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representation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를 이용한 환경 변화에 강인한 장소 인식 (Condition-invariant Place Recogni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 오정현;이범희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13
    • /
    • 2019
  • Visual place recognition is widely researched area in robotics, as it is one of the elemental requirements for autonomous navigatio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mobile robots. However, place recognition in changing environment is a challenging problem since a same place look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weather, and seasons. This paper present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a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to recognize places under severe appearance changes. Given database and query image sequence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the convolutional auto-encoder is trained to predict the images of the desired environment. The training process is performed by minimizing the loss function between the predicted image and the desired image. After finishing the training process, the encoding part of the structure transforms an input image to a low dimensional latent represent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condition-invariant feature for recognizing places in changing environ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outperformed than existing methods.

장소 취약도에 대한 경관지표로서의 인간의 대응 (Human Responses as Landscape Indicators of the Place Vulnerability)

  • 한주엽;이민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9-121
    • /
    • 2012
  • 제방 건설과 같은 인간 반응은 홍수와 같은 지형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장소의 취약성에 대한 일종의 공간적 표현이다. 인간 반응은 장소의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모든 인간 활동이 포함되며 이러한 인간의 반응은 지형재해 감소보다는 취약도 감소와 더 관련된다. 환경 인지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반응에 따라 장소의 취약도도 변화한다. 인간은 경험적인 위험 인지를 통하여 다양한 반응을 하고 이 반응은 공간에 반영된다. 인간 반응을 통하여 장소의 취약도를 예측하고 모형화하는데 있어 계량화가 가능하다. 지형재해에 대한 역동적 취약도 모형구축을 위해서는 지역의 지형형성작용에 대한 기초조사와 함께 인간의 반응에 대한 지도화가 요구된다.

농촌다움의 담론 전개와 개념 체계 정립 (The Evolvement of Discourse and the Establishment of Conceptional System on Rurality and Ruralness)

  • 이상문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129-149
    • /
    • 2019
  • This study is to give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concept of rurality and ruralness in terms of time-span, perceived object and awareness level. In the precedent studies ruralness or rurality has been approached as the category of usefulness resources called amenity. This overlooked the perceived representation, institutional reference and rurality of ideological values. Rurality appears as a cumulative representation of being rural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ut ruralness exists as a desirable form or value for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analyzed that ruralness consists of six realms such as environment, community, self-reliance, aesthetics, enjoyable amenity and settlement, and of three or four sub-realms by each amounting to 20 in total. According to the vocabulary listing by the survey to 30 experts, rurality for the past-present is mainly imagined as of natural environment, agriculture, landscape, and community history, while ruralness for the future is frequently described as of communities, settlement and self-reliance by number of references. Through the vocabulary extraction, 17 words in the level of mid-conception are induced including ecology, comfort, history, agriculture, landscape, place, culture, convenience, etc.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ruralness along with rurality could be organized into three different layers of perception consisting of representation, norms and usefulness.

말지각의 기초표상: 음소 또는 변별자질 (The Primitive Representation in Speech Perception: Phoneme or Distinctive Features)

  • 배문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157-169
    • /
    • 2013
  • Using a target detection task, this study compared the processing automaticity of phonemes and features in spoken syllable stimuli to determine the primitive representation in speech perception, phoneme or distinctive feature. For this, we modified the visual search task(Treisman et al., 1992)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of visual features(ex. color, shape or their conjunction) for auditory stimuli. In our task, the distinctive features(ex. aspiration or coronal) corresponded to visual primitive features(ex. color and shape), and the phonemes(ex. /$t^h$/) to visual conjunctive features(ex. colored shapes). The automaticity is measured by the set size effect that was the increasing amount of reaction time when the number of distracters increased.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laryngeal features(experiment 1), the manner features(experiment 2), and the place features(experiment 3) were compared with phone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inctive features are consistently processed faster and automatically than the phonemes.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cessing automaticity among the classes of distinctive features. The laryngeal features are the most automatic, the manner features are moderately automatic and the place features are the least automatic.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Bae et al., 2002; Bae, 2010) that showed the perceptual hierarchy of distinctive features.

전통의 현대적 계승과 장소의 신화 사고들의 유한적 표상과 '민속건축'에 대한 소고 (Consistency of Tradition and Myth of Place Re-Thinking of a Finit Representation of Ideas and Vernacular Architecture)

  • 변태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1호
    • /
    • pp.67-79
    • /
    • 1997
  • Architecture is a shelter for society whose social pattern requires a specific form to accord with its material and spiritual needs. Providing a truly acceptable architecture requires our deeper understanding of cultural tradition - mythic values - not only because myth is an interpreted and configured form of 'thing' through man's second nature, such as his subjective and objective consciousness -'self-revelation of the absolute'- but also because, in the world of mythical imagination, a fragment of substantial reality -'thing'- becomes an equivalent mode to the signification, and emerges as 'its independent spiritual form' and 'the characteristic force of the logos.' In this sense, myth of place and myth behind tectonic form are the most essential sources for comprehending people's relationship to the world of inner and conscious experience. The recent efforts of modern architects to achieve cultural continuity should begin with re-interpretation and configulation of the myths behind describable material culture, especially artistic imagination inspired by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yth of place. Myth provide artists with a creative inspiration, as they did in the past.

  • PDF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A Theoretical Review on Place Branding as a Major Toolkit of Soft Regional Development)

  • 이정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73-893
    • /
    • 2008
  • 본고는 연성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검토이다. 장소브랜딩은 장소마케팅의 진화된 형태로서, 도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도시 지역의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 개발 방법, 다중의 도시 지역 정체성 경영을 위한 브랜드 리더십과 브랜드 아키텍쳐 개념, 이미지를 자산으로 계량화하는 브랜드 자산 개념 등을 통하여 장소마케팅 실천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을 보완하며,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소마케팅과 브랜딩 실천의 전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연성지역개발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창조성'과 '상징'을 중시하는 오늘날 도시 지역 개발의 중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다양한 전공영역으로부터 접근이 이루어지는 이 분야는 연구의 축적이 일천하여 향후 보다 심층적인 이론과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지리학 지식과 전통은 이 학제적 연구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환경설계에서 경관드로잉의 의미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Landscape Drawings in the Environmental Design)

  • 변찬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5-104
    • /
    • 1999
  • The Landscape Drawing is the main medium for constructing better environment which provides human beings with a place for dwelling well, even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To provide places for people's daily lives, by what measure do we design\ulcorner, by what measure do we give dimension\ulcorner, and how can we appropriately measure the place with drawing\ulcorner On any given site, of course, much has already happened, i.e, there is history. Any adequate interpretation of such a site should poetically take into account the present effects of its absent past. The findings to reveal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landscape drawings in the environmental design with a case study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landscape drawings is the poetic, artistic interpretation which we sense and bodily experience through the simultaneous exposure of the site's temporal, spatial, and tactile conditions. (2) The landscape drawing should represent the invisible (imaginary) world as well as the visible (physical) world. (3) There can be classified as two methods in representing the rich experience of a place: expression and notation. Expression is the abstract representation and do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to construction due to its ambiguous and connotative structure. But notation is constructional due to it's purely objective symbol system which is obviously denotative structure. (4) Collage is a medium of specific act that can represent the complex layered phenomena and the rich experience of given site. (5) The landscape drawings represent not only topographical space which can be measured objectively, but also topic which can be cognized culturally.

  • PDF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Fraction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Attitude in Fraction Learning Centered on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 안지선;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15-239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표상활동을 중심으로 한 분수학습이 분수의 이해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서울 소재 B초등학교 4학년 33명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상활동으로 이루어진 분수학습을 6주간 15차시에 걸쳐 진행한 결과 관계적 이해에 도달한 학생들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분수 학업성취도 검사 I, II, III에서 평균 90점 가까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수학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표상활동 중심의 분수학습은 학생들의 관계적 이해도와 분수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지향성, 자기통제, 흥미, 가치인식, 자신감을 높이며,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수학적 태도면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모던보이>와 <암살>의 본정과 종로 재현 연구 -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presentation of Jong-no and Bon-jung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 Focusing on the Post-colonialism)

  • 진수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34-245
    • /
    • 2019
  • 본고에서는 <모던보이>와 <암살>의 탈식민주의적 재현을 공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영화들은 이중도시론을 탈피한 잡거지로서 본정과 종로를 보여주었다. 이는 탈식민의 잡종적 주체를 가능하게 하는 지점으로 사유될 수 있다. <모던보이>의 본정 재현은 미쓰코시 옥상정원, 명동성당, 남산음악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암살>의 본정 재현은 아네모네 카페와 미쓰코시 백화점에 주목했다. <암살>은 본정의 미쓰코시 백화점을 투쟁 장소로 재현했다. 종로/북촌에 조선총독부 신청사를 건립되었던 역사를 배경으로, <모던보이>는 조선총독부를 투쟁의 장소로 설정하였다. <암살>의 종로 재현은 친일파 강인국 저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모던보이>와 <암살>은 '여성' 민족주의 영웅을 통해 근대의 이항대립적 경계를 돌파하는 탈식민주의적 재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정을 잡거지인 동시에 탈식민주의 운동의 본거지로 묘사하여 기존의 경성 재현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센서 노드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 설계 (Design of Presentation Language for Sensor Node Data Representation)

  • 주강;유상근;김용운;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3-895
    • /
    • 2012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현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USN의 센서 노드는 개별적인 센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탑재한다. 이를 위해 불특정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XML 기반의 웹 서비스 환경에서 활용할 표준화된 데이터 표현 언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필요한 센서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기 위한 USN 응용 서비스에서의 센서 데이터 표현 언어를 설계하였다. 이는 USN 분야의 기반 기술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활용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