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Pinus koraiensi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Cone Number and Thinning on Nutrient Content in Needles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 Han, Sim-Hee;Kim, In-Sik;Kim, Hyun-Suk;Kim, Tae-Su;Jang, Kyung Hwan;Kim, Tae D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16-524
    • /
    • 2008
  • We investigated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 contents (N. P and K) in current and one-year old needles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alternate bearing. One experimental set was designed with three types of cone number (one, three and five) under natural state and cone number of another one was controlled by thinning. Test samples were separated to collect into three fractions; current needles on the shoot and one-year old needles above and under the cone. On the branch without cone, N, P and K concentrations in needles on the shoot were higher than those in needles of one-year old branch. At natural state, needle P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in needles on the five-cone branch in August. Macronutrient concentrations were the lowest in needles above the cone, which was remarkably observed in needle K concentration. Under cone thinning, N. P and K concentrations were the highest in needles on one-cone branch and the lowest in needles on five-cone branch. Needl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the lowest in needles above the cone, which was remarkably observed in the needle on five-cone branch. In conclusion, the current needles of the shoot and cones are a strong sink of nutrient like N. P and K, and the increase of cone number influences nutrient removal from needles.

조재년도가 다른 잣나무조림지 토중 톡톡이군집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asonal Changes of Collembolan Community in the Plantation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Which is Planted in Different Year)

  • 김향훈;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1-209
    • /
    • 1989
  • 본 실험은 나이가 다른 잣나무조림지에서의 토중 톡톡이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림후 1~2년된 지역에서 11~12년된 지역을 1986년 7월부터 1987년 6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톡톡이군집?조는 각종에 따라 심한 집중분포현상을 나타내고 있고, 동일종도 지역에 따라 다른 분포양식을 나타낸다. 조림연도별 군집구조는 조림연도가 오랠수록 종다양도가 높아지고, 밀도와 종자도 안정되어 있었다. 조림후 2년이 지난 1985년조림지에서는 동경사면인 I구가 서면사면인 II구보다 종다양도가 높았다. 계절적 군집구조는 온도가 높은 8월과 유기물함량이 가장 많은 10월에 밀도와 종류가 높은데 이는 톡톡이군의 활동이 온도, 습도, 유기물량에 형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아세톤과 DMSO (Dimethylsulfoxide)로 추출(抽出)하여 측정(測定)한 잣나무 침엽(針葉) 내(內)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비교(比較)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Contents of Korean Pine Needles Using Acetone and DMSO (Dimethylsulfoxide))

  • 서금영;손요환;구진우;노남진;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64-268
    • /
    • 2005
  • 참나무류 임분에 자연 발생한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을 80% acetone과 DMSO(Dimethylsulfoxide)로 추출하여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80% acetone에 비해 DMSO로 추출한 총 엽록소 함량은 잣나무 침엽의 모든 연령에서 약 4-6배 높은 값을 나타했다. 또한 DMSO로 추출한 경우 상층 임관을 점유한 인공 조림된 잣나무와 하층에 생육하는 잣나무 간에는 총 엽록소 함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80% acetone으로 추출한 경우에도 역시 두 종류의 잣나무 사이에 연령별 총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DMSO로 추출할 경우 자연 발생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 모두 6시간의 추출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령간 상관을 이용한 잣나무 수고 생장의 조기선발 효율 추정 (Estimates of Early Selection Efficiency for Height Growth Using Age-Age Correlation in Pinus koraiensis)

  • 한상억;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56-360
    • /
    • 1995
  • 잣나무림에 있어서 목재 및 종자 생산이 중요 경영 목적이므로 이러한 형질을 개량하기 위한 선발육종이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는 잣나무의 유전모수 및 조기선발 효율 등을 추정하여 1세대 채종원을 전진세대 채종원으로 유도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6년 50가계로 된 풍매 차대검정림을 3곳에 조성하여 6년간(5~10년생) 수고 생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LAR에 대한 수령간 유전 및 표현형 상관의 단순직선회귀는 유의차가 있었으며($r^2=0.7862$, 0.8256), 성숙기를 20년으로 가정하였을 때 조림 후 3년생이 1.96으로 조기선발 효율이 가장 높은 수령으로 추정되어 조기선발이 가능하였다.

  • PDF

광릉 천연활엽수 성숙림에서 주변 인공림으로부터 잣나무 치수의 침입 정착 (Invasion of Korean Pine Seedlings Originated from Neighbour Plantations into the Natural Matu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Gwangneung, Korea)

  • 강호상;임종환;천정화;이임균;김영걸;이재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107-114
    • /
    • 2007
  • 주변 인공림으로부터의 종자유입에 따른 치수발생현상은 향후 천연림의 임분동태의 향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광릉 천연활엽수 성숙림내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침입과 이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지내에는 잣나무 성목이 분포하고 있지 않으나,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밀도는 ha당 총 345본으로 전체 치수의 56%가 2개 이상씩 모여서 분포하고 있었다. 2003년 1월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조사지와 주변 잣나무 성목 및 조림지까지의 거리를 조사한 결과, 잣나무 성목과는 최소 200m, 잣나무 조림지와는 최소 270m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평균 묘고와 근원경은 각각 34cm, 7mm 이었으며, 수령 5년 이하의 치수가 207본(60%)이었다. 잣나무 치수와 토양 수분 및 엽면적지수(LAI)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은 16~20%, 엽면적지수는 3.1~3.5 구간에서 잣나무 치수의 분포가 가장 많았다. 광릉 천연활엽수림내 잣나무의 동태 및 종자 분산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잣나무 치수의 생장과 고사율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방사성 동위원소와 분자유전학적 방법 등을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 손병화;김정훈;남태광;이광희;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13-220
    • /
    • 2011
  •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의 목부재에 대한 수종 식별과 연륜연대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종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목부재 49점 가운데 연송인 잣나무류로 식별된 창방 5점과 장여 1점을 제외한 43점은 경송인 소나무류였다. 그리고 5개 목부재에 대한 연륜연대가 측정되었는데, 수피가 있는 대보 1점과 종보 1점의 마지막 연도가 각각 1718년과 1720년(만재 형성 완료)으로 측정되어 "학교등록"에 수차례 기록되었던 지평향교 대성전의 이건이 1720년대에 실행되었거나 이건 없이 대규모의 중수가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잣 종자(種子)의 아미노산(酸), 지방산(脂肪酸), 비타민 분석(分析) (Analysis of Amino Acid, Fatty Acid, and Vitami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s)

  • 한상섭;황병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45-351
    • /
    • 1990
  • 잣종자의 영양분(營養分) 함량(含量)을 알기위하여 일반분석(一般分析), 아미노산(酸) 분석(分析),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비타민 분석(分析)을 행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분석(一般分析)에서 잣종자에 함유(含有)된 수분(水分)은 4.4%,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8.3%, 조지방(粗脂肪)은 67.3%, 조섬유(粗纖維)는 4.7%, 회분(灰分)은 2.2%, 가용성(可溶性) 무질소물(無窒素物)은 3.1% 였다. 2. 아미노산(酸)은 모두 18종(種), 즉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등이 분석(分析)되였으며 이중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성분(成分)은 glutamic acid 였다. 3. 필수(必須) 아미노산(酸) 10종(種) 즉, arginine, histidine,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 등이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방산(脂肪酸)은 모두 13종(種) 즉,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ic acid, 9 icosenoic acid, 9, 11-icosenoic acid, 8, 11, 14-icosatrienoic acid, 그리고 알 수 없는 2종(種)의 8읍 지방산(脂肪酸)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은 linoleic acid 였다. 5. 비타민 A, $B_1$, $B_2$, E, niacin 등 5종(種)의 비타민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중 가장 많은 것은 비타민 E 였다.

  • PDF

한반도 중부지역 수목생장에 미치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영향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ree Growths in Central Korea)

  • 박원규;구경아;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이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목 생장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잣나무, 소나무, 주목을 대상으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잣나무와 소나무는 설악산에서 각각 4개, 7개 지역에서 채취하였으며, 주목은 소백산의 1개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연륜 생장과 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설악산 잣나무와 소백산 주목은 대체적으로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 소나무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륜생장과 월별 남방진동지수(SOI)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잣나무의 경우는 고도상 생육하한선인 설악산 한계령 하부 지역에서 4월 SOI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지역 잣나무는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의 경우는 백담산장 지역에서 생육전년도 8월과 9월 SOI와 연륜생장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고지대에 자라는 지역의 소나무는 모두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중부지역의 생육하한선에 자라는 잣나무는 생장이 양호해지는 반면에 저지대에 자라는 소나무의 경우 생장이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Comparison of Cenangium Dieback Fungus Isolated from Three Different Species of Pine

  • Jung, Joo-Hae;Lee, Sang-Yong;Lee, Jong-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16-221
    • /
    • 2001
  • Dieback of pine branches or twigs with brown needles occurs most commonly on Pinus species after severe winter in Korea. In this study, Cenangium ferruginosum was isolated from infected stems, branches, and twigs of Pinus koraiensis (C1), P. densiflora (C2), and P. thunbergii (C3).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than compa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idia and ascospores produced by the three isolates.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isolates. Optimum temperatures for mycelial growth of C1, C2, and C3 were 15, 20, and $20^{\circ}$, respectively. C1 produced a few conidia and no ascospores, while C2 and C3 produced abundant ascospores and conidia. While optimum temperatures for mycelial growth ranged from 15 to $20^{\circ}$, mycelial growth was also relatively good at lower temperatures of 5-$10^{\circ}$. Conidiomata and conidia were produced on MSA (malt extract soya peptone agar) after 25-30 days of incubation in the dark at $15^{\circ}$. Apothecia were produced by altering culture condition from 15 to $20^{\circ}$, and incubating for 35-60 more days. Optimum temperature for ascospore and conidium germination was $20^{\circ}$. RAPD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high similarity of 0.78 between C2 and C3, and low similarity of 0.31 between C2 or C3 and C1.

  • PDF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aper Equations for Three Major Coniferous Specie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 Lee, Daesung;Seo, Yeongwan;Lee, Jungho;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15-321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stem taper functions, to figure out the best taper model by species, and to compare with previous studies by species, targeting on the stemmed tree sample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 stand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The seven widely used models were applied in this study, and Muhairwe 1999 model for Korean red pine and Korean white pine and Kozak 2002 model for Japanese larch were evaluated as the best model for each species according to the fit statistics and the predicted stem form comparison. In addition, the predicted diameter was suitably fitted when compar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values were more appropriate following stem taper according to neiloid, paraboloid, and cone parts by species. Consequently, the estimation of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stem taper well. When comparing stem taper of three species, the diameter was largest in Korean white pine. Overall, the taper model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useful for estimating stem form and volume computation of Korean red pine, Korean white pine, and Japanese l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