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ive dentistry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etal artefact reduction on incomplete subtle vertical root fractures

  • Andrea Huey Tsu Wang;Francine Kuhl Panzarella;Carlos Eduardo Fontana;Jose Luiz Cintra Junqueira;Carlos Eduardo da Silveira Buen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1호
    • /
    • pp.11-1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detection of incomplete vertical root fractures (VRFs) in filled and unfilled teeth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with and without a metal artefact reduction (MAR) algorithm. Materials and Methods: Forty single-rooted maxillary premolars were selected and, after endodontic instrumentation, were categorized as unfilled teeth without fractures, filled teeth without fractures, unfilled teeth with fractures, or filled teeth with fractures. Each VRF was artificially created and confirmed by operative microscopy. The teeth were randomly arranged, and images were acquired with and without the MAR algorithm. The images were evaluated with OnDemand software (Cybermed Inc., Seoul, Korea). After training, 2 blinded observers each assessed the images fo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VRFs 2 times separated by a 1-week interval. P-values<0.05 were considered to indicate significance. Results: Of the 4 protocols, unfilled teeth analysed with the MAR algorithm had the highest accuracy of incomplete VRF diagnosis (0.65), while unfilled teeth reviewed without MAR were associated with the least accurate diagnosis (0.55). With MAR, an unfilled tooth with an incomplete VRF was 4 times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as having an incomplete VRF than an unfilled tooth without this condition, while without MAR, an unfilled tooth with an incomplete VRF was 2.28 times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as having an incomplete VRF than an unfilled tooth without this condition. Conclusion: The use of the MAR algorithm increased the diagnostic accuracy in the detection of incomplete VRF on images of unfilled teeth.

치아 맹출 유무에 대한 자가부식 접착제에 의한 교정용 부착장치의 접착강도 (Effects of conventional and self-etching adhesive systems on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ttachments bonded to erupted and unerupted teeth)

  • Nur, Metin;Uysal, Tancan;Yesilyurt, Cemal;Bayram, Mehme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7-275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에 교정용 버튼을 부착 후 자가부식 접착제(self-etching adhesive)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전단결합강도(shear bond strength)와 탈락모드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각각 84개의 맹출 또는 미맹출된 제3대구치를 사용하였다. 각각 치아의 협측면을 다음의 부착시스템 그룹으로 할당하였다. A, 기존방식: 1, Transbond XT (3M Unitek); 2, Prime & Bond NT (Dentsply/Caulk); 3, Single Bond (3M ESPE); B, 자가부식 접착제; 4, Clearfil SE Bond (Kuraray); 5, Transbond Plus (3M Unitek); 6, Clearfil S3 (Kuraray); 7, G Bond (GC). 부착물의 전단강도와 접착제 잔류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ANOVA와 independent t-test 및 chi-square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Clearfil SE와 G Bond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Single Bond를 제외한 모든 접착시스템에서 맹출보다는 미맹출 치아면에서 높은 접착강도가 관찰되었다. 기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맹출 또는 미맹출 치아에 대한 접착강도에는 차이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임상의사는 사용 전에 self-etching system의 종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Correlation between glucose transporter type-1 expression and $^{18}F$-FDG uptake on PET in oral cancer

  • Kim, Chul-Hwan;Kim, M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4호
    • /
    • pp.212-220
    • /
    • 2012
  • Objectives: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18}F$-FDG PET) is a non-invasive diagnostic tool for many human cancers wherein glucose uptake transporter-1 (GLUT-1) acts as a main transporter in the uptake of $^{18}F$-FDG in cancer cells. Increased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1 has been reported in many human canc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18}F$-FDG accumulation and expression of GLUT-1 in or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2 patients diagnosed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and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s confirmed by histology. 42 patients underwent pre-operative $^{18}F$-FDG PET, with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_{max}$) measured in each cas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for each histological specimen, and results were evaluated post-operative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 of positive area, intensity, and staining score. Results: For OSCC, $SUV_{max}$ significantly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SUV_{max}$ significantly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For OSCC, GLUT-1 was expressed in all 36 cases. GLUT-1 staining score (GSS) increased as T stage of tumor classification increased, with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GLUT-1 expression was observed in all 6 cases; average G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than that in patients without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verage GSS was higher in OSCC ($11.11{\pm}1.75$) than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5.33{\pm}3.50$).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SS and $SUV_{max}$ was observed in OSCC or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Conclusion: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SS and $SUV_{max}$ in OSCC or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Studies on the various uses of GLUT during $^{18}F$-FDG uptake and SUV and GLUT as tumor prognosis factor need to be conducted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with large samples.

3차원 전산화 단층 사진을 이용한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교근 분석 (Analysis of masseter muscle in facial asymmetr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서승아;백형선;황충주;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27
    • /
    • 2009
  •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 우각부위의 연조직 형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근의 성상에 대한 평가는 경조직의 분석과 더불어 중요하다. 교근은 수술로 인한 하악의 후방이동 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구조 중 하나이며, 수술 후 교근의 상태는 환자의 저작력과 하악 우각부 외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을 가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위, 비편위측 교근의 형태학적 차이와 하악골 후퇴술 이후 양측 교근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면비대칭의 개선 전, 후 교근을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비대칭의 수술이 교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면비대칭으로 진단된 환자 12명의 양악수술 전후의 3차원 CT 영상과 정상교합자 10명의 3차원 CT 영상에서 하악골과 교근을 계측,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칭군에서 교근의 편위, 비편위측 모두 정상교합군에 비해 부피가 작고, 최대 단면적 부위가 좁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편위, 비편위측의 교근의 주행각도 차이와 최대단면적 부위에서의 두께 차이가 정상 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 전, 후에 교근의 주행각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편위, 비편위측 각도의 차이도 감소하였으며, 최대 단면적 부위에서의 교근의 두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비대칭 수술 후 좌우 교근은 너비를 제외하고는 정상 교합자와 유의차 없게 변화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안면비대칭 환자는 교근의 성상이 분명히 정상 교합자와는 다르지만, 적절한 수술 후에 경조직뿐만 아니라 교근도 정상범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특별시 개원 치과의사의 의료사고 및 분쟁의 유형과 대책에 관한 연구(2004년) (Study on Types and Counterplans of Medical Accident Experienced by Dentists in Seoul(2004))

  • 윤정아;강진규;안형준;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163-199
    • /
    • 2005
  • 치의학계에서는 의료사고를 일으킬만한 중환자나 응급환자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의료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적었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비교적 안전지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요즈음은 남의 일로 보아 넘기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의료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최근에 이르러서는 비교적 다양한 의료사고와 분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적당한 대처를 위하여 관련된 사항을 분석하고 있으나,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4년 현재 서울시치과의사회 소속 개원치과의사 3684명중, 설문지가 회수된 18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배상책임보험이 시행되고 있는 최근의 개원 치과에서 일어나는 의료사고 및 분쟁의 실태와, 일반적인 치과의사들의 의식을 분석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대책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98.47%가 향후 의료사고 및 분쟁 발생에 대한 의구심을 가졌다. 2. 응답자의 27.42%가 의료분쟁을 경험하였으며, 전공의 수련여부와 의료분쟁 경험률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의료사고 중 치주.보존 관련 사고가 20.50%로 가장 높았으며, 임프란트 관련사고도 6.17%로 나타났다. 4. 응답자의 43.02%만이 치료 전 충분히 설명을 하였으며, 환자의 정확한 동의없이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25.90%로 나타났다. 5. 설명 및 동의를 시행하지 않아 의료분쟁이 발생한 것은 16.55%이며, 의무기록 관련자료가 부족하여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당한 경우는 10.26%로 나타났다. 6.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49.73%였으며, 이중 정확한 지식을 갖춘 경우는 23.60%로 나타났다. 7. 의료분쟁 발생시 88.09%가 치과의사에게 조언을 구하였으며, 또한 단체로는 구치과의사회에 주로 자문을 구했다. 8. 의료분쟁과 관련하여 소비자보호원으로부터 자료 제출 요구를 받은 경우는 5.26%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75.61%는 이에 성실히 대응하였다. 9. 의료분쟁을 해결한 후 83.63%는 비교적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회복하였다. 10. 응답자의 99.46%가 의료분쟁처리기구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78.58%는 매우 시급하다고 생각하였다. 11. 66.70%의 치과의사가 의료분쟁 경험이 없이도 의료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73.36%는 이 상품에 대하여 잘 몰랐으며, 가입자의 93.36%는 분쟁처리과정을 잘 알지 못했다. 12. 79.00%의 응답자가 의료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후에는 의료분쟁이 발생하여도 당황스러우나 가입 이전보다는 비교적 안심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13. 의료배상책임보험에 의한 분쟁의 해결시 치과의사는 71.92%가 보통이상으로 만족하였으나, 환자는 35.61%만이 만족하였다. 14. 의료배상책임보험의 보완점으로 53.22%가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위해서 보험사, 의사, 환자 모두가 합의 유도에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또 29.08%의 응답자가 합의과정에서 환자측의 업무방해를 보험사에서 방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증가하는 의료분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에 대한 교육 및 해결 장치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및 매복양상이 하악 우각부 골절과 과두 골절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presence and aspect of mandibular third molars to the mandibular angle and condyle fractures)

  • 이영주;송윤정;홍순민;채상식;강현우;최동주;박준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9호
    • /
    • pp.566-573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the presence and aspect of mandibular third molars to the mandible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s in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for patients attending the divis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for treatment of mandibular fracture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10. The primary variable was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secondary variable was the aspects of third molar impaction.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classified by the impaction depth and the available space as Pell & Gregory system. Outcome variables we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 Also the source of trauma, age, sex were studied. Hospital charts, radiographs were used for study. Statistic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test, linear-by-linear association. P value under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ults : The number of involved patients was 8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about 9:1 for angle fracture and 7:3 for condyle fracture. The most common source of trauma was assault for angle fracture and fall down for condyle fractu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increased frequency of angle fracture and decreased condyle fracture with larger impaction depth. But available space of mandibular third molar did not show high association with angle or condyle fractures. Conclusion: Preventive extrac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high risk of angle fracture. Male patients at their third decade or martial artists, police officer could be the case. But it is not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low risk of angle fracture and high risk of condyle fracture relatively. Elder female patients without any symptom on their third molar could be the case.

치과장애인 환자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귀가 후 전화추후 관리 분석 (Analysis of Telephone Follow-up Data of Out-patient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Disability Patients)

  • 김미선;서광석;이정만;김혜정;한진희;한희정;이은희;신순영;신터전;김현정;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7
    • /
    • 2012
  • Background: Some disabled patients show insufficient cooper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and general anesthesia in an outpatient setting can be successfully administered. To minimize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is an essential issue, and strict discharge protocols are required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s. Post-anesthetic follow-ups using telephone calls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outpatient care system. The authors evaluated the post-operative condition of patients after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Total 143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received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Clinic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July, 2011 to April, 2012. Telephone calls were given to the patients or their caregiver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and anesthesia-related complications. Results: Among 131 patients with responses of telephone calls, 87 patients (66.4%) reported no discomfort, while 44 patients (33.6%) presented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A total of 20 patients reported mild fever, 10 patients had vomiting, and 7 patients had sore throat. Other complications included nausea, fatigue, nasal bleeding, skin sore, and body ras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history of epilepsy, 63.6% showed post-anesthetic discomfort or complication (P = 0.027, ${\chi}^2$ test). Conclusions: One third of dental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anesthesia due to insufficientcooperation complained discomfort after discharged from outpatient anesthetic care.

상악동 골이식술을 위한 이식재의 부피 측정 - CT를 이용한 환자 대조군 연구 (MEASUREMENT OF MAXILLARY SINUS VOLUME FOR THE PLACEMENT OF GRAFT MATERIAL - A CASE CONTROL STUDY USING CT IMAGE)

  • 김형욱;이슬기;정재안;신진업;엄윤섭;김기영;김종식;송윤정;홍순민;박준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11-517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bone graft material is needed between edentulous patients and dentulous patients and to calculate the amount of augmentation for a sinus lift procedure. Methods: 19 patients(20 sinuses) were included to measure maxillary sinus volume. Facial CT scanning was performed using MX 8000 IDT CT devices(Philips, USA). And it was used for IDLvm(The IDL Virtual Machine) 6.0, CT Volume Analyzer Ver 2.3 program to measure maxillary sinus volumes Results: At edentulous patients, volumes(mean${\pm}SD$) of the inferior portion of the sinuses were $0.56{\pm}0.13cm^3$(5mm height), $2.35{\pm}0.57cm^3$(10mm height), $4.85{\pm}1.10cm^3$(15mm height). At dentulous patients, volumes(mean${\pm}SD$) of the inferior portion of the sinuses were $0.41{\pm}0.18cm^3$(5mm height), $1.76{\pm}0.42cm^3$(10mm height), $3.80{\pm}0.84cm^3$ (15mm heigh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ugmentation height(5mm, 10mm, 15mm) and the calculated sinus volume.(p=0.027, p=0.018, p=0.044) Conclusion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ugmentation height(5mm, 10mm, 15mm) and the calculated sinus volume. Detailed preoperative knowledge of sinus lift augmentation volume is helpful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bone graft material.

Optimizing Fat Grafting Using a Hydraulic System Technique for Fat Processing: A Time and Cost Analysis

  • Verdura, Vincenzo;Guastafierro, Antonio;Di Pace, Bruno;Faenza, Mario;Nicoletti, Giovanni Francesco;Rubino, Corrad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266-274
    • /
    • 2022
  • Background Many authors have researched ways to optimize fat grafting by looking for a technique that offers safe and long-term fat survival rate. To date, there is no standardized protocol. We designed a "hydraulic system technique" optimi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quantity of injected fat, operative time, and material cost to establish fat volume cutoffs for a single procedure. Methods Thirty-six patients underwent fat grafting surgery and were organ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aterial used: standard, "1-track," and "2-tracks" systems. The amount of harvested and grafted fat as well as material used for each procedure was collected. Operating times were record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treated fat. Results In 15 cases the standard system was used (mean treated fat 72 [30-100] mL, mean cost 4.23 ± 0.27 euros), in 11 cases the "1-track" system (mean treated fat 183.3 [120-280] mL, mean cost 7.63 ± 0.6 euros), and in 10 cases the "2-tracks" one (mean treated fat 311[220-550] mL, mean cost 12.47 ± 1 euros). The mean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system and the "1-track" syste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rting from three fat syringes (90 mL) in 17.66 versus 6.87 minu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1-track" system and "2-tracks" system become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240 mL of fat in 15 minutes ("1-track") versus 9.3 minutes for the "2-tracks" system. Conclusion Data analysis would indicate the use of the standard system, "1-track," and "2-tracks" to treat an amount of fat < 90 mL of fat, 90 ÷ 240 mL of fat, and ≥ 240 mL of fat,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