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Representation of Jong-no and Bon-jung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 Focusing on the Post-colonialism

<모던보이>와 <암살>의 본정과 종로 재현 연구 -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 진수미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 Received : 2019.06.17
  • Accepted : 2019.07.10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post-colonialism focusing on the spaces in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These movies represented Bon-jung and Jong-no as a mixed-residence quarter, over the dual city theory, the orthodoxy of geography.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birth of a hybrid subject in post-colonialism. The representation of Bon-jong in Modern Boy was centered around Mitsukoshi Department Rooftop Garden, Namsan Music Center and Myeongdong Cathedral. The representation of Bon-jung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Anemone Cafe and Mitsukoshi Department Store. Set in the history of the new buildi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Jong-no, Modern Boy used it as a place of struggle. The representation of Jong-no in Assassination was centered around the mansion of Kang In-kuk, a pro-Japanese collaborator. Modern Boy and Assassination showed the post-colonialism that breaks through modern binary oppositions by a 'female' national heroine. describing Bon-jung as both a mixed-residence quarter and the original home of post-colonialism movement, they also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Kyung-sung representations.

본고에서는 <모던보이>와 <암살>의 탈식민주의적 재현을 공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영화들은 이중도시론을 탈피한 잡거지로서 본정과 종로를 보여주었다. 이는 탈식민의 잡종적 주체를 가능하게 하는 지점으로 사유될 수 있다. <모던보이>의 본정 재현은 미쓰코시 옥상정원, 명동성당, 남산음악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암살>의 본정 재현은 아네모네 카페와 미쓰코시 백화점에 주목했다. <암살>은 본정의 미쓰코시 백화점을 투쟁 장소로 재현했다. 종로/북촌에 조선총독부 신청사를 건립되었던 역사를 배경으로, <모던보이>는 조선총독부를 투쟁의 장소로 설정하였다. <암살>의 종로 재현은 친일파 강인국 저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모던보이>와 <암살>은 '여성' 민족주의 영웅을 통해 근대의 이항대립적 경계를 돌파하는 탈식민주의적 재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정을 잡거지인 동시에 탈식민주의 운동의 본거지로 묘사하여 기존의 경성 재현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23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미쓰코시 백화점 옥상정원

CCTHCV_2019_v19n7_23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카페 아네모네 앞

CCTHCV_2019_v19n7_23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모던보이>의 종로, 경회루

CCTHCV_2019_v19n7_23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친일파 강인국의 저택

CCTHCV_2019_v19n7_234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반민특위 재판정과 중앙청

References

  1.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06500.html, 2019.5.30.
  2. 강성률,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독해: 파농으로 <마이 웨이>와 <암살> 분석," 씨네포럼, 제22호, 2015.
  3. 김현수, '독립운동 재현' 장르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분석: <암살>과 <밀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 전우용, "종로와 본정: 식민도시 경성의 두 얼굴," 역사와 현실, 제40권, pp.163-164, 2001.
  5. 김종근,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6. 김종근,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p.77, 2011.
  7. 위르겐 하버마스, 이진우 역,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p.49, 1994.
  8. 벨 훅스, 윤은진 역,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북, p.71, 2010.
  9. 임지헌, 사카이 나오키, 오만과 편견, 후마니타스, pp.35-44, 2003.
  10. 이경원, "탈식민주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이론, 제5권, 제2호, p.10, 2000.
  11. 이경원, "탈식민주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이론, 제5권, 제2호, p.36, 2000.
  12. 강성률, "일제강점기 배경 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독해: 파농으로 <마이 웨이>와 <암살> 분석," 씨네포럼, 제22호, p.493, 2015.
  13. 벨 훅스, 윤은진 역,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 모티브북, pp.43-44, 2010.
  14. 조이담, 구보 씨와 더불어 경성을 가다, 바람구두, pp.124-125, 2009.
  15.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pp.23-24, 2003.
  16. 이규목, 김태경, "서울도심경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제26호, p.343, 1992.
  17.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pp.56-65, 2003.
  18. 김춘식, "식민지도시 '경성'과 '모던서울'의 표상,"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 동국대학교출판부, p.12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