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들의 분수 나눗셈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for Fraction Division)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03-222
    • /
    • 2020
  • 교육과정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기 때문에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 중에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교사의 전문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지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분수 나눗셈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대학 교육과정 중 수학과 교육 필수 강좌를 모두 마친 상태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분수 나눗셈의 4가지 유형에 대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균등 분배 문제-포함제-등분제-단위 비율 결정 상황의 순으로 빈도수를 나타내었으며, 전형적인 알고리즘뿐만이 아니라, 그림을 이용하거나 식을 이용한 경우에서도 의미 있는 반응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기간에 분수 나눗셈의 여러 가지 해결 방법을 서로 공유하면서 이에 대한 지식을 갖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실태 분석 (Analysi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umber and operations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지현;성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15-52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3~6학년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들에게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학년 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고, 개발된 문항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수집된 문항 중 약 25%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성취기준을 잘못 해석한 부분이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교과서를 기준으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는 내용을 혼동하거나, 두 개의 성취기준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를 완전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 나타났다.

불간섭주의와 교사협력 - 과학수업을 위한 두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사례 연구 - (Noninterference and Teacher Collaboration - The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on for Science Classes -)

  • 신채연;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00-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science PCK between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the school. We chose the case that two teachers collaborated spontaneously in the 5th-grade science classes. Even though they had similar teaching experiences, one of them had the science PCK while the other did not.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teachers began to collaborate to avoid comparisons of science classes between them. They shared the same teaching plan but practiced science teaching individually. During they taught science, they usually collaborated on the instructional sequences,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ntent of assessments. They had an in-depth collaboration when the teacher who lacked the science PCK asked help to teach problem-centered learning by science inquiry. During the collaboration, their science PCK components, especially the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shared and it affected the teacher's science practices who lacked the science PCK. However, they did not usually share the knowledge of teaching for their everyday science classes because two teachers had the perception of noninterference about their science classes. This case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but teacher collaboration shows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rofessionalism by having peers in the school who can help them in science classes.

예비초등교사의 사다리꼴 넓이 표상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 Analysi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ation of Trapezoid Area)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177-189
    • /
    • 2006
  •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ation of trapezoid area and teacher educator's reflecting in the context of a mathematics course. In this study, I use my own teaching and classroom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s the site for investigation. 1 examine the ways in which my ow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teacher educator influence and influenced by my work with students. Data for the study is provided by audiotape of class proceeding. Episode describes the ways in which the mathematics was presented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presentation, and centers around trapezoid area. The episode deals with my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different types of representations-symbolic, visual, and language. In conclusion, I present two major finding of this study. First, Each representation influences mutuall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asoned visual representation from symbolic and language. And converse is true. Second, Teacher educator should be prepared proper mathematical language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with his students.

  • PDF

한국과 홍콩 예비교사의 학교수학에 대한 이해 분석 연구 (Korean and Hong Kong Student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409-42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홍콩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학교수학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하고, 교사교육 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할 지식의 성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 교수(敎授)와 관련되면서 '무엇을', '왜', '어떻게'의 측면을 포괄하는 다섯 개의 문항을 선정하고, 한국과 홍콩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 한국과 홍콩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교 수학의 원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며, 초등학교 수학을 중등학교 수학 및 대학 수준의 수학과 연결시켜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볼 때 초등학교 예비교사 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은 중등학교 및 대학 수준의 수학을 초등학교 수학과 연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79-202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설계 진행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조선 산학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조선산학 프로그램은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 발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비롯하여 조선산학의 수학적 내용과 학교수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 초등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조선산학의 익숙하지 않은 맥락이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수학 주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조선산학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산학과 학교수학의 연계가능성을 생각해보게 하고 연계 내용의 교수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학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에 관한 예비교사 지식 조사 연구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tory Problem for Division of Fractions)

  • 노지화;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지식 중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제기(problem posing)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눗셈에 관한 스토리 문제 제기 능력은 나눗셈의 개념을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초등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실생활 소재를 통해 나눗셈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나누기 분수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틀 기준에 따라 '수학적 정교성'과 '주요 오류 유형' 그리고 '나눗셈 연산 모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초등 예비교사의 나눗셈 교사 지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試論)적 고찰 - 교사의 전문지식과 기능 모델(합의 모델) 및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 - (An Introductory Review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PCK: Synthesized Perspective of the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Model (Consensus Model) and the Revised Consensus Model)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201-217
    • /
    • 2024
  • 이 연구는 2012년 제1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교사의 전문지식 및 기능 모델(합의 모델)과 2016년 제2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에 근거하여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KCI 등재 학술지에 출판된 초등교사의 과학 PCK 연구 논문 11편을 심층 분석 및 재해석하여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문헌에서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주로 Magnusson et al.(1999)의 PCK 요소에 근거하여 교사의 전문지식 기초를 분석하여 도출되었으며, 주제 수준 또는 교과 수준에서 '실행된 PCK' 또는 '개인적 PCK'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정서적 요인을 반영한 개인적 PCK 연구는 수정된 합의 모델의 관점에서 볼 때 '집합적 PCK'의 특성을 일부 포함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교사 개인의 경험에서 분석되는 실행된 PCK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관점에서 규정된 집합적 PCK 및 개인적 PCK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념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 송근영;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65-287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경향을 교사지식의 개념,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내용영역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4년(1999-2012) 동안 국내 수학교육 관련 9개 학술지에 게재된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5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지식의 개념 중 PCK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반면 PCK의 하위요소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주제는 교사지식의 실태 분석에 편중되어 있었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다소 많았으며 혼합연구는 저조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교사가 중등 교사보다 조금 많았고,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는 비슷하였다. 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초등은 수와 연산 영역이, 중등은 함수 영역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MKT 적용과제에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고찰 - 연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MKT Applying Task - Focused on Kite)

  • 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55-274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과제를 제시한 후 그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 후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77명을 대상으로 과제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을 위해서 기존 교육과정에서 지도되지 않는 '연꼴'개념을 도입하여 지도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사각형 개념간의 관련성 및 지도계열과 관련된 자신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연꼴개념의 지도차시를 선택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한 교재 및 수업지도안을 작성함으로써 자신들이 가진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하였다. 반응을 분석한 결과와 더불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