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ne reductase 활성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구강모;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8-4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 잎 부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mu}g/mL$ 농도에서는 각각 3.9, 1.5배의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사멸 활성 측정법을 통한 항암활성 평가 실험에서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인 Hepa1c1c7 세포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꼭지와 줄기 잎 부위에서 높은 암세포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인체유래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꼭지와 줄기 잎 부위 모두 인체유래 간암 세포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지만, 특히 꼭지 부위는 최고농도에서 60.3%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보다 인체유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참외의 꼭지 추출물에서 QR 유도활성과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외 비가식 부위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추 기관별 항산화 활성과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Antioxidant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ies of Various Organs of Pepper)

  • 구강모;강영화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31-36
    • /
    • 2010
  • 고추 부산물의 활용을 위해 고추의 각 기관별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와 QR 유도 활성을 측정하였다. 고추의 과실, 뿌리, 줄기, 잎을 각각 메탄올로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고춧잎이 다른 기관에 비해 플라보노이드와 페놀성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항산화 실험에서는 기관별로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ABTS 항산화 실험에서는 고춧잎이 다른 기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FTC와 TBA 실험에서 줄기와 고춧잎이 다른 기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냈다. QR 유도활성에서는 고춧잎, 뿌리, 줄기, 과실순으로 높았다. 고춧잎의 경우 $50-200\;{\mu}g/mL$ 농도에서는 다른 기관에 비해 높은 세포 성장 억제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춧잎은 다른 기관에 비해 항산화 활성과 QR 유도 활성이 높아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

노박덩굴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효과 (The Effects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Celastrus Orbiculatus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구미정;신미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6호
    • /
    • pp.493-499
    • /
    • 2007
  • Celastrus orbiculatus (CO)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rb medicine to treat fever, chill, joint pain, edema, rheumatoid arthritis and bacterial infection in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CO). CO was extracted with methanol (COM),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methanol (COMM), hexane (COMH), butanol (COMB) and aqueous (COMA) partition layers. We determined the cytotoxicity of these four partitions in four kind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HepG2, MCF-7, HT29 and B16F10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CO, the CO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cancer cell lines we used. We also observed quinone reductase (QR) induced effects in all partition layers of CO on HepG2 cells. The QR induced effects of COMM on HepG2 cells at 80 ${\mu}$ g/mL concentration indicated 3.28 to a control value of 1.0. The COMM showed the highest induction activity of quinone reductase on HepG2 cells among the other partition layers.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present work suggests that CO may be a chemopreven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human cells.

콩보충식이가 생쥐의 해독효소계 및 Benzo(a)pyrene에 의해서 유도된 폐암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bean Supplementation on Murine Drug-metabolizing Enzymes and Benzo(a)pyrene-induced Lung Cancer Develpoment)

  • 권정숙;김정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35-539
    • /
    • 1999
  • 콩은 항에스트로젠효과와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콩의 전립선암과 유방암 억제 기작으로 항에스트로젠 효과와 항안드로젠 효과가 보고되었지만 다른 조직에서 발현되는 항암활성 특히 화학적으로 유도되는 발암의 억제기작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콩이 생식기관이외에도 항암활성을 나타내리라 가정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콩의 메탄올추추출물의 산가수분해물은 생쥐의 폐에서 항암효소계인 quinone reductas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신장과 소장에서 1상효소계의 지표효소인 arylhydrocarbon hydroxylase효소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탄올 추출물에 배당체로 존재하는 화합물이 산처리에 의하여 유리형으로 전환되면서 화학적 발암을 억제하는 활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benzo(a)pyrene으로 위암과 폐암을 유발시켰을 때, 콩추출물 첨가 식이는 폐암 발생을 현저히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화학적발암에 대한 콩 추출물의 방어효과는 약물대사효소계의 조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지각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및 glutathion s-transferase의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 S-transferase in Hepatoma Cells by Citrus aurantium Linn (Jikak) Produced in Cheju Island)

  • 유미희;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1-267
    • /
    • 2005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phase II 효소 중 QR은 quinone류 자체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고 다른 암예방 효소계와 공통으로 유도되며, 항암 작용이 있는 많은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어지기 때문에 암예방 물질 탐색의 지표가 되는 대표적인 효소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귤류 중 지각을 이용하여 메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대표적인 암예방계 효소로 알려진 quinone reductase 및 glutathion S-transfer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QR 및 GST 유도활성 측정에 앞서 각 시료의 Hepa 1c1c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여 시료자체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QR, GST 유도 활성을 측정할 시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각각 시료의 최대 처리 농도를 결정하였다. 총 6개의 지각 분획물 중 mouse 유래 Hepa 1c1c7 세포주에서는 hexane 충과 chloroform 충에서 QR, GST의 활성이 $200{\mu}g/mL$에서 각각 1.8배, 1.5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높은 QR 및 GST의 유도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지각의 hexane 층이나 chloroform층에 존재하는 높은 QR및 GST의 유도활성이 나타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dole, Indole-3-calbinol 및 Benzofuran이 간장 microsome과 cytosol의 약물대사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Indole, Indole-3-carbinol and Benzofuran on Several Microsomal and Cytosolic Enzyme Activities in Mouse Liver)

  • 차영남;;;정진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85
  • 이물질(xenobiotics) 대사에 관여하는 간장 microsome과 cytosol 효소 활성에 indole, indole-3-carbinol 및 benzofuran이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위하여 마우스에 이들 약물을 각각 5 mmole/kg씩 10일간 투여하여 다음 몇 가지의 성적을 얻었다. Benzofuran은 microsome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 7-ethoxycoumarin O-deethylase, p-nitrophenol UDPGA-transferase, epoxide hydrolase와 cytosol 효소인 glutathione S-tranferase, NADH : quinone reductase, UDP-glucos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benzofuran과는 구조적으로 furan ring내의 N원소가 O원소로 치환되었을 뿐 주된 구조가 유사한 indole과 indole-3-carbinol 투여로는 UDPGA-transferase와 NADH: quinone reductase의 활성도 증가를 볼 수 없었으며, 특히 indole은 NADPH : cytochrome C reductase만을 증가시킨데 비하여 구조상 indole에 carbinol (methanol)기가 붙은 indole-3-carbinol은 수종의 mixed function oxidase와 아울러 특히 epoxide hydrolase의 활성도 역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benzofuran과 indole-3-carbinol에 의한 epoxide hydrolase 활성도 증가의 기전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파프리카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 유미희;이효정;임효권;이승욱;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07-711
    • /
    • 2006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 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Hepa1c1c7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QR 유도활성이 가장 높았던 EtOAc 분획물은 $10-5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QR 활성이 약 3.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P^rcl$ 세포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을 보여 파프리카의 EtOAc 분획물의 항암성분은 monofunctional inducer인 것으로 생각된다.

참치지느러미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독성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Fin of Thunnus Thynnus Extract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구미정;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7-153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fin of Thunnus Thynnus (TT). TT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TM),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by using solvent partition method, affording hexane (TTMH), methanol (TTMM), butanol (TTMB) and aquous (TTMA) soluble fractions. We determined the cytotoxicity of these four fractions in four kind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HepG2, MCF-7, B16-F10 and HT29 by MTT assay. The TT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150 ${\mu}g/mL$, displaying 95% on the HepG2 cell lines and 82% on MCF-7 cell line. The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irinking and blebbing of cells were also observed by TTMM treatment in HT29 cell.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was elevated by only TTMM and TTMH treatments in HepG2 cell. QR activity was increased to around 2.0 and 1.8 times in TTMM and TTMH treated HepG2 cell at 100 ${\mu}g/mL$,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control.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present work could suggest that the fin of TT has a potential to be usable as a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cancer.

석류 추출성분이 암세포 증식 억제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rveral Cancer Cells)

  • 심선미;최상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0-85
    • /
    • 2001
  • Various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dietary components protect the initiation step of carcinogenesis. In this study, the ethylacetate (PGMEA), ethylether (PGMEE), butanol (PGMB) and aqueous (PGMA) soluble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PG)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using the MTT assay on HepG2, HeLa, C6, MCF-7 and HT-29 cells and for their activity to induce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mong various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the PGMEE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at 500 $\mu\textrm{g}$/mL which resulted 92.5% on Hela cell lines and 97.8% on C6 cell lines. The PGMEA and PGMB also showed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The assay of QR induction on HepG2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PGMEE at the concentration of 50$\mu\textrm{g}$/mL, was 1.4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control value of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eful cancer chemoprevention materials could be isolated from PGMEE fraction of Punica granatum 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