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4초

UWB 병사통신 단말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UWB Terminal for Tactical Ad Hoc Networks)

  • 최한승;이현석;구명현;신정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50-58
    • /
    • 2013
  • 이 논문은 UWB 방식을 사용하는 병사통신용 단말기 구현 결과를 보여준다. 병사통신 망의 주요 특성들인 i)음성데이터가 주된 전송데이터이고, ii)보행자 수준의 이동 속도를 가지고, iii)높은 망의 안정성이 필요함을 고려하여 물리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 전 프로토콜 계층들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토콜 계층들은 RF ASIC, FPGA, DSP, GPP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었다. 시험을 통해 구현된 단말기가 1대1 통신, 멀티홉 통신 환경에서 음성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함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LED 교통신호등의 기술현황 분석연구 (Technical Status of LED Traffic Signals made in Korea)

  • 정학근;정봉만;한수빈;박석인;김규덕;유승원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4
    • /
    • 2004
  • Concerning Korean energy consumption, 20% of the total electrical energy (96% is now exported) is consumed in lighting area. Accordingly,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vernmental policies to efficiently utilize electricity due t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efficiency lighting equipment. In Korea, widely-built traffic signals employ an incandescent and are of 100W/300 mm, and 280,080set/801,932lamp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by 1999. Of them, 58%(161,181set), 25%(69,655set) and 18%(49,244set) correspond to traffic signals, pedestrian signals and other supplementary signals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electrical energy consumed 28MW instantaneously, 245GWH annually. On the other hand, the LED traffic signal is expected to be a future traffic signal since if traffic signals are replaced by LEDs, energy saving effect of 85% and drop of 75% in maintenance fee will be obtained.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many LED traffic signals made in Korea are summarized in order to reform Korean standard of LED traffic signals.

  • PDF

Cities in the Sky: Elevating Singapore's Urban Spaces

  • Samant, Swinal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37-154
    • /
    • 2019
  • Singapore has seen a phenomenal and an unprecedented transformation from a swampland to a high density urban environment since its independence in 1965, made possible largely and single-handedly by the sustained efforts of its government. Indeed, urban space is a key vehicle for achieving urban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e dense urban context in Singapore has seen an emergence and increase in elevated spaces in the form of sky-gardens, sky-bridges and sky-courts in a range of building types, seemingly seeking to tie together the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the city.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elevated urban spaces and pedestrian networks in Singapore and their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horizontal to vertical transitions, and consequently to the urban vitality and accessibility. It does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key developments: Marina Bay Sands and the Jurong Gateway. In particular, it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certain constraints placed on urban spaces by their inherent location at height, in addition to the familiar privatization of public spaces, over-management of spaces, and their somewhat utilitarian characteristics. The paper argues that some of these issues may pose detrimental effects on the publicness of these spaces that in turn may lead to such spaces being underused and therefore adding redundancies and further stress to Singapore's urban land. Finally, the paper outlines key strategies that may help overcome the aforementioned issues, including the disjuncture associated with elevated spaces such that they may become a seamless extension of the urban spaces on ground.

Gender Differences in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Mode Choice in India

  • SAIGAL, Taru;VAISH, Arun Kr.;RAO, N.V.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531-542
    • /
    • 2021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influence of various socio-demographic factors on choice of mode of transport. For this purpose, a binary logit model of choice probabilities is implemented on survey data of a developing country city. Results indicate women's choice of travel mode to be more environment-friendly than that of men. Well-educated, working and middle-aged individuals appear to be the most likely to choosing more-polluting modes of transport for frequent travelling purposes. Individuals in the sample who are the least socioeconomically well off are found the most likely to be promising for the enviro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uture transportation policies toward development of existing infrastructure of greener modes of transportation in the city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nd pedestrian lanes, so as to manage the rising issues of degrading environmental quality. The study highlights how the consideration and inclusion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s crucial for policy recommendation regarding curtailing the environmental damages contributed by transportation sector. Because mobility crucially affects all other indicators of empowerment, and women are the ones using green modes extensively, the city's transportation system should be so developed which gives their safety and security due importance.

스마트폰 보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의 역세권 이용실태 분석 - "WalkOn" APP의 서울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 (Analysis of Elderly's Walking Patterns near Metro-stations in Seoul by Using Smartphone Pedestrian Movement Data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WalkOn" App Big Data -)

  • 이선재;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29-1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living area of the elderly using the vast amount of travel route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phones. In order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elderly into the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was typed based on the number and ratio of the elderly visiting and the elderly living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of the subway station a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alking route data for the three types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s where the elderly visit and live. First, we derive the range of visiting area and living area of the elderly near the subway station. Second, we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distance which causes the linked walking of the elderly. Third, destination distribution and facility utilization are influenced by the subject of use, movement pattern, and facility awareness.

Unsteady aerodynamic force on a transverse inclined slender prism using forced vibration

  • Zengshun Chen;Jie Bai;Yemeng Xu;Sijia Li;Jianmin Hua;Cruz Y. Li;Xuanyi Xue
    • Wind and Structures
    • /
    • 제37권5호
    • /
    • pp.331-346
    • /
    • 2023
  • This work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ransverse inclination on an aeroelastic prism through forced-vibration wind tunnel experiments.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re tri-parametrically evaluated under different wind speeds, inclination angles, and oscillation amplitudes. Results show that transverse inclination fundamentally changes the wake phenomenology by impinging the fix-end horseshoe vortex and breaking the separation symmetry. The aftermath is a bi-polar, one-and-for-all change in the aerodynamics near the prism base. The suppression of the horseshoe vortex unleashes the Kármán vortex,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unsteady crosswind force. After the initial morphology switch, the aerodynamics become independent of inclination angle and oscillation amplitude and depend solely on wind speed. The structure's upper portion does not feel the effect, so this phenomenon is called Base Intensification. The phenomenon only projects notable impacts on the low-speed and VIV regime and is indifferent in the high-speed. In practice, Base Intensification will disrupt the pedestrian-level wind environment from the unleashed Bérnard-Kármán vortex shedding. Moreover, it increases the aerodynamic load at a structure base by as much as 4.3 times. Since fix-end stiffness prevents elastic dissipation, the load translates to massive stress, making detection trickier and failures, if they are to occur, extreme, and without any warnings.

지하공간에 있어서 사인류의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Sign Distribution in Underground Space)

  • 최지숙;유현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180-1187
    • /
    • 2006
  • 본 연구는 지하공간에서의 보행자를 위한 사인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로, 대전시 지하상가의 사인을 사례로 이하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1)지하상가에서의 사인의 종류를 구분(區分)하고, 구간별(區間)종류의 기수(基數)비교.2)사언을 설치장소별(別),종류별,기능별,정보내용별로 구분하고, 그 기수의 비교.3)높이에 의한 사인의 종류를 구분하고,설치장소별에의 비교.4) 설치장소별 사인의 패턴(pattern)화. 그 결과, 현재 대전시 지하상가에서의 보행자사인은, 규칙적으로 일정하게 설치되어 있는 일정형(一定型)과,설치 장소에 따라 밀도 (密度)의 차(差)가 큰 밀집형(密集型)의 분포특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사인의 종류와 기수의 차가 크고 사인이 출입구에 집중되어 있는 것, 사인에 있어서 설치장소에 따라 기능의 차가 큰 것에서, 설치장소에 따른 정보의 불규칙한 집중과 개성의 유무(有無)둥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북측( 北測)과 남측(南測)에서의 사인의 설치 수(數)에 차가 크고, 대부분의 사인이 남측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서 정보의 종류와 양(量)에 있어서 편중(偏重)된 설치 상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 이에 해결책으로 사인을 설치함에 있어서 정보의 종류에 일관성을 가짐과 동시에 장소에서의 인식이 쉽도록 적절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제시하였다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 - A Case Study on Tama Newtown, Japan -)

  • 염성진;박청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2-20
    • /
    • 2011
  •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보행자전용구역의 환경특성 - 수경 및 포장환경을 통해 본 역사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District in Freiburg, Germany - Focusing on Identity as a Historical City as related to the Waterscape and Paving Environments -)

  • 홍윤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4-74
    • /
    • 2010
  • 독일의 환경수도로서 이름난 프라이부르크시는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도시들과 유대관계가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친숙한 도시이다. 본 연구는 프라이부르크시 구도심 보행자전용구역 내 수경요소와 포장환경의 가치와 그 전승과정 그리고 도시정체성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이 도시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역사 문화적 측면과 생태환경이 조화된 건강한 도시환경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 결과, 프라이부르크시의 역사 문화적 환경 중 게베어베카날(Gewerbeknale)로 불리우는 간선수로는 도시건 설 당시의 존재성과 함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도시수로 베힐레(Bachle)와 인공적 수경시설 부룬넨(Brunnen)를 가능케 한 기간시설로서의 가치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모자이크 포장의 전통은 원형 경관의 시기보다 한참 후인 19세기 중반에 외래의 문물을 수용한 환경이나, 프라이부르크시의 적응과정을 통해 환경과 시민의 소통을 매개하는 새로운 가치를 획득한 환경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들 역사적 환경요소의 전승과정에 있어 산업화와 전쟁의 폐허 등 외부적 요인을 슬기롭게 극복하여 왔음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지속성은 프라이부르크의 역사적 정체성 중 동일성과 차이성의 국면을 획득하는 데에 큰 힘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오늘날 도시환경 속에 살아 숨 쉬는 역사 문화적 환경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일깨우면서, 구체적인 보존전략의 수립과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있다.

경제성을 고려한 비도심 지역 교통안전 시설물의 개발과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Non-Urban region Traffic Safety Facilities Considering Economics)

  • 김기남;이용준;이동열;조중연;이민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77-5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 비도심 지역의 교통사고 저감을 위해 충청권을 대상으로 관련 문헌 검토와 TAAS(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자료를 활용하여 비도심 지역의 인구특성 및 사고유형을 통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교통안전기술을 개발하였다. 비도심 지역의 교통인구의 보행자 특성에 맞게 개발된 노견용 인식등은 지역특성사 인도가 아닌 길가장자리로 통행이 많은 지역주민들의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로써 야간 또는 새벽에 통행시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주며 교통안전시설물이며,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은 야간 횡단보도 횡단시 운전자에게 횡단중이란 앞서 인지시켜 주어 횡단보도 통해시 보행자의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교통안전시설물이다 또한,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 및 가로등과 같은 빛 공해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며, 차량, 농기계와 같은 충돌파손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기존 시설물인 가로등과 신호등의 사례와 타기술을 비교하여 절감비용을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용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의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통 안전시설물의 적용성과 효과성을 위해 비도심 지역을 기반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현재 평가 중에 있으며, 향후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개발된 경제성 분석 및 환경 영향에 맞춤형 적정기술로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통안전시설물을 통해 우리나라 교통안전수준의 향상과 비도심 지역의 교통안전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