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Women with Children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 장영은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이승미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
  • 권보라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1.01.15
  • Accepted : 2011.03.2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how Korean working mothers balance work and family. We used the first year data of 1661 working mothers participat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Women and Families. When mothers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in-law, reported higher level of work-family spillover; whereas satisfaction with husband's household chores was more their related to lower level of work-family spillover. Attitudes placing lower priority on family, disagreement on their works with husband, and traditional family role perception were related to higher level of work-family interference. We also found that salary,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a series of maternity protection programs, including maternity leav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Keywords

References

  1. 김귀례(2008). 주5일제 근무와 직장생활의 질에 관한 연구 :KORAIL 종사자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태홍(2008). 여성인력 활용의 어제와 오늘 :여성의 일 그리고 희망. 여성과 정책, 30, 14-15.
  3. 박정윤․조희금․송혜림․서지원․오문완(2010). 일하는 여성을 위한 보육 및 가사서비스 지원 전문화․효율화 방안. 노동부 연구용역보고서.
  4. 배지혜․서혜영․이숙현(2002). 사무직 남성의 '일-가정 갈 등' 및 '가정-일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가족관계학회지, 7(2), 43-64.
  5. 선민정(2009).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관련법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서종수(2009). 일-생활균현 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다윤(2003).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갈등' 및 '가족-일 갈등' 과 결혼 만족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재경․이은하․조주은(2006).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생활 변화와 한계. 한국여성학, 22-2, 41-79.
  9. 이주영(2008). 기혼취업여성의 양육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 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보정(2004).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및 결혼만족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전서영․박정윤(2008). 기혼 남녀의 일-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 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59.
  12. 전유경(2006). 맞벌이 부부의 성취동기와 직장가정갈등이 조 직몰입과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지현(2004).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가족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영금(2002). 여성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가족친화 정책의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40 (11), 107-118.
  15. 정영금(2004).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91-100.
  16.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17. 조주은(2009). 일-가정양립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회입 법조사처.
  18. 통계청(2009). 2008 출생통계결과보고서.
  19.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여성통계연보
  20. 한지숙․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21. 홍승아․류연규․김영미․최숙희․김현숙․송다영(2008)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및 한국의 정책과제. 한국 여성정책연구원, 2008 연구보고서
  22. 황혜원․신정이(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 45-71.
  23. Coverman, S.(1989).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stress : Addressing consequences of multiple role demands. Social Forces 7, 965-982.
  24.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Prevalence of work-family conflict: Are work and family boundaries asymmetrically permeabl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723-729. https://doi.org/10.1002/job.4030130708
  25.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26. Netemeyer, R., Boles, J., & McMurrian, R.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400-409.