: 94-104.
  11. 한백진, 2012, "지방자치제 하에서 지역 브랜드 강화에 관한 연구-병천순대 명품화를 위한 브랜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 10권, 4호: 248-257.
  12. 황윤용, 2005, "지역축제의 장소마케팅에 대한 장소 브랜드 관계결속요인에 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9권 2호: 255-276.
  13. An, D., 2003, Agglomeration and Spillover Effects in Food Processing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4(3): 63-92.
  14. Angelis, V. and D. Katerina, 2011, A Region's Basic Image as a Measure of Its Attra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 Sciences and Applied Research, 4(2): 7-33.
  15. Athanassopoulos, A.D. and J. Karkazis, 1997, The Efficiency of Social and Economic Image Projection in Spatial Configuration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7(1): 75-97. https://doi.org/10.1111/0022-4146.00044
  16. Hardin III, W.G. and M. Wolverton, 2001, Neighborhood Center Image and Rents,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e and Economics, 23(1): 31-46. https://doi.org/10.1023/A:1011112707018
  17. Manzenreiter, W., 2008, The Benefits of Hosting: Japanese Experiences from the 2002 Football World Cup, Asian Business and Management, &(2): 201-224
  18. Sander, W., 2004, Education and Urban Household Location, Economics Letters, 82(3): 327-331. https://doi.org/10.1016/j.econlet.2003.08.005
  19. Saaty, T. L., 1986, "Axiomatic Found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 32: 841-855. https://doi.org/10.1287/mnsc.32.7.841
  20. Skuras, D. and E. Dimara, 2004, Regional Image and the Consumption of Regionally Denominated Products, Urban Studies, 41(4): 801-815. https://doi.org/10.1080/0042098042000194115

Cited by

  1. 기후변화정책 우선순위 연구 vol.25, pp.4, 2016, https://doi.org/10.5322/jesi.2016.25.4.589
  2. Korean country-specific-advantage factors on Chinese consumer's buying intention of Korean rice: focus on the Shanghai area vol.46, pp.4, 2019, https://doi.org/10.7744/kjoas.20190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