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llege Festival Participants' Experience on Festival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and Peer Relation Enhancement: Focusing on College Life Participation

대학축제체험이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참여정도를 중심으로

  • 양승훈 (신라대학교 국제관광경영학부)
  • Received : 2019.04.12
  • Accepted : 2019.06.01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possibly expanding college festival's performance to ordinary life. College festivals have consolidated student communities and created college culture. Recently, the festivals have been challenged for commercialization such as celebrity concert and company sponsorship. College festival is a text, which is based on ordinary college life and should served a role to restore college life. Pine & Gilmore's experience model was used to find that quality festival experience leads to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enhance peer relations. More participate school life, the better experience the festival program. Total 195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ollege festival participants and coding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d t test. Result found that College festival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s festival satisfaction(H1), festival satisfaction affect re-participation(H2) and peer relations(H3). High level of school life particip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stival experience and other variables in compare with low level group(H4). Theoretical /practical significances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included.

본 연구는 대학축제의 성과를 일상으로의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축제는 지금까지 구성원의 공동체 결집을 통해 대학문화 창조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에 연예인 공연과 기업의 스폰서십 등 상업화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학축제의 기능회복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대학축제는 일상의 대학생활이 만들어낸 텍스트이기 때문에 일상과 무관할 수 없으며 대학축제 역시 일상의 회복에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Pine & Gilmore의 체험모델을 적용하여 양질의 대학축제 체험을 통해서 만족과 더 나가 일상과의 연결고리로서 교우관계를 개선한다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참여정도 차이에 따라 축제체험 등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축제 참가자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축제체험은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가설1), 축제만족은 재참가의도와 교우관계(가설2, 가설3)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생활 참여정도가 높은 집단은 그러하지 못한 집단에 비하여 대학축제체험,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있어 차이를 보여주었다(가설4).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말미에 포함시켰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24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7_24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내용 정리

표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7_246_t0001.png 이미지

표 2.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CCTHCV_2019_v19n7_246_t0002.png 이미지

표 3. 가설1: 대학축제체험과 축제만족

CCTHCV_2019_v19n7_246_t0003.png 이미지

표 4. 가설 2: 축제만족과 재참가의도

CCTHCV_2019_v19n7_246_t0004.png 이미지

표 5. 가설 3: 축제만족과 교우관계 개선

CCTHCV_2019_v19n7_246_t0005.png 이미지

표 6. 가설 4: 대학생활 참여정도 집단차이

CCTHCV_2019_v19n7_246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류정아, 축제인류학, 서울: 살림출판사, 2013.
  2. 이제영, 최세인, "지역 대학 축제의 개선방향: Q방법론을 통해 나타난 지역축제에 대한 주관적 인식 분석," 한국소통학보, 제17권, 제1호, pp.39-63, 2018. https://doi.org/10.22902/JSMCR.2018.17.1.002
  3. 한양명, 안태현, "축제 정치의 두 풍경: 국풍81과 대학대동제," 비교민속학, 제26권, pp.469-498, 2004.
  4. C. Brettell and F. Nibbs, "Lived hybridity: Second-generation identity construction through college festival," Global Study in Culture and Power, Vol.16, No.6, pp.678-699, 2009.
  5. 오제연, "1960년대 한국 대학축제의 정치풍자와 학생운동," 사림, 제55권, pp.363-401, 2016.
  6. 김미란, "80년대 대학의 학생문화: 비판적 지식생산과 문화적 실천의 장," 한국교육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59-60, 2014.
  7. 김송이,정철, "대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29권, 제1호, pp.103-123, 2017.
  8. 대학내일, 요즘 것들은 자기밖에 몰라서 문제라는데..., 2019.3.13. https://univ20.com/97159. 2019년
  9. 이상일, 축제의 정신,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1988.
  10. A. Quagliata, "University festival promotes STEM education" J. of STEM Education, Vol.16, No.3, pp.20-23, 2015.
  11. 조찬래, "지역사회를 위한 대학의 역할," 사회과학연구, 제65권, 제75호, pp.65-75, 2016.
  12. 김창수, "대학축제의 진단과 대한모색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20권, 제2호, pp.97-113, 2016.
  13. 류재한, "한국과 유럽의 대학축제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축제 '용봉대동풀이'와 꼬임브라 대학축제 '께이마 다스 휘타스'를 중심으로," 유럽문화예술학논집, 제7권, 제1호, pp.1-22, 2013.
  14. 임재해, "지역축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역할," 비교민속학, 제20권, pp.151-201, 2001.
  15. 고경진,이병찬, "대학 축제 서비스 차별화에 따른 여가만족, 참여지속의사 간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26권, 제6호, pp.223-232, 2017.
  16. 박관도,김학덕, "축제영향인식과 학교애착도가 대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pp.69-78, 2017.
  17. 정덕업, 대학축제의 체험요소가 대학생의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8. C. Arcodia and M. Whitford, "Festival attend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J. of Convention & Event Tourism, Vol.8, No.2, pp.1-18, 2006. https://doi.org/10.1300/j452v08n02_01
  19. B. Pine and J.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Jul-August, 1999.
  20. M. Manthiou, S. Lee, L. Tang, and C. Langlung, "The experience economy approach to festival marketing," J. of Service Marketing, Vol.28, No.1, pp.22-35, 2014. https://doi.org/10.1108/JSM-06-2012-0105
  21. 장은영, 체험관광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백산출판사. 2005.
  22. 유근준, 이혁진, "체험경제(4Es)이론에 따른 축제방문객의 행동의도와 체험관광개발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양양송이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3호, pp.263-281, 2014.
  23. 조안나, 서선희, 최애경, "단과대학축제 서비스품질이 Festival-oriented 성과 및 College oriented 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8권, 제2호, pp.163-180, 2019.
  24. 이익수, "축제 운영요원의 내부만족이 방문객의 축제만족에 미치는 영향: 청주직지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373-380,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2.373
  25. 권미정, 김종무, "지역축제 행사 체험 유무에 따른 태도가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2017 용인드론영상제의 축제만족도, 재참가의도,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61권, pp.90-98, 2017.
  26. 박종부, 이수범, "지역축제 체험요소가 축제이미지, 지역이미지 및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2권, 제8호, pp.163-175, 2018.
  27. 현혜경, "축제체험요인과 축제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494-50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494
  28. 임미라, 안대희, "축제의 체험요소가 축제이미지 및 방문객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4권, 제3호, pp.43-62, 2012.
  29. 정승훈,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지각된 가치, 만족, 충성도의 영향 관계: 제주이호테우축제를 사례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391-40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391
  30. 이원형, 전인오, "지역축제 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 지구촌 나눔 한마당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10-32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10
  31. D. Hedden,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tudent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a choral festival," J. of Indexing & Metrics, Vol.25, No.2, pp.47-58, 2007.
  32. 한안나,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제30권, 제4호, pp.111-138, 2017.
  33. E. Massoni, "Positive effects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on students," ESSAI, Vol.9, pp.84-87, 2011.
  34. J. Eccles and B. Barber, "Student council, volunteering, basketball, or marching band: What kind of extracurricular involvement matters," J. of Adolescent Research, Vol.14, No.1, pp.10-43, 1999. https://doi.org/10.1177/0743558499141003
  35. 김영희, 홍경선, "중학교 시기 학교폭력 경험이 고등학교 시기 학교폭력경험 그리고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9권, 제5호, pp.1413-1426, 2011.
  36. 장성화, 천영희, 함성수,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가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540-548, 2014.
  37. 유영주,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생의 학습태도가 교우관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학회지, 제25권, pp.71-86, 2011.
  38. 조현민, 최영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중학생의 교우관계, 사회성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833-843, 2015.
  39. J. Laing and J. Mair, "Music festivals and social inclusion: The festival organizers' perspective," J. of Leisure Science, Vol.37, No.3, pp.252-268, 2015. https://doi.org/10.1080/01490400.2014.991009
  40. 오세이, "동아리활동 참여 대학생의 자기성취감, 교우관계 및 사회지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1권, 제1호, pp.651-659, 2013.
  41. 렐프, E.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ness)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공역), 서울: 논형, 2005.
  42.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서울: 논형. 2005.
  43. C. Baker, "Under-represented college students and extracurricular involvement: the effects of various student organizations on academic performance,"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Vol.11, No.11, pp.273-298, 2008. https://doi.org/10.1007/s11218-007-9050-y
  44. J. Foubert, "Effect of involvement in clubs and organizations on the psychosocial development of first-yea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NASPA Journal, Vol.43, No.1, pp.166-182, 2006. https://doi.org/10.2202/1949-6605.1576
  45. 윤창국,이혜선,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참여를 통해 본 공동체 진입과정과 의미탐색," 평생교육학연구, 제20권, 제4호, pp.81-113, 2014.
  46. T. Wickham and D. Kerst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crowding in event setting," Event Management, Vol.6, No.3, pp.167-174, 2000. https://doi.org/10.3727/096020197390248
  47. 손선미, "대학교의 학과 이벤트가 소속감과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C대학 관광경영학과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연구, 제9권, 제2호, pp.168-183, 2015.
  48. K. Jaeger and R. Mykletun, "Festival, identities ,and belonging," Event Management, Vol.17, No.3, pp.213-226, 2013. https://doi.org/10.3727/152599513X13708863377791
  49. 이유양, 유병호, "축제체험요소가 즐거움정도,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와인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호, pp.271-29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