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in-law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8초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A Preliminary Survey of Attitude Towards IVF Surrogacy)

  • 박준철;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2호
    • /
    • pp.75-85
    • /
    • 2007
  • 목 적: 뮬러관 기형과 같이 자궁이 없는 환자들에 있어 시행되어지는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불임 환자 및 본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사무직 여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배포된 설문지 중 회수된 211명, 즉 불임 환자 60명을 포함하여 기혼 여성이 152명, 미혼 여성이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리모에 찬성한 군과 반대한 군으로 나누어 윈도우용 SPSS 10.0을 이용하여 Pearson x$^2$ test, Fisher's exact test 등으로 비교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의 판정은 p-value<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전체 응답자 중 17명 (8.1%)만이 자궁이 없는 불임여성의 대리모 시술에 찬성하였으며, 125명 (59.2%)에서는 입양을 선택하였다. 대리모에 찬성하는 군은 반대한 군에 비하여 나이, 결혼 여부, 교육 정도, 수입 정도뿐만 아니라 불임 여부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종교에 따라서는 기독교인에게서 찬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23). 대리모의 대상으로는 혈연관계가 아닌 제 3자를 선택한 경우가 66.5%로 가장 많았고 친구가 0.6%로 나타났으며, 혈연관계로는 자매 24.5%, 시누이 3.9%이었으며 어머니를 선택한 경우도 4.5% 있었다. 결 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로 출산은 뮬러관 기형과 같은 자궁이 없는 불임 부부에게는 분명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보듯이 한국 사회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많다고 하겠다. 앞으로 광범위 의식 조사가 이루어진 뒤, 이 시술에 대한 의사의 역할 및 여러 문제에 관한 법적, 윤리적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릉(江陵) 오죽헌(烏竹軒)의 조선시대 사회사(社會史)적 의미 (The social historic meaning of Gangneung-Ojukhen in Joseon Dynast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64-81
    • /
    • 2015
  • 보물 제165호인 오죽헌은 강원도 내에 남아있는 조선전기 가장 이른 시기 사대부 주택의 별당이다. 집의 형태적 측면은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신사임당이 율곡 이이를 낳은 집으로 유명하다. 강릉최씨 가문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나 자녀균분상속의 관행 속에서 사위에게 상속되었고, 최종적으로 신사임당의 어머니 용인이씨가 외손인 권처균에게 배묘조로 상속해 주었다. 권처균의 호가 '오죽헌'이었으므로 택호 또한 오죽헌이 된 것이다. 오죽헌은 조선시대의 상속과 봉사관행의 변화 양상을 조망해 볼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오죽헌이 용인이씨, 신사임당, 그리고 이이, 권처균 등 직계가 아닌 외손들과 특별한 인연이 맺어지게 되는 것은 서류부가와 친정살이라고 하는 유습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용인이씨, 신사임당은 친정인 오죽헌에서 태어나 자랐다. 용인이씨는 결혼 직후부터 사망할 때까지 친정인 오죽헌에서 살았다. 신사임당도 결혼 후 근친을 위해 친정을 자주 오가며 생활했고, 이이를 오죽헌에서 낳았다. 이이는 유년을 외조모 용인이씨 슬하에서 보냈고, 강릉을 떠나서도 어머니를 따라 외가를 자주 오갔으므로 외조모와의 정이 매우 각별하여 외조모의 봉사손이 된다. 권처균이 용인이씨 배묘손이 되는 것도 아버지 권화가 데릴사위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오죽헌은 서류부가와 친정살이라고 하는 조선전기 혼인과 생활풍속을 엿볼 수 있는 집이다. 이이가 외가로 지칭했던 강릉 북평촌 최씨마을에는 권처균의 직계손인 안동권씨 추밀공파가 세거하는 동성마을이 형성되었다. 17세기부터는 부계친족집단을 중시하는 사회사적 변화가 일어난다. 오죽헌은 이러한 시점에 권처균에게 상속되었고, 최씨마을이었던 죽헌동에 안동권씨 집거지인 동성마을이 만들어지는 시발이 되었다. 오죽헌은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변화되는 상속 친족 혼인제도 등과 같은 사회의 변화상을 한눈에 읽어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Women with Children)

  • 장영은;박정윤;이승미;권보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63-7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how Korean working mothers balance work and family. We used the first year data of 1661 working mothers participat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Women and Families. When mothers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in-law, reported higher level of work-family spillover; whereas satisfaction with husband's household chores was more their related to lower level of work-family spillover. Attitudes placing lower priority on family, disagreement on their works with husband, and traditional family role perception were related to higher level of work-family interference. We also found that salary,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a series of maternity protection programs, including maternity leav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산부의 가족분만참여 요구 (A study on needs of women in labour to have family participation during the labour process)

  • 김혜숙;최연순;장순복;전은미;정재원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8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modification in the present hospital policy for Labour and Delivery which separates women in labour from their families. The design for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number of subjects consisted of 82 postpartum women who had delivered within 12 hours and for whom there were no complications either for the mothers or for the newborns.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i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of subjects (90.2%) wanted their family to participate in the labour process. Husband were chosen as the primary participant(79.3%). The number of subjects who wanted their family to support them through the whole labour process (35.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uring labour(32.9%), as contrasted to, during delivery (1.2%). 2. Support from husband during pregnancy ranged from 55.6%-87.6% for all items. Primary support was from husband during the pregnancy. 3. The subjects wanted support from their families in labour by way of encouraging(84.1%), consolidating(81.7%), changing position(43.9%), maintaining relaxation(35.4%) and helping with respiration control (29.3%). The results showed higher support on the emotional level than the physical and informational level (26.8%). 4.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expected that participation by their family during the labour process would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security for the women in labour(79.3%), providing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he women in labour (57.3%) and the newborns(34.1%), and making for an easier labour courses (23.2%). 5. The priority of family members that the subjects wanted support from was, the husband, mother and mother-in-law in that order. It can be concluded that nurses help to maintain a management policy in the maternity setting which ignores the needs of the women in labour. If consideration is to be given to these subjects, future programs should include participation by the family in the labour process.

  • PDF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in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of Married Migrant Women)

  • 정영미;남부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47-162
    • /
    • 2023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로 6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4개의 범주에서 총 24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10개의 대주제로 정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낯선 타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가족이었다. 특히, 남편의 사회적 지지는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도움을 주지만 남편과의 관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랐다. 시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에너지로 나타났다. 친정엄마는 심리적인 지지자이며 자녀의 이중언어교육과 모국문화의 전달자 역할을 한다. 주변의 한국친구는 자녀를 키우며 필요한 한국문화와 교육 정보를 제공하며 세상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지만, 모국친구는 모국어로 소통하며 자녀 양육정보와 함께 문화적 동질감과 연대의식 형성을 도왔다. 사회적 범주에서 한국사회의 인터넷은 모국가족과 초국가적 연결은 물론 자녀돌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 공공기관 그리고 법과 제도 등도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중요한 지지체계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과 자녀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고자 국적 취득을 통해 한국인으로서 공적인 자격을 갖추며 스스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자녀 교육과 돌봄 과정에 초국가적인 가족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층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하며 자신과 자녀의 보다 나은 삶을 기대하였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 그리고 초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체계를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그리고 정책 지원 등이 체계적으로 개선될 것을 제안하였다.

통일한국의 여성정책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정책 부문 (Study on Integrating Women's Policies in Unified Korea : Social Welfare Policy)

  • 김영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6권
    • /
    • pp.39-69
    • /
    • 1998
  • 본 연구는 통일한국의 여성정책중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통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현재 남북한 사회복지정책 중 여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복지관련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여성관련 복지정책을 비교 고찰하였다. 남북한은 각기 다른 체제와 이념에 따라 다른 복지정책을 전개하였다. 북한은 초기 사회주의 평등이념에 따라 남녀평등하게 포괄적이고 보편주의적인 정책을 펴고있는 반면, 남한은 자본주의 시장경제 아래 잔여적 형태에서 보편적인 형태로 점진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나 남성=생계유지자, 여성=피부양자라는 논리하에 여성들은 복지수혜에서 부차적인 위치에 있다. 법과 제도적으로 볼 때 북한여성은 남한여성에 비해 앞선 지위를 보여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보면 남북한여성은 유사한 위치에 있다. 양성이 법적으로 평등하더라도 성별에 따라 다른 사회적 역할을 맡고 있다는 논리와 복지책임을 일차적으로 가족에게 두는 가족주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는 한 복지정책은 여성에게 불평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통일한국의 여성관련 복지정책은 단순히 양체제의 복지정책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한 단계 높은 수준에서 수렴점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여성관련 복지정책 방안으로 양성평등사회를 기반으로 여성의 권리로서 성평등권, 사회적 권리로서 사회복지수혜, 탈가족화, 국가책임주의 강화 그리고 사회복지운영과정에서의 여성참여원칙 등 기본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제도의 적용확대, 모성보호 정책 및 여성빈곤과 사회보장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결국 진정한 양성평등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정책의 정립을 의미하며 통일은 남북한 여성들에게 성평등사회를 향한 커다란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The A Case Study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Through Marriage - Vietnamese Women in Seoul -)

  • 이애련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69-90
    • /
    • 2014
  • This study focused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for marriage. Specifically, it sought to determine how Vietnames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culture of family life in Seoul, Korea.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2 May to 30 May 2014, with 28 Vietnamese immigrant women as participants. Personal, famil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family life and culture were considered. It was determined that Vietnamese women can easily adapt to life in Korea to provide; the results of the material analysis are described below. First, Vietnamese im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ife in Korea. In Vietnam, women have the right to marry Korean men if they want to. Vietnamese women are encouraged to marry want to marry a Korean man. Becaus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marriage. Second, migrant women learn to adapt to South Korean culture and food.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 woman's husband and mother-in-law can become a source of conflict. Thi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asily accept Vietnamese people, since they are educated to do so through their Vietnamese mothers Vietnamese woman wants to teach their children the Vietnamese food and culture. Fourth,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als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ommunities. They want to becom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thr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Fifth, the cultural and welfa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n so that migrant women are able to study cultural adaptation. This case study examined difficulties that Vietnamese immigrant women have in adjusting to life and culture in Korea.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Vietnamese women living in Korea.

맞벌이가정과 일반가정의 식생활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Employed and Housewives' Meal Management in Daejeon City)

  • 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7-116
    • /
    • 1984
  • In order to obtain an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wives' meal management especially in dual-income famili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aires to 159 married women teachers(employed wives: EW) and 157 housewives(HW) in Daejeon city, from the Sep. 20 to 30, 1983. Most of the two groups' wives did not plan menu(74.7 %), and considered taste firstly when meal preparation and food buying. In EW, time was more considered than the other points for meal preparation and cookbook was more used than other sources of cooking methods, while in HW, cost, and, the mass media (p<0.01). Among 6 convenience foods, sausage, ham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EW and instant noo-dles and fried fish cake, in EW. Both the two groups' dietary pattern of three meals was similar, but much more of the EW(56.1 %) purchased foods for between meals rather than prepared at home in comparision with the HW. Almost all the HW prepared three meals themselves but the EW did not so. In the EW, husband and mother-in-law often assisted with meal-related activities, but in the HE, daughters (p<0.01) . HE spent more time on meal-related activities than do EW (Hw: 4.1 hrs/day, Ew·: 3.2 hrs/day) . The preparation time for supper was longest among three meals. As the problems of meal management, both the two groups' wives pointed 'too much time' (43.1 %), 'lack of nutrition knowledge '(42.8 %), but EW' husbands, 'no variety of cooking method'(42.8 %), while HW' husbands, 'lack of nutrition knowledge'(34.3 %).

  • PDF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생활 적응전략 (Adaptation Strategy of Family Life of Migration Woma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16-3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이 가족생활적응을 위하여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 어떠한 적응 전략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이들의 실천적 적응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으로 가족 내 관계의 차원 즉 부부관계, 시부모관계,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생활적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부관계 적응전략에서 '착한 남편 바라보고 살기', '남편은 나의 편이어야 함', 시부모관계 적응전략에서 '시집식구 배제하기', '돌봄의 수용', 자녀관계 적응전략에서 '자녀를 결혼생활의 목표로 삼음', '지역사회와 통합', '부모로서의 권위 갖추기', '한국 사람처럼 가르치기', 심리적 적응전략에서는 '정체성의 유지와 변화수용', '자존감 지키기', '마음비우기'의 11개 주제와, 26개의 주제묶음, 76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민 여성의 가족관계에 따른 적응전략의 본질을 밝히고 가족생활 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말띠여성 영화에서 나타나는 순응과 일탈 : 이형표 감독의 '말띠 삼부작'을 중심으로 (Adaptation and Deviation in the Films about Women Born in the Year of Horse)

  • 서곡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22-229
    • /
    • 2010
  • 본고는 <말띠여대생>, <말띠신부>, <말띠며느리>를 중심으로 강한 여성의 일탈이 가부장제와 어떻게 충돌하고 그것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1960년대 <말띠여대생>은 강한 여성들 사이의 세대갈등과 나이든 사람의 패배를 다루고 있는데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1960년대 <말띠신부>는 전업주부 위상의 변화, 강인한 여성의 일탈과 회귀 그리고 현모양처화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1970년대 <말띠며느리>는 적극적인 여성에 대한 거부와 가부장제 강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말띠영화들은 일탈을 포기하여 화해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이 영화들은 가부장제에 순종하고 강한 여성을 처벌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 영화들은 가부장제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저항의 즐거움을 보여주기도 한다고 읽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