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elderly

검색결과 1,922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노인의 운동기능저하증후군과 스트레스 및 일상생활패턴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ocomotive Syndrome and Stress and Lifestyle Patterns in the Elderly in Korea)

  • 김명철;김해인;백인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1-25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ocomotive syndrome on stress index and lifestyle patterns among elderly Koreans aged 65 years and older, and analyzed its correlation with stress index and lifestyl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locomotive syndrome in the elderly. Methods : Using the "25-Question Geriatric Locomotive Function Scale (GLFS-25)", the study evaluated locomotive syndrome in 123 elderly Koreans aged 65 years and older. Of them, 85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locomotive syndrome group and 38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normal group. The questionnaire measured and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stress index and lifestyle pattern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ver. Results : Results showed the locomotive syndrome group displayed a higher stress index than the normal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oup also scored lower in the lifestyle pattern survey than the normal group di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intensity work performance ratio and average daily performance time between them. The GLFS-25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tress index and sitting and lying down time,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edium-intensity working time, walking, and cycling time. Conclusion : In conclusion, Locomotive syndrome in elderly Koreans is closely related to stress and lifestyle patterns, especially high-intensity work. We recommend a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comotive syndrome and further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various lifestyle factors on the illness.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도움과 요양보호사 도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Restriction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and care worker assistance)

  • 강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45-556
    • /
    • 2022
  • 본 연구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 및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5차 자료(2020년)를 기반으로, 65세 이상 노인 4,21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은 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과 노인의 우울 간에 가족의 도움은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조절변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과 노인의 우울 간에 요양보호사의 도움은 노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조절변수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who Experienced COVID-19 Social Situation)

  • 이나윤;강진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71-17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J 시에 거주 중인 65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개의 구성요소와 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정서적 변화로 노인들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확산에 대한 불안함, 확진자 및 사망자 증가 소식에 대한 두려움, 외출 자제 등으로 인한 우울과 답답함,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경험하였다. '기술적 방역'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심리적 방역'이 없으면 노인들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두려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적 방역'뿐 아니라 노인들에게 '심리적 방역'인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노인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돌봄서비스에 대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경험: 초점집단면담 연구 (Experiences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alone or with Their Families Regarding Community Care Services: Thematic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 박언아; 정애리;김다솜;현혜순;신상수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nd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articipating in care service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approach was adopted. Twenty older adults were interview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1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Three main themes and seven sub-themes emerged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One main theme was "ambivalence of elderly care services," the second was "desperate need for care services," and the third was "positive changes and expectations experienced wi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wo main themes and four sub-themes were identified. One main theme was "care services met within the family system," the second was "needs for care services outside the family system." Conclusion: We aim to provide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quality of elderly community care services in the mid- to long-term and establish a system of close linkages between necessary services by understanding the needs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with their families.

브레인 트레이닝을 활용한 방문형 인지활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 광명시를 중심으로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 Focusing on Gwangmyeong City)

  • 김태훈;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residing in community living in Gwangmyeong city. Methods : Over a 14-month period (October 2022 to December 2023), four brain training instructors visited the homes of older adults and conducted the intervention using a brain training kit. The participants included 32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were living in Gwangmyeong city. Th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 nurse and a social worker at the Gwangmyeong dementia relief center. These assessm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SGDS-K), a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n (CERAD-K).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20-30 points, B: 10-19 points, C: 1-9 points) based on the CIST sco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the statistical level was at a=.05. Results :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SMCQ score of group A improved significantly (p<.05), the CIST score of group B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05). However, the SGDS-K score of group C improved, but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80). Conclusion : The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disorders, depending on the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s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in various aspects with more elderly people.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 비교 (Comparison of Retained Activity Level according to Activity Areas of the Elderly)

  • 백영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활동 수준을 확인해보고 일상 활동범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경제 활동을 하는 노인 30명과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 30명, 시설에 거주하면서 활동을 할 수 있는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 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여 활동 보유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상관이 있는 일반적 특성과 일상 생활 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수단적 활동에는 각 활동의 범주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반면 여가활동과 사회활동에서는 세 그룹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여가 활동에서는 세 그룹 모두 휴식하기와 텔레비전 보기를 가장 많이 하고 있어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 활동이 매우 제한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에는 학력, 결혼상태, 종교와 인지 수준이, 일상 활동 특성 중에는 받고 있는 치료와 규칙적인 운동 및 정기 모임 횟수가 노인의 활동 영역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라 활동 보유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적 특성 및 일상 활동 특성이 노인의 활동 영역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 작업치료 시 노인의 일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과 활동보유 수준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중재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적 활동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서울시 여성노인의 정보기술 이용 및 비이용 태도 연구 (Attitudes to Use and Non-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Elderly Women in Seoul)

  • 김명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52-363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인 노인 중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보화에 대한 일반적 인식, 인터넷 이용 이유와 태도 및 인터넷 비이용 이유와 태도 등 정보기술 이용 행태와 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에 다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여성노인 343명의 자료를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여성노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높은 편이었으며, 연령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여성노인의 정보화 인지도와 기대 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셋째, 정보기술 이용자의 이용 동기는 실용적 측면 외에 심리적, 정서적 이유도 컸으며, 정보기술이용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마지막으로, 정보기술 비이용자의 경우, 정보화나 정보기술에 대해 무관심층이 많았고, 정보기술 이용에 대해 소극적이었다. 정보기술 비이용 불만족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나, 정보기술 이용에 대한 기대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여성노인과 노년기 정보격차와 정보기술의 이용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노인 정보화 및 노인복지 현장에서 노인, 특히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과 정책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노인에 대한 가족의지지 : 가족원 유형별 연구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 A Study by Types of Family Members)

  • 홍순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322-349
    • /
    • 1999
  • 이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노인은 서로 다른 가족원 유형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가? 노인이 가족원으로부터 지지를 받느냐 혹은 받지 못하느냐와 관련된 노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망의 특성은 무엇인가? 어떤 가족원이 제공하는 어떤 종류의 지지가 노인의 정신건강(우울)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 가족원 유형으로는 배우자,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 손녀, 부모, 형제자매가 포함되었으며, 지지의 종류로는 정서적, 활동적, 도구적, 금전적 지지의 4가지가 조사되었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8명이 유의 표집되었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여러 가족원들로부터 다양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배우자는 정서적 지지를, 아들은 금전적 지지를, 며느리는 도구적, 딸은 정서적, 금전적 지지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다. 부모, 형제가 있는 경우에는 정서적 지지를 받는 비율이 높았으며, 그 밖에도 사위, 손주의 지지제공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노인의 특성과 관계망의 특성 중 여러 요인들이 각 가족원 유형이 제공하는 다양한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가, 나이 적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능력이 좋고, 그 가족원과의 접촉빈도가 높은 노인들이 지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며느리의 지지는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들이 더 많이 제공받고 있었다. 배우자의 지지여부는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이 많았으며, 아들과 며느리의 경우는 지지의 제공 여부보다는 그들의 존재여부에 의해 우울정도가 달라지고 있었다. 노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다양한 지지적 활동을 강화해 줄 수 있는 실천적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 PDF

고령자 운전능력 인지 검사 도구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n the Drive Ability Cognitive Assessment Tool of Elderly Drivers)

  • 정문주;이영미;서푸르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98-308
    • /
    • 2020
  • 본 연구는 2018년 개선되어 현재 도로교통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령 운전자 운전능력 검사 도구를 분석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 중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령자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에 자발적으로 응시한 사람에 한했다. 연구는 2018년 7월 19일을 첫 연구대상자의 등록 및 검사를 시작으로 2018년 8월 31일까지 약 50일간 시행했다. 분석은 2018년 기존 도구를 개선한 도구로서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도구 및 인지검사 도구 (MMSE_K)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구 버전의 각 하위요인 속도거리, 시공간기억, 분산주의는 현 버전의 하위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지속주의는 현 버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소득이 상위계층이며 고학력자, 수도권 내에 거주자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인지능력, 판단능력 등을 확인하는 MMSE_K의 결과의 점수가 상향조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에게 컴퓨터로 측정하는 인지 도구는 실제 측정 오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실제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입원 노인의 연령별 영양불량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Malnutrition by Age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 김은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77-84
    • /
    • 2021
  • Purpose: Malnutrition affects all age groups, but older adults are particularly more vulnerable to nutritional deficiencies. This study evaluated the age-specific factors affecting malnutrition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inpatient elderly people who received artificial nutrition from 2010 to 2017. Data of demographics, diagnosis, type of nutrition therapy, number of comorbidity, fall risk assessment, Acute Physiologic Assessment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score, and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were collected. Malnutrition was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BMI) of less than 18.5 kg/m2. Patients were classified as the young-old (65~74 years old), the old-old (75~84 years old), or the oldest-old (85 years old or older). Results: A total of 7,130 older adults were included, and 4,028 patients were classified as the young-old, 2,506 into the old-old, and 596 into the oldest-old. Proportion of malnutrition was higher in the oldest-old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parenteral nutrition, alcohol, and high risk of falls were factors affecting malnutrition in all groups. Parenteral nutrition and alcohol in the young-old, high risk of falls in the old-old, and male sex in the oldest-old were the factors affecting malnutrition by the age group. Conclusion: Older ag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malnutrition. Specific strategies by age are needed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as influencing factors for malnutrition vary among different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